이참정 명조
戊 甲 乙 庚
辰 子 酉 寅
시 일 월 년
서락오 평주: 이참정의 사주는 정관인 酉가 칠살인 庚金의 제왕(帝旺)인데, 乙과 庚이 합하여 그 상극(相剋:金剋木)하는 기세를 완화하고 있다. 이른바 甲이 누이동생 乙을 庚에게 시집보낸 형상이니, 흉이 길로 변하였다. 甲木이 지지에 통근하고 子辰 水局을 이루니 재성인 辰이 인수로 변했다. 인수로써 화살(化殺)하니, 상신은 인수이다. 재생관, 관생인하여 기세가 유통되니 격국이 합으로 인하여 맑아졌다. 이런 경우를 가리켜 사주가 맑아졌다고 하는 것이다.
해설
이 명조는 정관우상패인(正官遇傷在於佩印)에서 소개가 된 이참정 명조이다. 그런데 정관용인(正官用印)이므로 용신(用神)은 정관(正官)이고 상신(相神)은 인수(印綬)이다. 이미 정관용인(正官用印)으로 성격이다. 다만 천간 칠살로 혼잡한 것이 흠이였으나 을경합살하니 유금이 맑아졌다.
또 다른 사례
辛 甲 乙 庚
未 子 酉 午
해설
정관우상패인(正官遇傷在於佩印)이다. 유금 정관을 용신으로 하는데 년지 오화 상관은 큰 위협이다. 그런데 다행히도 일지 자수 인수가 있어서 자오충거한다. 상신인 인수로 상관을 제거하여 정관을 살렸다.
경촌집 책에 '정관용겁' 격국이 실려 있을까요?
없습니다.
책에 없으면, 원래 그런 격국은 존재할 수 없을까요?
네 그렇습니다
자평진전에 존재하지도 않는 격국명조 창작하면 안됩니다
책에 모든 격국 다 실을 수는 없지만
만약 하나라도 존재한다면 고려는 해보겠으나
보시는 것처럼 "정관용겁재"의 명칭은 정팔격에 하나도 없다는 게 문제이죠
하나라도 존재해야 믿을 수 있겠죠
이건 일체 존재하지도 않으니까 너무 확실한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