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행정학 문제풀다가
질문이여....
점증모형은 실증적 연구결과가 상치되는 경우가 많다.
이 지문이 이해가 안가네요..
간단한 설명 부탁해요...^^
삭제된 댓글 입니다.
점증모형은 실증적 현실적이지 않나요?? 아 모르겠어요...ㅜㅜ
실증적 연구란 말은 과학적 기법으로 공식을 도출해 낸다는 뜻입니다,,,, 점증모형은 개인과 개인 혹은 집단과 집단의 타협,, 협상,, 담합,, 이전투구,, 로그롤링,,,포크배럴 등이 나타납니다,,, 쉽게 애기하면,,, 한나라당이 추진하는 a 정책과 열린 우리당이 추진하는 b 정책이 있을때 서로 타협해서 a 와 b 사업이 모두 우선순의높은 사업으로 채택되도록 의견을 조율하는 과정으로 생각하면됩니다,, 이런게 과학적으로 입증될수가 없잔아요,,
엘리슨 모형에서 제 3모형은 점증모형이잖아요,,, 제가 알기로 고위 관료들의 의사 결정 모형으로 알고 있습니다,,, 대통령과 대통령이 만나서 어떤 조약이나 안건에 합의하고 외교적 관계를 맺는 행위를 실증적 연구 결과로 분석할 수는 없잔아요,,,
삭제된 댓글 입니다.
점증모형은 실증적 현실적이지 않나요?? 아 모르겠어요...ㅜㅜ
실증적 연구란 말은 과학적 기법으로 공식을 도출해 낸다는 뜻입니다,,,, 점증모형은 개인과 개인 혹은 집단과 집단의 타협,, 협상,, 담합,, 이전투구,, 로그롤링,,,포크배럴 등이 나타납니다,,, 쉽게 애기하면,,, 한나라당이 추진하는 a 정책과 열린 우리당이 추진하는 b 정책이 있을때 서로 타협해서 a 와 b 사업이 모두 우선순의높은 사업으로 채택되도록 의견을 조율하는 과정으로 생각하면됩니다,, 이런게 과학적으로 입증될수가 없잔아요,,
엘리슨 모형에서 제 3모형은 점증모형이잖아요,,, 제가 알기로 고위 관료들의 의사 결정 모형으로 알고 있습니다,,, 대통령과 대통령이 만나서 어떤 조약이나 안건에 합의하고 외교적 관계를 맺는 행위를 실증적 연구 결과로 분석할 수는 없잔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