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기토(己土)를 겁재인(劫財刃)이라 부른다
戊用子財透甲並己則合煞存財以成格者全賴於己之相[논상신] |
무토(戊土)양간(陽干)이 자수(子水) 재성(財星)을 용신(用神)하는데 갑목(甲木) 칠살(七殺)이 투간(透干)하였다 그런데 기토(己土) 겁재인(劫財刃)도 함께 투간(透干)하였다. 곧 양인합살(陽刃合殺)로 인당살(刃黨殺)이 되어 재성(財星)을 남길 수 있었으니 성격(成格)이 된다. 이것은 전적으로 겁재인(劫財刃)에 의지한 것이므로 양인(陽刃)으로 상신(相神)을 삼는 것이다
◯ 戊 甲 己
◯ ◯ 子 ◯
여기서 말하는 양인은 겁재인(劫財刃)을 말하는 겁니다. 월건에서는 록당을 구성하는 양인자와 건록자는 이해하겠는데 일지와 시지의 양인은 월건이 아닌데에도 양인이 이루어지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일지와 시지는 월건이 아니므로 계절이 아닙니다. 그런데에도 양인으로 대우하고 있습니다. 곧 일지에서 일인(日刃)이 되면 월지 양인(陽刃)과 같이 대우합니다. 시지의 양인이 되는 시인(時刃)은 그 다음이죠. 이건 비견보다 양인만이 가지는 특별한 무서움이 있기 때문입니다.
양인이 되는 세력은 3가지로 보면 됩니다
양간은 겁재를 보면 양인이 되는 겁니다
음간은 겁재를 보면 음인이 됩니다.
고로 음간인 경우 겁재를 만나면 그냥 겁재가 됩니다[양인이 아님]
양간의 겁재는 세력이 일반 겁재 보다 강해서 양인이라 말하는 겁니다
2 양인이 구성이 되는 3가지 종류를 말하다
陽刃有三有劫財刃甲見乙是也不利財官格有護祿刃甲見卯是也大利歸祿格 有背祿刃乙丙是也大利去官留殺局[삼명통회] |
양인(陽刃)에는 세 종류가 있다. 첫째 겁재인(劫財刃)으로서 갑(甲)이 을(乙)을 보는 것과 같다. 재관격(財官格)에 불리하다. 둘째 호록인(護祿刃)은 갑(甲)이 묘(卯)를 보는 것으로서 귀록격(歸祿格)에 매우 좋다. 세째 배록인(背祿刃)이 있는데 을(乙)과 병(丙)의 관계로서 거관유살(去官有殺)에 유리하다[삼명통회]
3 다음 아래의 사례는 겁재인(劫財刃)으로 양인(陽刃) 당살(黨殺)이라고 보면 이해가 될 수 있습니다.
식신의 제살이 없는 칠살(七殺)은 양인(陽刃)으로 양인합살(陽刃合殺)한다. 곧 인당살(刃黨殺)을 하는 구조이다.
4 모장원 명조도 만약 을목이 겁재인이 된다고 하면 인당살이므로 가능해집니다
有財帶七煞者或合煞存財或制煞生財皆貴格也如毛狀元命乙酉庚辰甲午戊辰合煞存財也. 戊甲庚乙 辰午辰酉 |
모장원 사주는 을목(乙木)이 겁재인(劫財刃)에 해당한다. 그래서 재대칠살(財帶七殺) 인당살(刃黨殺)이 구성이 되었다. 재대칠살(財帶七殺)인 경우 양인(陽刃)으로 합살(合殺)하여 재(財)를 존속시키므로 귀격(貴格)이 될 수 있다.
심효첨은 이미 겁재인(劫財刃)을 이해하고 글을 쓴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