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남 두륜산, 전주 한옥마을, 마이산 탑사^^
2015. 4.22(수) ~ 4.23(목)
30년 일터 지기들과 1박 2일로 길 떠납니다.
물론 옆지기들도 함께지요,
어디인지는 중요하지않습니다.
함께이니까요...
07:00
동래역을 출발하면서 따뜻한 수육을,
새벽부터 준비에 부산했을
수고로움을 나누어 먹습니다.

-
-
어디를 가는지 들어보니
이 갈바람을 위해서인 것 같습니다.
보성 녹차밭, 해남 두륜산,
고군산 열도 선유도, 진안 마이산...
진안 마이산 빼고는 모두 처음인데
막바지 몇년간 무슨 그리 대단한 일 한다고
맘 편히 여행 한번 못하고
그리도 아둥 바둥해 왔는지...
번잡함에서 비켜선 뒤
처음 나서는 길,
그 길은 무엇을 말해 줄런지 궁금합니다.
그동안 이쁘게 살아줘서 고맙다고,
옆지기를 많이 사랑하자고 했습니다.
사랑, 그거 속으로만 하지말고
당장 경상도 말로 포띠를 좀 내자고 했습니다.
당장 오늘 1박 2일부터
서로 손 잡고 걷고 진한 입맞춤도 하고...
-
-
보성 녹차밭 (대한다원 4,000원)^^

주위에서 다들 다녀왔다고 하는 통에
주눅들게 하던 녹차밭,
이제 어깨 좀 펴게 생겼습니다.
그것도 이렇게 함께 왔으니...

늘씬한 삼나무 숲길을 지나니 녹차밭이 올려다 보입니다.

"그래요, 우리 손 잡고 올라가요"

"우린 손 잡고 걷는 게 생활인데 뭐, 그치요?"

"손부터 잡아아지, 대놓고 이러면 어색해 보이잖아요?"
^)^

-
-
2008. 4. 8 발사된
러시아 소유즈 우주선에 탑승한
우리나라 최초의 우주인 이소연씨가
우주에서 마신 음료로 이 보성녹차가
선정되기도 했었다는데
아직은 새순이 돋지않았습니다.

한달 후인 5월말 쯤엔 새순이 나와
그림같은 풍경이 될꺼라 합니다.

녹차밭 전망대까지 올랐다가 내려오는 길,

심나무가 차렷 자세로

길게 열병을 하고

벚나무 한그루,
늦었지만 흰꽃 흩날립니다.

-
-
녹차밭 다 내려오니 노루귀 쫑긋,
다시 올꺼라 이야기하라 하네요~~

12:25
해남 두륜산 가는 길에 강진 남미륵사,
연산홍이 무지도 곱습니다.
-
-
여긴 어부바 사랑인가요?

"허허 ..."
부처님이 지그시 눈을 감으시네요,
^)^

13:30 강진만 한정식집,
상다리 부러지게 다산정식(1인 22,000원) 한상!

우와, 눈이 먼저 맛있어 합니다.

집앞 담벼락에는 밀이, 들판에서는 보기 어려운...

-
-
배도 부르겠다, 이제 해남으로 갑니다.
부끄럽지만 아직 가보지 못한 우리나라 최서남단 땅,
흔히들 말하는 땅끝마을...
15:05
케이블카(왕복 9,000원) 타고 8분쯤 올라 상부승강장에 내려

'두륜산 힐링로드'를 걷습니다.

어찌 좀 이상한 듯.
산은 땀흘리면서 걸어서 올라야 제 맛인데...

-
-
처음 만난 두륜산은 내게 이야기합니다.
'거울은 먼저 웃지 않는다'고...

15:26 고계봉(638m)^^

전망대 오른쪽 고계봉에 섰습니다.

여기 서면 영암 월출산, 강진 주작산, 광주 무등산에다

강진 완도 진도 등 아름다운 삼면의 다도해를 볼 수 있고

청명한 날에는 제주도 한라산까지도 볼 수 있다는데
오늘은 해무 때문에 ...

전망대로 돌아왔습니다.

달려가 오르고 싶은 봉우리들,

그리고 그 뒤로 한반도 최서남단 땅끝마을,
당장 가지는 못해도 여기 오르면 볼 수 있을까
잔뜩 기대를 했었는데...

-
-
진한 아쉬움 뒤로 하고
버스는 강진, 무안, 함평, 영광, 고창을 지나
변산반도 해안도로를...
처음인 서해안 고속도로,
스쳐 지나지만 여기도 우리나라이구나 하는 반가움에
200여 km를 달리는 동안 차창에서 눈을 뗄 수가 없습니다.
20:00 새전주식당 (1인 30,000원),
거하게 만찬을 즐기고

숙소에 듭니다.

들어오는 길에 올려다 본 하늘,
초생달이 선명하게 떠 있었는데
자정을 넘기자 완전 전쟁통입니다.
지축을 울리면서 탱크가 떼지어 오가고
헬기는 하늘 까맣게 저공비행을...
이 난리통에도 전혀 문제없습니다.
30년 곰삭은 정이 어딘데...

2 일차 (4.23),
해가 막 떠 오릅니다.
사실, 서해에서는 어디서 뜰까 억수로 궁금했거던요,
부산에서는 꼭 바다에서 뜨는데...
오늘 확인해보니 해는 바다에서가 아니라
동쪽에서 뜨는 게 정답입니다.
ㅎㅎㅎ

변산에 가면 채석강이 유명하고 낙조가 그리도 곱다고 했는데
어제 늦게 도착해서 일몰도 그만...
채석강은 물때에 따라 아직 바다에 잠겨있습니다.

해안 따라 '부안 변산 마실길'

죽막골로 해서 후박나무 군락지로...

유채꽃, 올해 처음이라 많이 반갑습니다.

마실길에는 수성당이 있습니다.

수성당은 딸 여덟을 낳아
일곱 딸을 팔도에 하나씩 나누어 주고
막내 딸만 데리고 살면서 서해 바다를 다스렸다는
개양 할머니의 전설이 깃듯 곳으로
매년 음력 정월 열나흘 제사를 올리고
풍어와 안녕을 기원했다고 합니다.

이 주변에서 선사시대 이래 바다에서
제사를 지낸 유물이 발견된 것으로 보아
죽막동 제사 유적지임이 확인된 곳이라고...
건너편에 우리가 머문 대명리조트가
해무에 흐릿하게 보입니다.

-
-
백합죽(1인 7,000원)으로 아침을 해결하고
새만금 방조제 가는길에 들른
석불산 영상랜드,
임진왜란 때 선조 임금을 의주까지 호위한
영성군(瀛城君) 고희(高曦, 1560 ~ 1615) 장군의
사당인 효충사(效忠祠, 1625년 건립)와
문중유물(보물 제 739호)을 보관하고 있는 유물관이 있습니다.
효충사의 삼문인 표충문(表忠門),
양 옆에 지지대로 지탱해 놓은 배롱나무는
300 살이 넘는 보호수들이라 합니다.

그리고 드마마 '불멸의 이순신'을 촬영했던 세트장...

-
-
10:05 새만금 홍보관^^

세계에서 제일 길다는 방조제 33.9km를 한번 달려 보려했는데
짙은 해무 때문에 홍보관으로 대신합니다.
새만금은 간척지로서 산업연구용지, 관광레저용지,
농생명, 환경 생태, 배후도시 용지 등으로
기본계획이 되어있다고 합니다.
ㅇㅇㅇ님, 이참에
배후도시용지에서 전략 부동산사업은 어떤지요?

홍보 카피에 '새만금, 자세히 보면 보인다' 해서
엄청 자세히 보았는데
5m앞도 안보이든데 이거 저만 그런 건가요?
ㅎㅎㅎ

-
-
해무 때문에 선유도 트레킹은 포기하고
대신 전주 한옥마을로...
변산으로 가서 기념품으로 젓갈을 준비하고
11:37 김제평야를 달립니다.

차창 밖으로 펼쳐지는 끝없는 지평선 위
35여년전 그 시절이 오버랩됩니다.
저기 어디쯤엔가에서 당시 '대민지원'으로
모를 심고 보리를 베고 하던 내 젊은 그 시절이,
난데 없이 터진 청문회 아닌 버스 청문회에서
지난 이야기로 배꼽은 모두 실종되고...
지금은 웃지만 그땐 아주 심각했다고요,
그렇지요? 아련한 추억 하나 없이 살아왔다면
오묘하고도 깊은 인생의 참맛을 모르고 산거지요
갈바람, 그 시절 까맣게 잊고
이렇게 잘 살고 있습니다.
그래도 그 시절이 살짝 그리운 건 사실...
ㅎㅎㅎ
-
-
12:50 전주 한옥마을^^

일제 강점기인 1930년 전후 일본인들의 세력 확장에 대한 반발로

교동과 풍남동 일대에 한옥을 짓기시작한 게
지금 이 전주한옥마을의 태동이라고 합니다.

1980년대까지만 해도 옛 한옥 그대로였던 걸로 기억됩니다.

골목은 좁고 기와집들은 서로 붙어 있었지요,

지금 둘러보니 1930년대 한옥은 몇채 밖에 보일않습니다만
이 토담은 그래도 좀 오래된 것 같습니다.

마을길은 넓혀지고 여기 저기 나무도 심고

돌로 만든 물길에는 물이 흐르고...

참 많이 변했다 싶습니다.

13:10 승광재

비둘기처럼 다정한 사람들이라면...
'비둘기 집'이라는 제목의 이 노래,
아름답고 포근한 가사에다 따라 부르기 쉬운 멜로디라서
우리들 한테 친근한데 이 노래를 부른 가수 이 석님이

조선 고종의 아들이자 순종의 아우인 의친왕
이강(1877~1955)의 10번째 아들이신데
이 승광재에 계신다고 합니다.
.

사회의 현실 경험부족으로 다른 황손들과 함께 수 많은 고초를 겪고
베트남 전쟁에서 부상을 입은 국가유공자이면서
황손이신 이 석님의 승강재...

13:00 경기전
조선 태조의 영정(影幀)을 봉안한 전각이 있고
준원전(濬源殿), 영희전(永禧殿)에도 태조의 영정을 봉안하고 있는
경기전은 시간에 쫓겨 패스!

전동성당

1791년 신해박해 때 윤치충 등 호남 지역의
많은 카톨릭 신자가 순교 당한 자리인데
로마네스크 양식으로 1937~1957년에 이 성당을 세웠다 합니다.

13:40 풍남문

풍남문(보물 제 308호)은 조선 시대 전라감영의
소재지였던 전주를 둘러싼 성곽의 남쪽 출입문으로

성벽이 헐린 후에 유일하게 남아 있는 문이라고 합니다.

군 시절 가끔 지나 다녔던 길이라
일행과 헤어져 잠시 돌아보기로...

횡단보도를 다시 건너 일행 찾아 걷는 거리,

35년전과는 완전 다른 모습입니다.

음식점과 민박집, 기념품 가계가 즐비합니다.

전통 나무대문과 전자 도어록,
전주한옥마을의 현재 모습을 한마디로
이야기해 주고 있습니다.

14:30
덕진구 우아동 '전주 농부가'에 들러
백반 정식(7,000원) 한상씩,

그리고는 진안 마이산으로 향합니다.
상관, 임실, 관촌...
1970년대 중반 푸른 제복 시절이
주마등 처럼 스쳐 지나갑니다.
이 산이였던가, 저 골짜기였던가?
연일 계속되는 수색에다 매복,
결정적인 순간에는 빈총 들고 총격전...
-
-
16:00
마이산 북쪽 주차장에서 오릅니다.

16:25 운수사

청실배나무(천연기념물 386호),
전설에 의하면 태조 이성계가 이곳을 찾아 기도를 하면서
그 증표로 씨았을 심었다고...

몸통 줄기가 4갈래로 갈라졌다가 가운데 2 갈래가
다시 합쳐지는 묘한 모양입니다.
또한, 겨울에 나무밑에 물을 그릇에 두면 고드름이
거꾸로 솟아오른다 합니다.

저길 한번 올려다 보세요,
바위산이 여기 저기 폭격을 맞았는지
아니면 괴물인지 뭔가가 바위를 파 먹었는지
크고 작은 구멍이 여기 저기 나 있습니다.

풍화작용은 보통 바위 표면에서 시작되지만
마이산은 타포니 지형으로서
바위 내부에서 얼었다 녹았다를 반복,
밖에 있는 바위 표면을 밀어내 구멍을 만들어 낸 것으로
세계에서 타포니 지형이 가장 발달한 곳이 랍니다.
-
-
숫 마이산 가운데 수직으로 길다란 바위,
음, 거시기가 바위까지 뚫고 하늘로 치솟을 기세...

기이한 모습의 마이산 속은 어떤 모습일까 궁금해서
자세히 보니 흡사 자갈 콘크리트 같습니다.
화산재의 응회암과 퇴적암(역암) 중에서
무른 부분이 풍화되고 단단한 부분이 남아
마이산이 되었다고...

14:45 탑사(3,000원)

몇번 다녀 간 곳이지만 올때마다 또 다른 신비감이 듭니다.

접착제를 쓴것도 아니고, 시멘트로 굳힌것도 아니며,
더더구나 홈을 파서 서로 끼워 맞춘것도 아닌데
1백여년의 풍상속에 태풍과 회오리 바람에도
끄덕없이 버티고 서있는 비결은 어디에 있을까요?

이 탑을 쌓은 이갑룡 어른은 낮에는 돌을 나르고
밤 자시마다 하루 한 개씩 정성으로 돌을 쌓았는데

음의 날에는 양의 돌을 올리고 양에 날에는 음의 돌을 올렸다고,

또한, 탑을 쌓기 위해 자리를 잡은 뒤
다음에 쌓을 음돌과 양돌을 앞에 놓고서
좌선으로 온 몸에 천기를 넣습니다.

그리고는 정확히 자시가 되면 한번만에 돌을 올려 놓고서
작은 돌맹이로 고정시켜 마무리를...

바위산 오르는 능소화...

여름이면 이렇게 바위절벽에 고운 꽃을 피운답니다.

여기 저기 마아산 탑사 일원은

모두가 다 불가사의 합니다.
타포니 바위 지형에 '자갈 콘크리트' 바위 산,
청실배나무, 꺼꾸로 솟아 오르는 고드름, 신기한 돌탑....

-
-
-
암 수 두 바위산이 말 귀를 닮아서 마이산,
여기서 보니 '복돼지'입니다.
^)^
마아산 찾은 우리들에게 복을 나눠 주려고...

17:45
금당사 일주문

생초시장에 들러 늘비식당,
얼큰한 어탕국수(7,000원) 한그릇씩...
30년 지기들과 아름다운 우리 땅 돌아보고
즐거움으로 충만했던
1박 2일이 저물고 있습니다.
세월 한참 흐른 뒤에도 지금 이대로 이기를
간절히 기원드립니다.
분명 들어 주실겁니다.
아까 본 마이산 그 복돼지님이...
감사합니다.
갈바람이 올립니다.
``````````````````````````````````````````````````````````````````````````````````````````````````````````````````````````````````````````````````````
길 위에서 / 최 백 호
첫댓글 늘 감사합니다. 좋은구경하고 갑니다.
멋진 계절 5월,
거움 가득 하시길

^^
김하사님 뽀얀 얼굴에 군복입은 모습이 항상그려지며 오늘도 식수대 부근에서 행정반 사이를 오기는 그런모습
군복을 벗어버리고
직장생활 참 멋지게 한것 같습니다 아내의 내조와
조직의 안정에서 그렇지 않았나 생각 해봅니다
좋은사진 좋은설명
좋은분들과 함께햇다니
부럽습니다 그리고 당신 멋집니다
참 세월이 많이도 흘렀지요, 사십년이 다 되어가나 봅니다.
그래도 눈감으면 떠오르는 그때 그 시절, 그리움이지요~~
젊어서 좋았던 그 시절은 다시 돌릴 수 없겠지만
늘 건강하시고 즐거움 가득하시기를 기원합니다.
지난 날 함께 기억해주시고...
감사합니다. 많이 행복하시기를요~~
그래요 잼있게 지내는 흔적들을 보여주니 좋아요
본부중대 선임하사 목소리를 높여야 하는 위치인데 있는둥 없는둥
송화복 상사한데는 많이혼이 났지 않겟나 하고
생각 해봅니다
그리고 77군번 박명래 회장님 이하 정민희
박경종 권덕중님이 중심에
있어 든든 하지요
예, 휼륭한 집행부가 있어 많이 든든합니다.
즐거움 가득한 시간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