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교【三敎】
[英 The three teaching]
① 유교(儒敎).불교(佛敎).도교(道敎)를 일컬음.
② 남중(南中)의 삼교. 점교(漸敎).돈교(頓敎).부정교(不定敎).
③광통율사(光通律師)의 삼교. 점교(漸敎).돈교(頓敎).원교(圓敎).
④ 남산(南山)의 삼교. 성공교(性空敎).상공교(相空敎).유식원교(唯識圓敎).
⑤ 삼시교(三時敎)의 약칭.
삼교합일【三敎合一】
유불도(儒佛道) 3교(敎)를 회통 융합하여 하나로 보려는 사상적 태도. 당(唐)의 한퇴지(韓退之, 768-824)는 『원도(原道)』.『원성(原性)』을 지어 불교를 공격하였는데, 이에 대항하여 규봉종밀(圭峰宗密, 780-841)은 『원인론(原人論)』을 지어 불교의 입장에 서면서도 한편으로는 유교와 결합하는 요소를 보였다. 이고(李翺, 772-841)는 『복성서(復性書)』를 지어 『중용(中庸)』에 바탕을 두었으면서도 불교의 내용도 받아들였다. 그리고 주돈이(周敦頤, 1017-1073)의 태극도(太極圖)는 도교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그 수양법으로 정(靜)을 내세웠는데, 이런 것은 선(禪)과 서로 통한다고 하겠다. 정이(程頤, 1033-1107). 주희(朱熹, 1130-1200)의 이기설(理氣說)은 밖으로는 불교나 도교를 배격하면서도 한편으로는 화엄.천태사상을 받아들였다. 우리나라에서는 보우(普雨, ?-1565)가 일정론(一正論)을 주장하여 유불(儒佛) 융합을 제창하였고, 휴정(休靜, 1520-1604)도 삼교회통(三敎會通)을 주장하여 유.불.선 3교는 교의형상에 있어서는 서로 다르지만 마음을 밝혀 미혹에서 깨닫는 일의(日儀)에 있어서는 서로 같다고 한다. 또한 최제우(崔濟愚, 1824-1864)는 삼교원융론(三敎圓融論)을 천도교의 교리로하여 사상적 체계를 이루고 있다.
삼구투과【三句透過】
중국 당(唐)의 선승(禪僧)인 백장(百丈, 720-814)의 수행법. 초선(初禪)에서는 긍정하거나 부정하는 하나의 입장을 지키고, 중선(中禪)에서는 초선의 입장을 버리며, 후선(後禪) 에서는 초선의 입장을 버렸다는 생각[知解]도 버린다는 구조를 가진 수행법(修行法)이다. 이것은 학인이 설법이나 문답을 통하여 올바른 지해(知解)를 연다고 하더라도, 그것은 하나의 입처(入處)를 지시하는 방편(方便)이며, 궁극적으로는 그 지해(知解)를 벗어나 불가사의(不可思議)한 마음의 깨달음을 얻어야 올바른 입처(入處)에 들어갈 수 있다는 것이다.
콘사이스 판 불교사전(민족사:김승동 편저)에서 모셔왔습니다.

성불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