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논란 끝에 대표단의 경선 후보 조정 노력 존중하기로
통합진보당이 19대 총선 지역 후보 경선 방식을 놓고 논란을 벌이다 유시민 공동대표가 제안한 중재안에 합의했다. 중재안은 사실상 ‘당원 투표 50% : 여론조사 50%방식’으로, 전략지역에선 대표단의 후보 조정 노력을 경선 후보들이 존중한다는 선에서 합의됐다.
 |
▲ 통합진보당 3차 전국운영위가 끝나고 기념 사진을 찍으면서 운영위원들이 활짝 웃고있다. |
통합진보당은 지난 31일 오후 2시 국회 의원회관 128호에서 3차 전국운영위원회를 열고 지난 2차 회의에서 첨예한 이견으로 결론을 내지 못한 후보 경선 방식을 논란 끝에 만장일치로 통과 시켰다.
2차 회의에선 “당원 투표 50% : 여론조사 50%방식”이라는 원안에 “‘전략 지역 공동 대표단 결정’+‘당원 투표 50% : 여론조사 50%방식’”이라는 수정안이 제시 되면서 첨예한 이견 대립이 나타났다. 대립을 이룬 경선방식은 지역별 후보자 조정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당원 50%, 여론조사 50%로 후보를 결정할 것이냐 아니면 일부 전략지역 등엔 대표단이 조정을 강제할 수 있는 최소권한을 줄 것이냐 였다.
이렇게 경선 방식을 둘러싸고 치열한 대립이 이뤄진 것은 통합진보당 내에 구 민주노동당 주류 쪽 당원이 압도적으로 많은데다, 19대 총선을 앞두고 과도기 당비규정으로 당권행사 공고 6개월 전에 당비를 한 번만 납부해도 당직·공직 선거권과 피선거권,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 때문에 대부분 지역이 ‘50 : 50’ 방식의 경선방식으로는 민주노동당 쪽 후보가 독식 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 됐다.
실제 ‘50 : 50’ 경선 방식을 주장한 쪽은 이정희 대표와 구 민주노동당 주류 세력이었고, 일부 전략지역에서 대표단이 후보조정 권한을 강조한 쪽은 심상정, 유시민 대표를 축으로 한 구 통합연대와 국민참여당 세력이었다.
경선 둘러싼 의혹까지 제기, 날선 공방 이어져
통합진보당 대표단은 경선 방식 의결을 앞두고 1시간 여 동안 여러 운영위원들의 의견을 듣고 유시민 대표가 ‘대표단의 후보 조정 노력을 존중’을 강조한 ‘50:50’ 방식을 수정안으로 제시했고, 운영위원들은 만장일치로 받아들였다.
3차 전국운영위에선 최종 수정안이 제시되기 전까지 2차 회의 보다 세력 간에 더 날선 대립이 드러났고, 일부 경선을 둘러싼 의혹까지 날 것으로 제기 되기도 했다. 구 민주노동당 주류 쪽 운영위원들은 통합 후 과도기 혼란을 강조하는 국민참여당 쪽과 통합연대 쪽의 주장이 사실관계와 다르다는 주장과 진성당원제를 규정한 당헌을 흔들 수 있다는 논리로 맞섰다. 반면 국민참여당 쪽은 일부 지역에서 경선을 위해 당원이 대거 이동하거나 가입하는 의혹을 제기하며 당헌을 교묘히 피해가는 편법 가능성을 제기했다.
우위영(구 민주노동당) 운영위원은 “본질적인 문제는 '50 : 50'이냐, 일정한 논란이 되거나 쟁점이 되는 경선 가열 전략 지역을 대표단이 판단하도록 하느냐다. 결국 끝에 가서 당원이 후보를 결정 하느냐 대표단이 결정 하느냐의 문제”라며 “진성당원제 원칙이 존중되지 않으면 그 후과나 휴유증 크다”고 강조했다.
반면 박무(국민참여당 쪽) 위원은 “저도 열린우리당에서 진성당원제를 지키려고 농성을 했던 적이 있을 정도로 진성당원제에 집착하는 경향이 있다”며 “진성당원제의 참뜻은 특정인과 특정그룹에 의해 좌우 되지 않고 구성원이 보편 상식적으로 공동체 안에서 생활하도록 하는 것이 핵심”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후보 조정도 공동체의 여러 상황을 배려해 조정하고, 상식선에서 결정해야하는데 기계적으로 이렇게만 해야 한다고 하면 그 또한 공동체 발전에 저해 요인이 된다”며 “막 시작하는 이때 당헌의 자구에 너무 집착하지 말고, 대표단에 더 많은 책임과 권한 이양으로 합의정신을 잘 풀도록 논의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윤민호(구 민주노동당 쪽) 위원은 “당원투표로 가면 결국 구 민주노동당에 유리한 공천제도로 가는 것 아니냐 이렇게 보면 이 논의는 진척이 잘 안 될 것”이라며 “당원은 바보가 아니다. 여러 합의 과정에서 후보 자질을 다 지켜볼 것이다. 오히려 선거투쟁 과정에서 당원들의 열정을 어떻게 불러일으킬 것이가가 주요하다. 당원 투표를 최소 50% 이상으로 물러나는 결정를 내리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광철 (구 국민참여당 쪽) 위원은 “이미 통합 후 과도기의 한계를 인정 하고 과도기 규정을 만들어 1회의 당비만 내면 선거권과 피선거권을 가지도록 동의해 준 사항”이라며 과도기를 강조했다. 이광철 위원은 “6.2 지방선거 때부터 야권연대 테이블에서 진보가 일관되게 민주당에 한 얘기는 ‘50:50은 객관적이지 않다. 연대연합과 통합의 정신은 상호존중과 호혜 존중 방식을 선택해야 한다’는 얘기였다”며 “상호존중과 합의의 방식이 존중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각종소문과 사실관계 확인 요구도 나와
과도기 규정과 진성당원제 논란이 더욱 커지자 장원섭 사무총장(구 민주노동당)은 “다들 사실관계를 왜곡시키지 말고 현재 벌어지는 사실관계를 봐 달라”며 “우려보다 빠르게 조정되고, 양보와 통합 정신이 발휘되는데 말끝마다 통합정신이 심각하게 위협 받는 식으로 말씀하는 건 도통 이해가 안 된다”고 직격탄을 날렸다. 장원섭 총장은 “자꾸 그런 식으로 얘기하는 것은 사실 관계도 아니고 어려운 조건에서 잘하려는 당원들을 대상으로 예의가 아니란 생각이 든다”고 덧붙였다.
장 총장의 직격탄에 논란은 더욱 확대됐다. 박창완(구 국민참여당 쪽) 위원은 “과도기는 과도기다. 참여당은 6개월 이상 당비를 내야 당권을 행사 했다”며 “어떤 지역 당원이 300명에서 갑자기 1200명이 되는 일이 있다면 과도기이기 때문에 그것까지 다 일반화 시켜 당원을 믿고 가자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50:50 방식의 문제점을 제기했다. 박창완 위원은 “예상 밖으로 (당비 규정이) 많이 열린 상황에서 이 부분을 고려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윤수정 (구 국민참여당 쪽) 위원은 “논란의 여지는 상식선에서 해결할 수 없는 부분을 해결하자는 것이다. 상식적으로 일어날 수 없는 몇 가지 소문을 들었다”며 “사무총장이 소문만 도는 비상식적으로 일어나는 문제점을 공개해 달라”고 요구했다.
장원섭 총장은 “서울의 한 군데에서 경선을 위해 당원들이 대거 옮겼다는 소문이 있어 물증을 확인 했지만 사실과 무관한 악의적인 비방과 날조였다”고 대답했다.
이렇게 논란이 거듭되면서 의혹까지 나오자 유시민 대표가 “통합의 3주체 사이에 교환한 의견이 있고 통합과정에 지킨 신의가 훨씬 중요하다” 정회를 요구한 후 3인의 대표단과 논의를 통해 “1) 2012년 총선 지역구 후보 결정은 협의와 조정을 우선으로 한다는 통합의 정신을 재확인한다. 2) 중앙당과 시도당 후보조정위원회는 후보를 조정함에 있어서 통합의 정신을 최우선으로 하고, 후보 평가시 객관적이고 적절한 방법에 의거하여야 한다. 중앙당과 시도당 후보조정위에서 조정이 되지 않았거나 후보 간 합의가 되지 않는 지역 중에서, 당의 통합과 선거 승리를 위해 꼭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지역에 대해서는 공동대표단이 후보 조정 또는 경선 방식 조정을 위해 적극 노력하여야 한다. 당의 경선 후보들은 이와 같은 공동대표단의 조정 노력을 존중하여야 한다. 3) 이러한 노력과 과정을 거쳤음에도 경선이 불가피한 경우에는, 진성당원제의 정신과 국민여론이 공정하게 반영되는 당원 투표 50% : 여론조사 50%의 방식으로 선출한다”는 다른 수정안을 제시해 만장일치를 얻었다.
유시민 대표는 “원안보다는 대표단이 뭔가 할 수 있는 여지를 열어주고, 대표단이 재량을 가지고 민주적으로 개입할 여지를 열면 시도당이나 중앙당도 더 권위를 가지고 조정할 수 있는 안”이라고 설명했다.
심상정 대표도 “대표단들은 최종 경선과정에는 50:50이 합리적이란 생각을 가지고 있다”며 “마치 리더쉽과 책임성을 높이자는 제안이 진보정당의 자랑인 진성당원제의 골간을 흔드는 것이라고 이해하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수정안 논란의 이해를 구했다.
이날 전국운영위는 경선방식을 사실상 ‘50:50’ 안으로 확정 짓고 나서 통합진보당의 지방의원 사퇴 후 출마 문제를 논의했다. 운영위는 이 문제도 논란을 거듭한 끝에 “당의 전략적 판단을 통한 전국운영위의 승인 없이 다른 선거에 출마하기 위해 통합진보당의 공직자가 사퇴하는 것은 적절하지 아니하다”고 결정했다.
또 통합진보당 정책연구소를 진보정책연구원으로 확정하고 다음 전국운영위원회에서 연구소 이사장을 인준하기로 했다. 연구소 이사장은 국민참여당 출신인 이재정 고문이 유력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