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11월 12일 연중 제32주일 (평신도 주일)
평신도는 하느님 백성 가운데 성직자를 제외한 모든 신자를 가리킨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는 평신도의 역할을 크게 부각하면서, 평신도를 통하여 교회가 세상의 빛과 소금이 될 수 있다고 강조하였다. 한국천주교주교회의는 이러한 공의회의 정신에 따라 1968년 ‘한국 천주교 평신도 사도직 협의회’(지금은 ‘한국 천주교 평신도 사도직 단체 협의회’)의 결성을 승인하고 해마다 대림 제1주일을 ‘평신도 사도직의 날’로 지내기로 하였다. 평신도에게 주어진 사도직의 사명을 거듭 깨닫게 하려는 것이었다. 그 뒤 1970년부터는 연중 마지막 주일의 전 주일을 ‘평신도 주일’로 지내 오다가, 프란치스코 교황이 연중 마지막 전 주일을 ‘세계 가난한 이의 날’로 정하면서 2017년부터 한 주 앞당겨 지내고 있다.
오늘은 연중 제32주일이며 평신도 주일입니다. 주 하느님께서는 주님의 목소리를 듣는 이들에게 지혜를 주십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하느님의 잔칫상에 앉는 합당한 준비로, 등잔에 기름을 채워야 합니다. 기다림에 지치지 않고, 주님께서 오실 때에 서둘러 마중하여 혼인 잔치에 함께 들어갈 수 있어야 합니다.
<신랑이 온다. 신랑을 맞으러 나가라.>
✠ 마태오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 25,1-13
그때에 예수님께서 제자들에게 이런 비유를 들어 말씀하셨다.
1 “하늘 나라는 저마다 등을 들고 신랑을 맞으러 나간 열 처녀에 비길 수 있을 것이다.
2 그 가운데 다섯은 어리석고 다섯은 슬기로웠다.
3 어리석은 처녀들은 등은 가지고 있었지만 기름은 가지고 있지 않았다.
4 그러나 슬기로운 처녀들은 등과 함께 기름도 그릇에 담아 가지고 있었다.
5 신랑이 늦어지자 처녀들은 모두 졸다가 잠이 들었다.
6 그런데 한밤중에 외치는 소리가 났다. ‘신랑이 온다. 신랑을 맞으러 나가라.’
7 그러자 처녀들이 모두 일어나 저마다 등을 챙기는데,
8 어리석은 처녀들이 슬기로운 처녀들에게 ‘우리 등이 꺼져 가니 너희 기름을 나누어 다오.’ 하고 청하였다.
9 그러나 슬기로운 처녀들은 ‘안 된다. 우리도 너희도 모자랄 터이니
차라리 상인들에게 가서 사라.’ 하고 대답하였다.
10 그들이 기름을 사러 간 사이에 신랑이 왔다.
준비하고 있던 처녀들은 신랑과 함께 혼인 잔치에 들어가고, 문은 닫혔다.
11 나중에 나머지 처녀들이 와서 ‘주인님, 주인님, 문을 열어 주십시오.’ 하고 청하였지만,
12 그는 ‘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말한다. 나는 너희를 알지 못한다.’ 하고 대답하였다.
13 그러니 깨어 있어라. 너희가 그 날과 그 시간을 모르기 때문이다.”
예전에는 잔치를 이렇게 준비하였습니다.
어렸을 때 동네에 잔치가 있거나 아주 귀한 손님이 온다고 하면 그날은 마을전체가 한바탕 큰 소동이 벌어집니다. 오늘 혼인잔치의 풍경을 말씀하시는 주님의 모습을 상상하면서 혼인잔치가 있었던 옛날의 모습을 생각하게 됩니다. 잔치가 있다는 것을 많은 사람들에게 알리고 소중한 사람을 초청하고, 일을 도와줄 사람들에게 도움을 청합니다. 사람들 모두 정말 기쁜 마음으로 축하의 뜻을 가지고 그 집의 잔치가 성황리에 치러지기를 간절히 축원합니다. 큰 잔치를 앞두고 여러 날에 걸쳐서 서로 도와가면서 힘을 합해서 함께 잔지준비를 합니다.
잔치를 준비하는 순서는 이렇습니다.
첫째, 우선 집 안팎을 아주 깨끗하게 청소합니다. 음식준비 할 동안에 더러운 곳을 아주 깨끗하게 청소합니다. 구석구석 먼지도 털어내고 깨끗하게 쓸고 뒷산에 가서 깨끗한 황토를 지게로 져 와서 바닥에 가지런히 깔아 놓는데 지금의 카펫을 깔아놓는 것과도 같습니다. 그리고 잔칫집 온 식구들은 물을 따뜻하게 데워 목욕을 정성스럽게 합니다. '신목자필탄관'(新沐者必彈冠)이란 말이 있는데 <새로이 목욕한 사람은 반드시 옷이나 모자를 퉁겨 먼지를 털어낸다.>라는 말입니다. 그렇게 몸과 마음을 정결하게 합니다.
둘째, 안전사고가 일어나지 않도록 조심합니다. 다치게 할 수 있는 것이나 불필요한 것들은 모두 정리합니다. 못이 삐죽 나와 있는 널빤지나, 유리 조각들을 치우고, 빨래 줄도 걷어놓고, 아이들이 손에 닿아 위험한 것들은 모두 치워놓습니다. 손님들이 와서 위험스러운 염려가 있는 것들은 모두 치우고 집안의 모든 물건들은 정리정돈을 잘해서 찾기 쉽고 보기 좋게 만듭니다. 혹시라도 잔치 집 분위기를 망칠 수 있는 것은 모조리 치우고 정리하고 부정을 탈 수 있는 것은 미리 치웁니다.
셋째, 불을 밝힐 준비를 합니다. 기름을 넉넉하게 준비하고, 잔치 집 분위기를 고조시킬 많은 등을 달아놓습니다. 특히 전기가 들어오지 않을 때 등은 필수사항이었습니다. 혼인잔치에는 청사초롱을 달고, 등잔불도 준비하고, 초도 많이 준비해 두고 쉽게 불을 켤 수 있는 갑으로 된 큰 성냥통도 준비합니다.
넷째, 사람들이 오순도순 모여서 음식 준비를 합니다. 음식은 구색을 갖추어 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술과 식혜, 떡과 빵, 부침과 튀김, 고기와 생선, 과일과 과자, 김치와 각종 채소도 색깔과 용도에 맞추어서 여러 가지를 장만하고 잔치를 앞두고 소를 잡는 경우는 그리 많지는 않았지만 더러는 소도 잡고 돼지와, 닭도 잡습니다. 여하튼 음식을 정성스럽게 준비하는 것이 가장 큰 즐거움이었는데 한 마을에서 양념이나 달걀, 각종 기름과 채소는 전부 부조를 하기도 합니다. 별도로 부조 돈도 준비하지만 농촌에서 쉽게 구하 수 있는 음식 준비로 부조를 했습니다. 남자들은 물도 길어오고, 솥도 걸어주고, 땔감도 준비하고, 물건도 나릅니다. 그 잔치 집 아이들은 심부름하느라고 바쁘고 힘들지만 가장 즐거운 일이었습니다.
이렇게 정성껏 모두 모여 준비한 잔치 날에는 예식 준비 즉 결혼식 상차림을 준비합니다. 병풍도 준비하고, 주인공들이 입을 관복과 사모관대와 원삼 족두리까지 준비합니다. 혼인식을 위해서 목기러기를 빌려오고, 잘생긴 닭도 준비하고, 꽃도 준비하고, 음식을 정성스럽게 괴어 놓습니다.
잔치 당일이 되면 모든 사람들이 각각 맡은 일을 분담해서 일사천리로 잔치를 벌입니다. 모든 준비가 끝나고, 신랑이나 주인공이 오기를 기다립니다. 모든 사람들은 동구 밖을 쳐다보고, 파수꾼이 나가서 기다리다 신랑이나 신부가 나타나면 손을 흔들면서 신호를 보냅니다. “신랑이 온다. 신랑을 맞으러 나가라.” 정말 최고의 순간입니다. 그러면 풍물패가 앞장을 서고 모든 사람들이 환영하는 흥겨운 잔치가 벌어집니다.
오늘 이 잔치의 모습이 우리들의 미사 모습인 듯합니다. 말씀의 식탁에 앉으시는 주님을 맞이하기 위해서, 성체로 오시는 주님을 맞이하기 위해서 우리는 어떻게 준비하고 있습니까? 잔치를 위한 준비는 옛날의 일만은 아닐 것이고 지금도 계속되고 있으며 그렇게 준비해야 합니다. 모든 것이 생략된 것이 하나도 없으며 모든 것이 각각 의미를 아주 깊이 간직하고 있답니다. 음식의 색깔도, 종류도 각각 의미를 간직하고 있고 소홀히 할 수 없는 그 모든 것을 우리는 어떻게 준비하고 있는지 생각해 보아야겠습니다.
오늘이라는 후한 잔치를 베푸시고 오늘도 저희를 초대하시는 주님! 혼인잔치를 준비하는 그 모든 단계를 통하여 저희가 주님을 맞이하는 매 순간을 살피게 하소서! 저희가 당신을 맞이하기 위해서 해야 할 일을 잘 생각하고 준비하는 지혜를 허락하시어 매일 잔치를 어떻게 치러야 하는지 일깨워 주소서. 그래서 잔치 상에 초대된 사람들이 섭섭하지 않게 아주 잔치 대접을 잘 받았다는 얘기를 들을 수 있도록 주님, 저희를 이끌어 주시고 저희도 기쁜 마음으로 참례하게 하소서. 자비의 주님!
<하느님께서는 예수님을 통하여 죽은 이들을 그분과 함께 데려가실 것입니다.>
▥ 사도 바오로의 테살로니카 1서 말씀입니다.4,13-18
13 형제 여러분, 죽은 이들의 문제를 여러분도 알기를 바랍니다.
그리하여 희망을 가지지 못하는 다른 사람들처럼 슬퍼하지 말라는 것입니다.
14 예수님께서 돌아가셨다가 다시 살아나셨음을 우리는 믿습니다.
이와 같이 하느님께서는 예수님을 통하여 죽은 이들을 그분과 함께 데려가실 것입니다.
15 우리는 주님의 말씀을 근거로 이 말을 합니다. 주님의 재림 때까지 남아 있게 될 우리 산 이들이
죽은 이들보다 앞서지는 않을 것입니다.
16 명령의 외침과 대천사의 목소리와 하느님의 나팔 소리가 울리면, 주님께서 친히 하늘에서 내려오실 것입니다.
그러면 먼저 그리스도 안에서 죽은 이들이 다시 살아나고,
17 그다음으로, 그때까지 남아 있게 될 우리 산 이들이
그들과 함께 구름 속으로 들려 올라가 공중에서 주님을 맞이할 것입니다.
이렇게 하여 우리는 늘 주님과 함께 있을 것입니다.
18 그러니 이러한 말로 서로 격려하십시오.
축일11월 12일 성 요사팟 쿤체빅 (Josaphat Kuncevyc)
신분 : 대주교, 순교자
활동 지역 : 폴로츠크(Polotsk)
활동 연도 : 1580?-1623년
같은 이름 : 요사파트
성 요사팟 쿤체빅은 1580년경 당시 폴란드 관구였던 현 우크라이나의 볼린(Volyn) 관구에 속한 볼로디미르(Volodymyr)라는 작은 마을에서 태어나 요한(Joannes)이란 이름으로 세례를 받았다. 그가 태어난 시기는 리투아니아의 동방 교회에 분열이 일어나던 때로 폴란드의 지배를 받던 리투아니아의 동방 교회와 가톨릭 교회가 대립한 상황이었다. 귀족 가문 출신인 그의 아버지는 상업에 종사했고, 그의 부모는 자녀들에게 올바른 신앙을 심어 주고자 노력했다. 볼로디미르에서 학교를 마친 그는 부모의 가업을 잇고자 상업을 배우기 위해 빌나(Vilna, 오늘날 리투아니아의 수도인 빌뉴스, Vilnius)의 포포빅(Popovyc)이라는 사람의 도제로 보내졌다. 그러나 수도생활에 더 큰 관심을 갖게 된 그는 주인의 딸과 결혼하면 사업을 물려주겠다는 제의를 거부하고, 1604년 빌나에 있는 바실리오회의 삼위일체 수도원에 입회하여 요사팟이라는 수도명을 받았다.
요사팟 쿤체빅은 1609년에 비잔틴 전례에 따라 사제로 서품되었고, 그 즉시 설교로 유명해진 한편 우크라이나 교회와 로마간의 일치를 위한 지도력을 발휘해 큰 성공을 거두었다. 함께 입회했던 친구 루트스키(Benjamin Rutsky)는 삼위일체 수도원의 원장이 되었고, 그는 폴란드에 새 수도원을 세우라는 사명을 받고 파견되었다. 1617년 11월 12일 비테프스크(Vitebsk)의 주교로 임명된 요사팟 쿤체빅은 그 이듬해에 폴로츠크의 대주교가 되었다. 이때부터 그는 혼란하던 교구를 바로잡고 교회일치를 위해 더욱 노력하기 시작하였다. 로마와의 반목, 기혼 사제 문제, 느슨한 규칙, 폐허화된 성당 등을 고치기 위해 시노드를 소집하고 교회개혁에 박차를 가해 상당한 성공을 거두었다. 그래서 리투아니아 안에서 가톨릭 교회의 영향력도 크게 성장하였다.
이즈음에 그와 뜻을 달리하던 일단의 분리파 주교들이 요사팟 쿤체빅은 실제로 라틴 전례의 사제이며, 로마 가톨릭은 리투아니아 민중에게 맞지 않는다고 주장하면서 대립주교를 내세웠다. 그래서 극도의 혼란상에 빠졌지만 그는 온갖 위험을 극복하며 비테프스크로 사목방문을 가던 중 새로운 정교회를 주장하는 분리파에 의해 1623년 11월 12일 도끼와 총탄으로 죽임을 당해 드비나(Dvina) 강에 던져졌다. 교회일치를 위한 열정으로 인해 ‘일치의 사도’로 불리며 순교자로서 공경을 받는 그의 사망 후에 많은 사람들이 가톨릭으로 개종하였고, 그의 전구로 인해 수많은 기적이 일어났다. 그는 1643년 5월 16일 교황 우르바누스 8세(Urbanus VIII)에 의해 복자품에 올랐고, 1867년 6월 29일 교황 비오 9세(Pius IX)에 의해 시성되었다.
오늘 축일을 맞은 요사팟 쿤체빅 (Josaphat Kuncevyc) 형제들에게 주님의 축복이 가득하시길 기도합니다.
야고보 아저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