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초년생부터 은퇴자까지 연령대별 투자 포트폴리오
애널리스트의 보고서 읽는 법 - 첫 번째로 애널리스트가 발간한 여러 자료 중에서 가장 주목할 것은 '산업 분석'보고서라고 본다. 두 번째로 '목표 주가' 혹은 '매수 추천' 여부에 너무 신경 쓰지 말라는 것이다.
저자는 한국 주식과 미국 국채 투자를 반반 할 것을 추천. 한국 주식과 미국 주식 그리고 미국 국채에 1/3씩 투자하는 것도 고려
한국의 60세 이상 가정의 중앙값 수입 - 연 2,950만 원.
한국 사람의 월평균 국민연금 수령액은 60만 원 내외.
2020년 기준 남성의 기대수명은 80.5세, 여성은 86.5세로 50년 만에 20년 이상 늘어났다
기대수명에서 질병이나 사고로 신체가 원활하게 활동하지 못하는 기간을 뺀 이른바 건강수명은 66.3세에 불과하다.
한국에서 상위 10%의 순자산은 9억 731만 원, 상위 5%는 13억 원, 상위 1%는 29억 2,010만 원. 상위 0.1%는 77억 원.
이 책에서 나이대 별 투자법을 제시하고 있다
20대를 위한 투자법 ; 반반 적립 투자 - 한국 주식과 미국 국채 반반
30대를 위한 투자법 : 투자 3분법 - 투자자산의 2/3을 주식에 투자
40디를 위한 투자법 : 탈무드 투자법 - 자산의 1/3은 주식, 1/3은 채권, 1/3은 리츠
50대를 위한 투자법 : 투자 4분법 - 탈무드 투자법에 '금'을 추가. 즉 금과 미국 리츠, 한국 주식, 미국 국채에 각각 자산의 1/4를 투자하는 전략. 이렇게 하면, 인플레이션의 위험이 커지더라도 안정적인 투자 성과를 기대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