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온 (五蘊)
불교에서 인간을 구성하는 물질적 요소인 색온(色蘊)과 정신요소인 4온을 합쳐 부르는 말.
구역(口譯)에서는 오음(五陰) 이라고도 한다.
온이란 곧 집합 ·구성 요소를 의미하는데,
오온(五蘊)은 색(色)·수(受)·상(想)·행(行)·식(識)의 다섯 가지이다.
처음에는 오온이 인간의 구성요소로 설명되었으나 더욱 발전하여 현상세계 전체를 의미하는 말로 통용되었다.
오온(五蘊)이 인간의 구성요소를 의미하는 경우에는 ‘색’은 물질요소로서의 육체를 가리키며, ‘수’는 감정·감각과 같은 고통·쾌락의 감수(感受)작용, ‘상’은 심상(心像)을 취하는 취상작용으로서 표상 ·개념 등의 작용을 의미한다.
‘행’은 수·상·식 이외의 모든 마음의 작용을 총칭하는 것으로, 그 중에서도 특히 의지작용·잠재적 형성력을 의미한다.
‘식’은 인식판단의 작용, 또는 인식주관으로서의 주체적인 마음을 가리킨다.
약해서 명색(名色:名은 4온에 해당)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오온(五蘊)은 현상적 존재로서 끊임없이 생멸(生滅)변화하는 것이기 때문에, 상주(常住)불변하는 실체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한다.
불교의 근본적인 주장으로서의 무상(無常)·고(苦)· 공(空)·무아(無我)를 설하는 기초로서 설명되었다.
부파불교의 아비달마(阿毘達磨) 철학에서는 ‘식’은 마음의 주체[心王], ‘수’,‘상’,‘행’은 마음의 부분적 작용·상태 등의 속성[心所]이라고 하며, ‘행’에는 또한 마음의 작용 이외에 물질 ·마음을 작용시키는 힘[心不相應行]도 있다.
‘색’의 개념도 원시불교에서의 상식적·구체적 존재에서 물질의 형식·성질, 물질 일반으로 변화되었다.
이러한 오온설의 철학적 의미는 모든 인간계가 실체가 없는 가화합(假和合)·개공(皆空)으로 이루어진 현상적 존재이기 때문에 집착하지 말아야 할 것을 설명하고 있다.
즉 오온가화합(五蘊假和合), 오온개공(五蘊皆空) 등의 말뜻이 그것이다.
오온(五蘊)은 개인 존재를 구성하는 '5개의 집합', 즉 '색'(色), '수'(受), '상'(想), '행'(行), '식'(識)을 말한다.
'색'(rūpa)은 물질적인 형태로서 육체를 의미한다.
'수'(vedanā)는 감수(感受) 작용인데, 의식 속에 어떤 인상을 받아들이는 것, 감각과 쾌ㆍ불쾌 등의 단순 감정을 포함한 작용을 말한다.
'상'(samj˜nā)은 표상 작용으로 의식 속에 상(象)을 구성하고 마음속에 어떤 것을 떠올려 관념을 형성하는 것, 대략 지각ㆍ표상 등을 포함하는 작용이다.
'행'(samskāra)은 형성 작용으로, 능동성ㆍ잠재성 형성력을 의미하고, 우리가 경험하는 어떠한 것을 현재에 존재하는 것처럼 형성하는 작용을 말하며, '수'ㆍ'상ㆍ'식' 이외의 모든 마음의 작용을 총칭한 것으로서 특히 의지 작용을 말한다.
'식'(vij˜nāna)은 식별작용을 말하는 것으로서, 대상을 구별하고 인식ㆍ판단하는 작용, 혹은 마음의 작용 전반을 총괄하는 주체적인 마음의 활동을 말한다.
'수' 이하의 4온(四蘊)은 정신적 요소로 색온(色蘊)과 결합하여 심신(心身)을 이루기 때문에 '명색'(名色, nāmarūpa) 이라고도 불린다.
개인의 존재는 이 오온(五蘊)에 의해 성립하는데, 세속적 입장에서는 이렇게 하여 성립한 모든 것을 총괄하여 '아'(我)ㆍ'자기'(自己)라고 부른다.
그러나 우리의 중심 주체는 이러한 '집합'속에서 인식되지 않는다.
오온은 현상적인 존재로서 끊임없이 생멸ㆍ변화하기 때문에, 언제나 머물러 있는 불변의 실체는 존재하지 않는다.
개인적 존재는 오온(五蘊)이 임시로 모여 구성된 것(五蘊假和合)이고, 오온(五蘊)의 그 어느 것도 '아'로 불리울 수 없다(五蘊無我)고 한다.
오온은 또한 윤회 생존의 기반이라는 의미에서 '오취온'(五取蘊)이라고도 불린다.
후에 오온의 개념 내용이 확대되어, 현상 세계의 모든 구성요소를 의미하는 것이 되었다.
대승에서는 오온 그 자체도 또한 공(空)이고 실재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