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조의 관직 및 과거에 대한 이해
1. 관직의 명칭(名稱)
대개 관직의 정식명칭은 계(階 : 품계), 사(司 : 소속된 관청),
직(職 : 맡은 직분)의 순서로 쓴다.
예를 들면
대광보국숭록대부 의정부 영의정(大匡輔國崇祿大夫議政府領議政)에서,
대광보국숭록대부란 계를 말하며 품계의 명칭이고,
의정부는 사를 말하며,
영의정은 직을 말하며 직분이 된다. 쉽게 오늘날의 군대와 견줄 수 있다.
계(階)는 계급에 해당하며 사(司)는 소속부대,
직(職)은 직위 즉, 계급은 육군중령이고
○○부대 대대장하는 식으로 이해하면 된다.
2. 관직의 행수법(行守法)
간혹 행수법이라고 해서 어떤 관직 앞에 행(行)이나
수(守)자를 붙여쓰는 경우가 있다.
행(行)이란, 자신의 품계보다 실제관직이 낮은 경우
즉, 종1품계인 숭록대부(崇祿大夫)가 정2품 관직인
이조판서(吏曹判書)직을 맡으면
관직 앞에 행(行)자를 붙여
숭록대부 행 이조판서(崇祿大夫行吏曹判書)라 한다.
반대로, 자신의 품계보다 실제관직이 높은 경우에
수(守)라 하는데 종2품계인 가선대부(嘉善大夫)가
정2품인 대제학(大提學)을 맡으면
가선대부 수 홍문관 대제학(嘉善大夫守弘文館大提學)이라 한다.
3. 증직(贈職)과 영직(影職)
증직이란 종친이나 종2품이상 관원의 부모,
조부모, 증조부모 또는 효자, 충신, 학덕이 현저한
사람에게 공이나 덕을 기리어,
나라에서 사후에 관직과 품계를 추증(追贈)하는 벼슬로
관직 앞에 증(贈)자를 붙인다. 영직이란 실제로 근무하지 않고 이름만 가지고 있는
벼슬로 이를 차함(借銜)이라고도 한다.
4. 직책과 부서명, 성명과 자호의 조합
돈녕부나 중추부, 의금부 등 많은 부서들에 판사(判事)나
지사(知事) 등의 직책을 두고 있다.
오늘날이라면 돈녕부 판사 식으로 명명하겠으나,
예전에는 그렇지 않아 판돈녕부사나, 지중주부사 등으로
표현하고 있다.
요즘 세대들에게는 무척 낯설게 느껴지는데,
이는 자호나 직위가 이름과 결합할 때도 마찬가지이다.
가령 오늘날에는 <퇴계 이황>선생이라는 표현을 하지만
조선조의 표현을 따른다면 <이퇴계황>이라고 했던 것이다. |
소과(小科) : 자격시험
대과(大科) : 관리 채용시험
식년시(式年試) : 子, 卯, 午, 酉년에 실시되는 정기시험.
증광시(增廣試) : 왕의 생일, 왕자의 탄생 등
국가의 경사에 실시.
별시(別試) : 정시(庭試), 알성시(謁聖試), 친시(親試),
지방시(地方試) 등의 특별시험.
중시(重試) : 기성관리의 승진시험. |
|
주요관직 등 특기사항
|
◎ 본 자료는 10여년전 간행된 연안이씨 대종회의
<연안이씨종보>를 토대로 작성한 것입니다.
|
相臣 : 영∙좌∙우의정, 3정승을 말함.
|
이귀령 李貴齡 (世宗朝.左議政) 이정귀 李廷龜 (仁祖朝.左議政), 이시백 李時白 (孝宗朝.領議政), 이천보 李天輔 (英祖朝.領議政), 이후 李후(玉변厚)(英祖朝.左議政), 이복원 李福源 (正祖朝.左議政), 이성원 李性源 (正祖朝.左議政), 이시수 李時秀 (正祖朝.領議政), 이존수 李存秀 (純祖朝.左議政) |
육조판서(六曹判書) :
이조판서 :
崇元(성종4년) 後白(선조10년) 光庭(선조35년)
廷龜(광해2년) 貴 (인조 9년) 明漢(인조20년)
時白(효종원년) 翊相(숙종13년) 觀徵(숙종14년)
瑜 (영조12년) 天輔(영조26년) 후(玉변厚)(영조33년)
鼎輔(영조34년) 喆輔(영조35년) 益輔(영조36년)
福源(정조4년) 命植(정조6년) 坤 (정조11년)
文源(정조11년) 時秀(정조23년) 晩秀(정조24년)
直輔(순조원년) 始源(순조6년) 肇源(순조13년)
存秀(순조19년) 若愚(헌종15년) 嘉愚(철종2년)
鶴秀(철종4년) 鍾愚(철종10년) 明迪(고종9년)
道宰(고종41년 內務大臣)
호조판서 :
淑琦(성종20년) 後白(선조11년) 光庭(선조)
廷龜(선조) 時昉(효종3년) 一相(현종5년)
喆輔(영조30년)
益輔(영조11년) 性源(정조6년) 時秀(정조19년)
晩秀(순조3년) 肇源(순조27년) 存秀(순조27년)
道宰(고종35년 外務大臣)
예조판서 :
補丁(태조) 好閔(선조) 廷龜(선조)
明漢(인조23년) 一相(현종2년) 觀徵(숙종4년)
鼎輔(영조31년) 喆輔(영조35년) 益輔(영조36년)
之億(영조40년) 福源(정조3년) 命植(정조6년)
文源(정조16년) 祖源(정조20년) 時秀(정조21년)
晩秀(정조24년) 始源(순조6년) 肇源(순조12년)
益運(순조12년) 存秀(순조21년) 嘉愚(헌종12년)
若愚(헌종14년) 鶴秀(철종2년) 鍾愚(철종11년)
豊翼(고종7년) 明迪(고종7년) 喬翼(고종22년)
道宰(고종32년 學務大臣)
병조판서 :
貴齡(태종5년) 廷龜(광해원년) 貴 (인조4년)
時白(인조16년)
공조판서 : 자료 미비. |
공신(功臣) :
이숙기 李淑琦 (世祖朝∙李施愛亂討伐 1等功臣,
成宗朝∙成宗卽位 1等功臣),
이숭원 李崇元 (成宗朝∙成宗卽位 3等功臣),
이석형 李石亨 (成宗朝∙成宗卽位 4等功臣),
이곤 李坤 (中宗朝∙中宗反正 4等功臣),
이후백 李後白 (宣祖朝∙宗系辨誣 2等功臣),
이호민 李好閔 (宣祖朝∙扈聖 2等功臣),
이광정 李光庭 (宣祖朝∙扈聖 2等功臣),
이귀 李貴 (仁祖朝∙仁祖反正 1等功臣),
이시백 李時白 (仁祖朝∙仁祖反正 2等功臣),
이시방 李時昉 (仁祖朝∙仁祖反正 2等功臣)
문형(文衡) : 홍문관, 예문관의 대제학을 일컬음.
부문별 종합순위의 수치와 다른 것은
근거 자료가 다른 데서 비롯된 것으로 사료됨. |
이정귀 李廷龜 (宣祖朝),
이호민 李好閔 (宣祖朝),
이명한 李明漢 (仁祖朝),
이일상 李一相 (仁祖朝),
이정보 李鼎輔 (英祖朝),
이복원 李福源 (英祖朝),
이만수 李晩秀 (憲宗朝) |
호당(湖堂) : 조선 전기에 과거에 급제하여 벼슬길에 나선
젊고 유능한 문신들을 위한 수양 ?연구 시설. 사가독서 |
이석형 李石亨 (世宗朝),
이숙함 李淑? (成宗朝),
이후백 李後白 (明宗朝),
이호민 李好閔 (宣祖朝),
이명한 李明漢 (仁祖朝),
이경의 李景義 (仁祖朝),
이소한 李昭漢 (仁祖朝),
이단상 李端相 (孝宗朝),
이은상 李殷相 (孝宗朝),
이해조 李海朝 (肅宗朝)
|
경연(經筵) : 임금에게 유교경전을 강의하였으며 강의는 주로 홍문관원이 맡았다. 가장 중요한 정치협의기구이었다.
이희조 李喜朝 (肅宗朝),
이직보 李直輔 (正祖朝 吏判)
청백리(淸白吏) :
이인충 李仁忠(成宗朝),
이숭원 李崇元(中宗朝),
이기설 李基卨(宣祖朝),
이후백 李後白(宣祖朝),
이광정 李光庭(宣祖朝),
이시백 李時白(仁祖朝),
이후정 李后定(肅宗朝),
|
절의(節義) :
이언침 李彦忱 (明宗朝 乙巳士禍),
이가상 李嘉相 (丙子胡亂 殉節諸臣),
이괴 李襘 (丁丑瀋陽陪從臣),
이술원 李述源 (英祖戊申淸州亂死節臣),
이설 李偰 (韓末救國運動 및 殉節諸人),
이현섭 李鉉燮 (抗殉節諸人 庚戌合邦)
장신(將臣) :
이귀 李貴 (仁祖朝∙御營使),
이시백 李時白 (仁祖朝∙訓練大將),
이관 李慣 (肅宗朝∙摠戎使),
이조연 李祖淵 (高宗朝∙左營使)
명륜(明倫) :
(효행) 이영구 李永九 (高宗朝∙贈通政),
(열녀) 이씨 李氏 (贈敦寧都正 洪大協의 妻, 封淑夫人)
문집(文集) :
저헌집 樗軒集 (이석형 李石亨),
근곡집 芹谷集 (이관징 李觀徵),
눌옹문집 訥翁文集 (이광정 李光庭),
묵재일기 黙齋日記 (이귀 李貴),
이충정공장소 李忠定公章疎 (이귀 李貴),
연봉집 蓮峯集 (이기설 李其卨),
원천집 原泉集 (이기수 李驥秀),
희구재유고 喜懼齋遺稿 (이도익 李道翼),
대학집람 大學集覽 (이단상 李端相),
사례비요 四禮備要 (이단상 李端相),
성현통기 聖賢通紀 (이단상 李端相),
역통대상편람 易統大象便覽 (이만부 李萬敷),
사서강목 四書講目 (이만부 李萬敷),
도동편 道東編 (이만부 李萬敷),
노여어 魯餘語 (이만부 李萬敷),
식산집 息山集 (이만부 李萬敷),
극옹집 屐翁集 (이만수 李晩秀),
백주집 白洲集 (이명한 李明漢),
상와고 常窩稿 (이민보 李敏輔),
쌍계유고 雙溪遺稿 (이복원 李福源),
금계집 襟溪集 (이봉수 李鳳秀),
눌운집 訥雲集 8권 (이병화 李炳華),
치평요람공편 治平要覽共編 (이석형 李石亨),
현주집 玄洲集 (이소한 李昭漢),
신편동국통감공찬 新編東國通鑑共撰(이숙함 李淑瑊),
서봉일기 西峯日記 (이시방 李時昉),
동리집 東里集 (이은상 李殷相),
동리소설 東里小說 (이은상 李殷相),
가례증해 家禮增解 (이선조 李宣朝),
농로집 農盧集 (이익연 李翼延),
학록집 鶴鹿集 (이익운 李益運),
박천집 博泉集 33권 (이옥 李沃),
동리집 東里集 16권 (이은상 李殷相),
매간집 梅磵集 7권 (이익상 李翊相),
월사집 月沙集 25권 (이정귀 李廷龜),
서연강의 書筵講義 1권 (이정귀 李廷龜),
대학강의 大學講義 1권 (이정귀 李廷龜),
광보자경편 廣補自警編 (이존수 李存秀),
중산재집 重山齋集 (이지수 李趾秀),
춘방고사 春坊故事 (이지승 李祉承),
오례통편 五禮通編 (이지영 李祉永),
보암집 晋庵集 10권 (이천보 李天輔),
지촌집 芝村集 (이희조 李喜朝),
수재유고 壽齋遺稿 (이곤수 李崑秀),
삼수헌유고 三秀軒遺稿 (이하조 李賀朝),
명암집 鳴巖集 (이해조 李海朝),
오봉집 五峰集 (이호민 李好閔),
청련집 靑蓮集 (이후백 李後白)
시조묘(始祖墓) :
충청남도 대전시 갑동 제2국립묘지내
조선조 연안이씨 부문별 순위
登科 |
相臣 |
文衡 |
文章家 |
湖當 |
耆社 |
淸白吏 |
宗廟配享 |
736 |
전주이 |
19 |
전주이
안동김 |
7 |
연안이
광산김 |
5 |
전주이 |
10 |
연안이 |
48 |
전주이 |
7 |
연안이 |
13 |
전주이 |
362 |
안동권 |
4 |
온양정 |
9 |
남양홍 |
23 |
안동김 |
6 |
전주이
남양홍
안동김
진주강
파평윤 |
5 |
안동김
풍양조 |
338 |
파평윤 |
17 |
동래정 |
6 |
전주이
안동김
의령남 |
3 |
연안이
덕수이
안동김
청송심
남양홍 |
7 |
한산이 |
21 |
연안이
청송심
파평윤 |
324 |
남양홍 |
13 |
청송심 |
6 |
전주이
풍천임 |
4 |
여흥민
의령남 |
290 |
안동김 |
12 |
청주한
여흥민 |
5 |
285 |
청주한 |
덕수이 |
5 |
덕수이
연안김
안동김
반남박
문화유
양주허
동래정
여흥민 |
20 |
동래정
남양홍 |
3 |
평산신
동래정
청풍김 |
261 |
연안이 |
11 |
파평윤 |
4 |
경주이
풍양조 |
5 |
광주이
전의이
문화유
창녕성
양천허 |
250 |
여흥민 |
9 |
연안이
문화유 |
2 |
충주박
연안차
평산신
양천허
의령남
전주최 |
19 |
한산이 |
245 |
밀약박 |
3 |
안동권
달성서
남양홍
연일정
청풍김
여흥민
해평윤
양주조
해주오
풍산홍 |
18 |
안동권 |
2 |
연안이
연안김
한양조
진주하
경주이
청주한
남양홍 |
194 |
청송심 |
8 |
남양홍
청풍김
안동권
양주조 |
16 |
대구서
풍양조 |
192 |
동래정 |
182 |
풍양조 |
15 |
해평윤 |
4 |
한산이 |
180 |
경주김 |
14 |
양주조 |
3 |
진주유
광산김
전주최
진주정
풍산홍 |
174 |
광주이 |
7 |
경주이
덕수이
반남박
풍양조
평산신 |
|
4 |
안동권
고려신
파평윤 |
13 |
의령남
청주한
풍산홍 |
171 |
경주이 |
166 |
한산이 |
|
159 |
연안김 |
|
|
148 |
풍천임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