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풍수란 무엇인가
풍수(風水)란 장풍 득수(藏風得水)를 요약한 말로, 감여,지리, 지술이라고도 한다. 풍수는 산수(山水)의 지세, 지형과 그 동정(動靜)을 헤아리는 것으로, 땅에서 뿜어 나오는 만물을 키워내는 활력의 정도에 따라 사람에게도 길흉화복을 부여한다고 보는 것이다. 이러한 술법에 능통한 자를 감여가(堪輿家)·술사·지사(地師), 지관·풍수사라 부른다.
1) 풍수, 과연 믿을 만한가
풍수설이 비록 난해하고 비과학적인 면을 내포하였지만 우리의 실생활에 직접, 간접으로 지대한 영향을 미친 것만은 부인할 수 없다.
2) 풍수의 종류
풍수는 크게 양택(陽宅)과 음택(陰宅)으로 나눈다. 집이나 궁궐같이 지상에 삼는 거처를 양택(陽宅)이라 하고, 지하를 거처로 삼는 묘지를 음택(陰宅)이라 한다. 양택은 양기(陽基)라고 하기도 한다.( 세분하여 도읍이나 군현 등 취락 풍수에서는 양기로, 그리고 개인 주택에서는 양택으로 구분함).
<도표 1 > 풍수의 종류
+- 국도 -------------+
+- 양기 ---+ +- 도참
+- 양택(주거풍수)--- + +- 도읍 마을 ------+ 사상
| |
풍 수 -+ | +- 개인 집터 ----------+
| +- 양택 ---+ +- 가상
| +- 건물의 배치와 방위 -+ 家相
| +- 왕릉
+- 음택(묘지풍수)----+
+- 민묘
3) 풍수의 본질
풍수의 본질은 생기(生氣)와 감응(感應) 두 가지라 할 수 있다. 풍수의 기본 논리는 일정한 기본 경로를 따라다니는 지기(地氣)인 생기를 사람이 접함으로써 복을 얻고 화를 피하려는 바램을 담고 있다.
* 중국 동진(東晋)의 곽박(郭璞, 276∼324년)은 《금낭경》에서 "같은 기는 서로 통한다"는 소위 동기감응론(同氣感應論)을 주장.
4) 풍수와 음양 오행의 결합
풍수 사상은 역 사상(易思想)과 음양오행설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
* 음양과 오행의 원리
모든 자연 현상을 음, 양 두 원리의 작용으로 설명한 것이 음양설이요, 이 음양설의 영향을 받아 오원기(五元氣), 즉 목(木)·화(火)·토(土)·금(金)·수(水)가 변하여 생성, 소멸함을 설명한 것이 소위 오행설(五行說)이다. 이 두 설을 함께 묶어서 음양오행설이라 한다.
*오행의 상생 상극의 원리
상생 원리: 나무[木]부터 시작, 목→화→토→금→수→(목)의 순서로 상생 작용이 순환된다. 즉, 나무는 태우면 불이 일어나고[木生火], 불에 탄 재는 흙이 되고[火生土], 흙 속에서 쇠가 나오고[土生金], 쇠가 불에 녹아 물이 되고[金生水], 물은 나무를 자라게 한다[水生木]. 이처럼 오행은 끊임없이 돌며 서로를 생성시킨다는 것이다.
상극 원리: 물[水]부터 시작. 물은 불을 이기고[水剋火], 불은 쇠를 녹이고[火剋金], 쇠는 나무를 이기고[金剋木], 나무는 흙을 이기고[木剋土], 흙으로 제방을 쌓아 물의 흐름을 막듯이 흙은 물을 이기는[土剋水] 등 수→화→금→목→토→(수)의 순으로 상극 작용이 순환된다.
이와 같은 음양 오행 사상에 다시 십간(十干 : 甲乙丙丁戊己庚辛壬癸)과 십이지(十二支 : 子丑寅卯辰巳午未申酉戌亥)가 보태져 음양오행설은 더욱 더 복잡한 체계를 이루게 되었다.
<도표2> 음양 오행 사상과 방위표
* 음양오행설이 우리의 풍수지리에 수용된 사례: 종로구 숭인동에 청룡사, 경복궁 광화문 해태상, 강릉시 송정동의 솟대
* 풍수와 패철의 만남
패철(나침판)은 풍수에서 방위를 살필 수 있는 중요한 도구. 산수의 방위를 따져 길흉을 보는 법을 이기설이라 하는데, 이 학설을 이른바 패철론(佩鐵論)이라 한다.
2. 명당은 어떻게 찾나
1) 명당은 어떻게 고르나
산천의 형세를 보고 기를 찾는 방법을 흔히 풍수 사과라고 하는데, 사과란 용(籠)·혈(穴)·사(砂)·수(水) 이 네 가지를 가리킨다. 용은 산맥의 흐름을, 혈은 기가 모인 곳을 말한다. 그 혈 주위를 혈장이라 하되 사는 혈의 좌우 전후에 있는 산, 그리고 수는 혈의 앞을 흐르는 물의 모양을 말한다.
풍수의 논리 체계에서 간룡법·장풍법·득수법·정혈법·좌향론을 경험과학적 논리 체계라 한다면, 형국론과 풍수의 본질인 동기 감응, 친자 감응 등 기(氣)와 관련된 것은 기감응적 인식 체계라 할 수 있다.
■ 간룡법 : 땅의 맥과 기는 어떻게 찾는가
간룡이란 용의 흐름이 좋고 나쁨을 용의 근원지인 조산으로부터 생기가 멈추어 모이는 혈장까지 살피는 일. 용 속에는 감추어진 산의 정기가 흐르는 맥이 있어, 용을 찾을 때는 용을 체(體)로, 맥을 기(氣)로 하여 찾는다.
풍수에서는 모든 산의 종산을 태조산(太祖山)이라고 하는데, 중국에서는 곤륜산이, 우리 나라에서는 백두산이 태조산에 해당한다. 이 태조산에서 뻗어 나온 큰 산맥을 간룡(幹籠)이라 하고, 주 산맥에서 분파된 지맥을 지룡이라 한다.
■ 장풍법 : 명당 주위는 어떻게 살피나
장풍법은 불어오는 바람을 막는 것이 아니라 나가는 바람을 막는 방법이다. 방풍(防風)이라 하지 않고 장풍(藏風)이라 한 것도 그때문이다. 장풍법은 명당 주위의 지형과 지세를 살피는 것인 만큼 입지 결정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
장풍법은 사(砂)로부터 비롯된다. 사란 혈에 모인 생기가 흐트러지지 않도록 혈 주위를 에워싼 산이나 언덕, 물을 일컫는다. 풍수에서 얘기하는 청룡·백호·주작·현무니 하는 것들이 이 사에 해당된다. 혈의 후방에 있는 것을 현무, 전방에 있는 것을 주작, 좌측에 있는 것을 청룡, 그리고 우측에 있는 것을 백호라 한다. 이 사신사(四神砂)는 혈을 에워싼 장벽이 되어 혈을 호위하는 형국을 이룬다.
<그림1> 사신사개념도
현무와 주작은 상호보완적인 청룡과 백호와는 달리 본질적으로 주인과 객, 즉 주종 관계를 이룬다. 특히 현무는 풍수 사신(風水四神) 중에서도 가장 중심이 되는 것이며, 조종 산으로부터 흘러오는 생기를 바로 혈에 주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 현무의 맞은편에 있는 산이 주작인데, 가까이 있는 산을 안산, 멀리 있는 높은 산을 조산(朝山)이라 한다.
청룡과 백호는 중국의 사천 동물(四天動物)인 용(龍), 호(虎), 작(雀), 구(龜 : 거북이) 중 동과 서에 위치하는 용호를 말한다. 마치 팔다리가 인체를 호위하는 것같이 서로 포위하여 혈을 지키는 이 양자는 풍수의 성국에서 없어서는 안 되는 것이다.
■ 득수법 : 장풍보다 득수가 우선이다
득수법(得水法)이란 말 그대로 물을 얻는다는 뜻이다. “산은 천 리의 근원을 바라보고 물은 천 리의 끝을 본다”는 말이 있다. 산은 그 성질이 움직이지 않아 정(靜)이며, 물의 성질은 동(動)이다. 산은 음이고 물은 양이다. 산수가 서로 어울리면 음양이 화합하고 기가 풍화되며 생기를 발하기 마련이다. 산수가 서로 만나는 곳은 길지가 된다.
■정혈법 : 지술의 화룡점정
정혈법은 바로 명당 중에서도 혈을 찾는 방법. 혈은 마치 인체의 경혈과 같은 곳이다. 정혈이 아닌 땅을 쓰는 일은 이 경혈을 잘못 알고 혈이 아닌 곳에 침을 놓아 바로 목숨을 잃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생기가 응결된 곳이 아닌 다른 곳에 관을 내리면 살아있던 용은 죽은 용으로 변하고, 길국은 흉국으로 순식간에 바뀔 우려가 있는 것이다.
■ 좌향론 : 어떤 방위로 안치할 것인가
좌향론은 정해진 혈에 어떤 방위로 안치할 것인가를 다루는 것. 좌향(坐向)이란 혈의 중심을 이른다. 음택에서는 관을 묻는 곳을 "좌(坐)"라 하고, 이 좌가 정면으로 향하는 방위를 "향(向)"이라 한다. 곧 좌와 향은 일직선상에 놓이게 된다. 좌향을 볼 때 가장 중시하는 것은 음양의 배합이다.
풍수에서는 방위를 말할 때 동서 남북의 명칭을 쓰지 않고 4괘(四卦)·8간(八干)·12지(十二支)를 결합해서 24방위의 명칭을 사용한다. 즉, 자오묘유(子午卯酉)가 동서남북을 가리킨다.
■ 형국론 : 좋은 땅은 형체나 문자의 모양을 닮는다
형국론은 풍수에서 생기가 충만한 좋은 땅을 사람이나 동물·식물·물체·문자 등의 형상에 비교하여 쉽게 설명한 것이다. 예를 들면 금닭이 알을 품는 형(金鷄抱卵形), 누운 소 형(臥牛形), 마주 앉은 장군 형(將軍對坐形), 배 형(行舟形), 용이 하늘로 승천하는 형(飛龍昇天形) 등이 그것이다.
김광언 교수는 풍수 유형 형국 중 동물형이 가장 많고, 물체형·인물형·식물형·문자형 순으로 나타난다고 하였다. 동물형 중에는 용이 가장 많고 소. 말·개·닭·봉 등으로 나타난다고 하였다. 물체형은 반달·배·등잔·금소반·구유·솥과 같은 유형이 많다. 식물형의 경우는 매화와 연꽃 모양이 가장 많으며, 문자류는 야자형(也字形)이 절반을 차지한다. 그 외에 내(乃)·물(勿)·용(用)·일(日)·품(品) 자 등이 있다. 인물형은 옥녀형이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신선형 순으로 나타난다.
<그림2> 풍수개념도
3. 풍수지리설의 기원과 역사
오늘날과 같이 음양 오행과 방위, 십간 십이지 등이 결합된 풍수는 진나라 때 발생하여 한나라 때에 성행되었다가 당대에 와서 절정을 이루었다. 우리 나라에서는 중국에서처럼 이론적인 조건을 갖춘 풍수설은 아니더라도 도선 국사 이전부터 자생적인 풍수가 있어 왔다. 그 후 선사 시대의 지모신 신앙과 같은 자생적인 민간 신앙의 토양 위에서 삼국시대 중국으로부터의 도교와 불교가 유입되면서 풍수설이 들어왔다고 보인다. 적어도 태종 무열왕대인 7세기 이전에 도입되어 원성왕대인 8세기에 성행했고, 도선의 활동 시기인 10세기에는 완전한 이론적인 뒷받침 속에서 풍수설이 사회적으로 커다란 영향을 미치게 되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우리 나라의 풍수는 자생풍수 - 풍수설의 도입 - 도선의 풍수설 확대 - 풍수의 국가적 수용 단계로 발전해 왔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