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수달생태경관보전지역 원문보기 글쓴이: 류재관
번호 |
수목원명/관리주체 |
주 소 |
전 화 |
홈페이지 |
1 |
국립수목원/산림청 |
경기도 포천군 소흘읍직동리51-7/광릉 |
031)540-1114 |
http://www.foa.go.kr (산림청 홈페이지)에서 “ 한국의 수목원”내 |
2 |
미동산수목원/충청북도 |
충북 청원군 미원면 미원리 20 미동산/충북산림환경연구소내 |
043)220-5581/2/4 043)220-5589 | |
3 |
충남금강수목원/충청남도 |
충남 공주 /충남산림환경연구소내 |
041)850-2661 041)850-2686 |
상동 |
4 |
대아수목원/전라북도 |
전북 완주군 동상면 대아리 산 1-2번지/전북산림환경연구소내 |
063)243-1951 |
상동 |
5 |
강원도화목원/강원도 |
강원도 춘천시 사농동 /강원도산림개발연구원내 |
033)243-6012-4 033)243-6034 |
상동 |
6 |
경상남도수목원/경상남도 |
경남 진주시 이반성면 대천리 482-1/경남산림환경연구원내 |
055)750-6345 055)750-6349 |
상동 |
7 |
완도난대수목원/전라남도 |
전남 완도군 군외면 대문리 산 109-1 |
061)552-1544 |
상동 |
8 |
내연산수목원/경상북도 |
경북 포항시 북구 죽장면 상옥리 내연산 |
054)262-6110 054)262-6111 |
상동 |
9 |
제주관광식물원 여미지/서울특별시 |
제주도 서귀포시 색달동 2920 |
064)738-3828 |
상동 |
10 |
홍릉수목원/임업연구원(1922) |
서울 동대문구 청량리동/임업연구원내 |
02)961-2525 |
|
11 |
한라수목원/제주도 |
제주도 제주시 연동 |
064)212-0652 |
|
12 |
전주수목원/한국도로공사 |
전북 전주시 덕진구 반월동 848 |
063)212-0652 |
arboretum.freeway.co.kr/ |
13 |
한계령자생식물원 |
강원도 인제군 인제읍 하추리 |
031)672-2828 |
|
14 |
미림식물원/사설(1969) |
경기 안성군 양성면 산정리176 |
054)232-4469 |
|
15 |
기청산식물원/ 사설(1969) |
경북 영일군 청하면 덕정리 9 |
054)232-4469 |
www.key-chungsan.co.kr |
16 |
에버랜드식물원/에버랜드(1976) |
경기 용인 포곡면 전대리 310 |
031)320-8491 |
|
17 |
한택식물원/사설(1987) |
경기 용인군 백암면 옥산리 산 153 |
031)333-3558 671-5665 |
www.hantack.co.kr |
18 |
외도식물원/사설 |
경남 거제군 일운면 와현리 |
0131)45-4000 |
|
19 |
한국자생식물원/사설 |
강원도 평창군 도암면 병내리 |
033)332-7069 |
www.kbotanic.co.kr |
20 |
아침고요수목원/사설 |
경기 가평 상면 행현리 축령산 |
031)584-6702/3 |
www.morningcalm.co.kr |
21 |
천리포수목원/사설 |
충남 태안군 소원면 의항리 1구 |
041-672-9310 |
www.chollipo.org |
22 |
서울대공원식물원/서울시? |
경기도 과천시 막계동 159-1 |
2)500-7354 |
|
23 |
대구수목원 |
대구 달서구 대곡동 284 |
053)642-4100 |
forestry.daegu.go.kr |
24 |
동래금강수목원 |
부산 금정구 장전2동 산 43 |
||
25 |
서울대 수목원 |
서울 관악구 신림동-경기도 안양시 |
plaza.snu.ac.kr/~arbor | |
26 |
원광대수목원 |
전북 익산시 |
||
27 |
충북대수목원 |
충북 청주시 흥덕구 개신동 산 48 |
3. 나무의 이름
나무는 각각의 이름을 갖고 있다.
가. 어떤 나무는 한 개의 이름을 갖고 어떤 나무는 여러 개의 이름을 갖고 있다. 소나무는 육송(陸松), 적송(赤松), 조선소나무라고도 한다.
나. 한 나라에서도 지방에 따라 같은 나무를 다르게 부르는 경우도 있고 다른 나무를 같게 부르는 경우도 있다(후박나무와 일본목련). 어떤 지역에서 부르는 이름을 향명(鄕名)이라고 한다. 그래서 한 나라에서도 나무의 이름을 통일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런 수종이 많은 것은 물론 아니다.
다. 여러 나라에 있는 나무의 경우는 나라마다 부르는 이름이 다를 수가 있고 사용하는 언어가 다를 경우는 필연적으로 다를 수밖에 없다.
우리의 잣나무는 일본:죠센마쓰, 중국: 紅松(홍송) 영어: Korean Pine, 학명으로는 Pinus koraiensis라고 한다.
라. 하나의 언어를 사용하면서도 체제가 다르면 나무이름이 달라지는 경우도 있는데 남한과 북한 간에 이런 현상이 보인다.<p111, 표 참조>
마. 국제간에 서로 통하는 이름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생긴 이름이 학명(學名)이다.
학명은 속명과 종명을 붙여 부르는데 뒤에 처음으로 그 이름을 붙인 사람의 이름(명명자)을 붙여 사용한다. 앞의 두가지로 부르는 것을 이명법이라고 하는데 스웨덴의 린네라는 분류학자가 제안한 방법이다.
향 명 학 명
소 나 무 Pinus densiflora Sieb et Zucc.
무 궁 화 Hibiscus syriacus L.
속명 종명 명명자
번 호 |
남 한 명 |
북 한 명 |
비 고 |
1 |
산사나무, 아가위나무 |
찔광나무 |
|
2 |
황칠나무 |
노란옻나무 |
|
3 |
나도밤나무 |
나도밤나무,나도합다리나무 |
|
4 |
광나무 |
푸른검정말나무 |
|
5 |
버즘나무 |
방울나무 |
|
6 |
백송 |
흰소나무 |
|
7 |
흑오미자 |
검은오미자나무 |
|
8 |
일본잎갈나무 |
창성잎갈나무(창성이깔나무) |
|
9 |
일본목련 |
황목련 |
|
10 |
중국단풍 |
세갈래단풍 |
|
11 |
중국굴피나무 |
풍양나무 |
|
12 |
스트로브잣나무 |
가는잎소나무 |
|
13 |
메타세쿼이아 |
수삼나무 |
|
14 |
방크스소나무 |
짧은잎소나무 |
|
15 |
리기다소나무 |
세잎소나무 |
|
16 |
개가시나무 |
돌가시나무 |
|
17 |
개산초나무 |
사철초피나무 |
|
18 |
개살구나무 |
산살구나무 |
|
19 |
개비자나무 |
좀비자나무 |
|
20 |
개느삼 |
느삼나무 |
|
21 |
개나리 |
개나리꽃나무 |
2. 나무이름의 유래
우리 나라에서 부르는 나무의 이름을 분석해 보면 재미있는 점을 발견할 수 있다. 고유한 습성, 특징, 산지, 용도, 전설, 외래어 등 여러 가지 사항들이 이름에 들어간 것을 알 수가 있다.
가. 식물의 형태에서 유래된 이름
수목 및 화훼류에서 관상의 대상이 되는 식물의 부위는 주로 꽃, 열매, 잎, 줄기 등이다. 특히 꽃과 잎은 가장 강한 인상을 남기기에 충분한 특징을 갖고 있으므로 이름의 유래가 된 것이 많다.
1) 식물기관의 형태
미선나무 : 이 나무의 열매가 부채모양의 둥근 날개가 달렸기 때문에
쥐똥나무 : 열매가 쥐의 똥 같다는데서 붙여짐
화살나무 : 줄기에 콜크질의 날개가 있어 붙여짐
은행나무 : 황색종의로 싸인 열매의 겉모양이 살구 비슷하지만 백색종자가 들어있는데서 은행이라 함
층층나무 : 가지가 계단상으로 윤생하여 수평으로 층을 형성하기 때문에 생김
산딸나무 : 열매가 진홍색으로 딸기모양과 비슷한데서 생김
용 버 들 : 원대와 큰 가지가 위로 향하지만 소지는 밑으로 처지며 꾸불꾸불
하기 때문에 용을 연상하여 생김
국수나무 : 줄기의 골속이 국수와 같다 하여 붙여진 이름
삼지닥나무 : 한 개의 줄기가 올라와 셋으로 갈라지기 때문에 생긴 이름
빗죽이나무 : 잎눈의 모양이 삐죽해서 생긴 이름
호랑가시나무 : 육각형의 잎끝에 날카롭고 단단한 가지가 있어 마치 호랑이 발톱과 같은 모양이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
매발톱나무 : 줄기의 탁엽에 매발톱 같은 가시가 있어 생겨난 이름
음 나 무 : 줄기에 가기가 크고 단단히 무섭게 나있어서 처음에 엄목이라 하고 나중에 음나무로 됨
2)잎 모양과 수
개오동나무 : 잎이 오동나무잎과 매우 흡사해서 생긴 이름
낙 우 송 : 잎의 모양이 새의 깃과 같아 붙여진 이름
칠 엽 수 : 어려서는 잎이 3-5밖에 안 되지만, 크면 잎이 7개가 됨
팔손이나무 : 잎이 8개로 갈라져 생겨난 이름
협 죽 도 : 잎은 대나무, 버드나무와 비슷하고 꽃은 복숭아꽃과 비슷함
3)꽃 모양
목 련 : 꽃의 모양이 연꽃과 비슷해서 붙여진 이름
옥 매 : 꽃이 백색으로 둥글다 해서 생긴 이름
수수꽃다리 : 꽃이 원추화로서 수수이삭 같다 하여 붙여진 이름
정향나무 : 꽃 모양이 정자(丁字)이고 향기가 난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
분꽃나무 : 꽃이 마치 가정에서 키우는 분꽃과 같다하여 붙여진 이름
중대가리나무 : 백색으로 피는 두상화서의 모습이 중의 머리를 연상케 하여
붙여진 이름
병꽃나무 : 꽃 모양이 병을 거꾸로 세운 모양처럼 생겨 붙여진 이름
백합나무(튤립나무): 꽃 모양이 백합(튤립)꽃을 닮아 붙여진 이름
나. 식물체의 색깔에서 유래된 이름
조경소재 식물에서 꽃과 열매의 화려한 색채와 잎의 아름다운 색깔, 그리고 독특한 색상을 갖는 줄기와 가지는 경관에 변화와 리듬을 주는 요소가 되고 있어 매우 중요하다.
1) 꽃 색깔
흰배롱나무 : 배롱나무 종류로 흰 꽃이 핀다.
백 목 련 : 목련의 일종으로 흰색의 꽃이 핀다.
흰무궁화 : 무궁화 종류로 흰꽃이 핀다.
흰진달래 : 진달래 종류로 흰꽃이 핀다.
흰등나무 : 등나무 종류로 흰꽃이 핀다.
야광나무 : 새하얀 꽃이 밤에도 빛을 낸다고 하여 야광이란 이름이 붙여짐
병아리꽃나무 : 순백의 하얀 꽃을 병아리에 비유하여 붙인 이름
황 매 화 : 노랑색 꽃이 피는 매화라 하여 붙인 이름
노랑병꽃나무 : 병꽃나무 일종으로 처음부터 끝까지 노란꽃이 핀다.
노랑만병초 : 만병초 종류로 노란꽃이 핀다.
노랑협죽도 : 협죽도 종류로 노란꽃이 핀다.
홍 매 : 옥매의 일종으로 꽃잎이 적색으로 만첩인 것이어서 붙여진 이름
붉은병꽃나무 : 연한 홍색의 꽃이 핀다.
홍만병초 : 진한 홍색꽃이 핀다.
자 목 련 : 목련 종류로 진한 자주색 꽃이 피기에 자목련이라 함
2) 잎 색깔
은테사철나무 : 잎 주위에 흰색테가 있어서 생긴 이름
은 단 풍 : 잎 뒷면에 은색털이 있어서 붙인 이름
은 백 양 : 잎 뒷면에 흰털이 치밀하게 나 있어 은백색으로 보여 붙인 이름
흰귀룽나무 : 잎의 뒷면이 회백색이어서 붙인 이름
금테사철나무 : 사철나무 종류로 잎 주위가 황색이어 붙인 이름
3)식물기관의 색깔
백 송 : 껍질이 벗겨지면 백색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
흰말채나무 : 열매가 백색으로 익는 것
흰노린재나무 : 열매가 백색으로 익는 것
붉은가시나무 : 목재의 색깔이 붉은 데서 비롯됨
주 목 : 수피는 적갈색이고 심재가 유달리 붉다하여 붙인 이름
노린재나무 : 가을에 단풍이 든 잎을 태우면 노란색 재를 남긴다 하여 붙임
황벽나무 : 수피를 벗기면 황색의 내피가 나타나 염료로도 쓰임
물푸레나무 : 가지를 꺾어 물속에 넣으면 물을 푸르게 만든다 하여 붙인 이름
벽오동나무 : 줄기의 수피가 백색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벽오동이라 함
다. 식물의 특성에서 유래된 이름
식물이 가지고 있는 향기와 냄새, 맛, 식물과 관련된 소리, 수액, 독성 등의 특징이 식물 이름의 유래가 되는 경우가 있다.
서 향 : 상록성의 진한 녹색 잎과 봄철에 홍자색 꽃은 향기가 좋아서 서향 또는 천리향이라 함
향 나 무 : 나무에서 독특한 향기가 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
생강나무 : 상처가 나면 생강 냄새가 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
누리장나무 : 온 줄기에서 누린내가 난다하여 붙여진 이름
오 미 자 : 열매의 맛이 다섯 가지라 하여 오미자라 함
꽝꽝나무 : 잎이 열을 받으면 꽝 소리가 난다하여 붙여진 이름
딱총나무 : 나무속을 밀면 딱 소리가 난다하여 딱총나무라 함
황칠나무 : 수피에 상처를 주면 노란색의 수액이 나오므로 붙인 이름
라. 생장 및 생태적 특성에서 유래된 이름
눈향나무 : 땅 위에 옆으로 누워서 자라므로 생긴 이름
눈잣나무 : 고산성 잣나무로 평지에 심어도 수형이 옆으로 누운 모양이어서 생긴 이름
수양벚나무 : 벚나무이면서도 수양버들처럼 가지가 늘어지며 자라기 때문에 생긴 이름
담쟁이덩굴 : 담을 기어오른다 하여 붙여진 이름
덩굴장미 : 매년 신지(新枝)가 발생하고 덩굴 모양으로 뻗는다하여 붙인 이름
인동덩굴 : 모질게 추운 겨울 날씨에도 죽지 않고 반상록 상태로 살아남는 강인한 성질 때문에 생긴 이름
마. 인간생활과의 밀접한 관계에서 유래된 이름
인간은 예로부터 여러가지 식물을 활용하면서 생활을 해 왔다. 조경 소재식물도 조경용으로 이용되기 훨씬 오래전에 식용,약용은 물론 생활에 필요한 용품을 만드는 재료로 널리 취급해 왔다.
연필향나무 : 목재를 연필재료로 이용한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
사방오리나무 : 옛날에 이 나무를 전국에서 사방용으로 많이 식재하였기에 붙여진 이름
키 버 들 : 껍질을 벗겨 낸 다음 키를 만들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
떡갈나무 : 어린잎으로 떡을 싸먹는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
염주나무 : 절이나 사찰에 심겨져 열매를 스님의 염주로 이용함
죽 순 대 : 초여름에 돋아나는 새순이라 하고 이것을 각 종 요리에 이용하기 때문에 붙인 이름
3. 나무의 분류
앞서 나무의 종류에 대하여 언급하였지만 종류를 안다는 것은 간단하지만은 않은 일이다.
식물 동물 미생물을 나누는 것은 계이다. 식물을 나누는 단위는 문으로 양치식물문 나자식물문, 피자식물문으로 나눈다. 문 아래에는 강 목 과 속 종으로 내려가며 점점 세분되는데 종은 나무를 부를 때 불려지는 것으로 분류의 기본이 된다. 각 분류단위 사이에도 또 나누어진다. 수많은 식물을 적은 분류단위로 나누자니 여러 단위가 필요하게 된다. 그러므로 아강, 아과, 족, 아종, 절, 계 등과 같이 중간 분류 단위가 있는 것이다.
종 아래에도 분류단위가 있는데 아종 변종 품종 등이 그것이다.
계 - 문 - 강 -목 - 과 - 속 - 종 ,아종
아 아 아 아 변종
문 강 과 속 품종
가. 목본식물의 과이상의 분류
문 |
아문 |
강 |
아강 |
목 |
과 |
주요수목 |
나자식물 |
소철식물 |
소철 |
- |
1. 소철 |
소철 |
소철 |
구과식물 |
구과식물 |
- |
1. 은행 |
은행 |
은행나무 | |
- |
2. 주목 |
나한송과, 개비자나무과, 주목과 |
||||
3. 구과 |
소나무과 낙우송과, 측백나무과 |
|||||
피자식물 |
- |
쌍자엽식물 |
이판화 |
<무판화군> |
||
1. 후추 |
삼백초과 후추과 홀아비꽃대 |
|||||
2. 버드나무 |
버드나무과 |
|||||
3. 소귀나무 |
||||||
4. 참나무 |
자작나무 참나무 |
|||||
5. 가래나무 |
가래나무 |
|||||
6. 단향 |
겨우살이 |
겨우살이 | ||||
7. 쐐기풀 |
느릅나무 뽕나무 쐐기풀 삼 |
|||||
8. 석죽 |
||||||
9. 쥐방울덩굴 |
쥐방울덩굴 |
|||||
<이판화군> |
||||||
10.목련목 |
목련과 포포나무과 붓순나무과 오미자나무 녹나무 계수나무 |
|||||
11.미나리아재비 |
방기 으름덩굴 미나리아재비 매자나무 |
|||||
12.조록나무 |
조록나무 버즘나무 두충 |
|||||
13. 장미 |
돌나물 범의귀 돈나무 장미 콩 |
문 |
아문 |
강 |
아강 |
목 |
과 |
주요수목 |
14. 대극 |
회양목 굴거리나무 대극 |
|||||
15 운향 |
운향 소태나무 먹구슬나무 원지 감탕나무 노박덩굴 고추나무 |
|||||
16. 무환자나무 |
옻나무 단풍나무 칠엽수 무환자나무 나도밤나무 |
|||||
17. 갈매나무 |
갈매나무 포도나무 |
|||||
18. 모란 |
||||||
19. 물레나물 |
다래 차나무 물레나물 |
|||||
20. 아욱 |
담팔수 피나무 아욱 벽오동 |
|||||
합판화 |
21. 진달래 |
매화오리 진달래, 시로미 |
||||
22. 감나무 |
감나무, 때죽나무, 노린재나무 |
|||||
23. 돌매화나무 |
돌매화나무 (암매) |
|||||
32 물푸레나무 |
물푸레나무 |
|||||
34. 앵초 |
자금우 |
|||||
35. 용담 |
마전, 협죽도 |
|||||
36.꼭두서니 |
꼭두서니 |
호자나무 치자나무 | ||||
37. 통화식물 |
마편초, 현삼, 능소화 |
|||||
단자엽식물 |
6. 벼 |
벼 |
||||
7. 종려 |
종려 |
나. 과 이하의 분류
비슷한 식물의 구별법을 만들어 보았다. 주의할 점은 간략하게 하기위해 많이 생략하였으므로 열거된 식물 이외의 것은 전문서적을 참고하기 바란다.
1) 소나무과 - 소나무속;
잣나무 : 침엽이 5개씩 모여 나고 잎이 좀 억세다(국내 자생종)
스트로브잣나무 : 침엽이 5개씩 모여 나고 잎이 부드럽다(북미산)
백 송 :침엽이 세개씩 모여나고 성숙목의 수피는 흰색이 돈다.
리기다소나무 : 침엽이 3개씩 모여 나고, 딱딱하며 비틀리고 길이가 7-14cm이며 내한성이 강하다.
테다소나무: 침엽이 세 개씩 모여나고 15-22.5cm이며 내한성이 약하다.
왕솔나무(대왕송): 잎이 3개씩 나고 길이가 20-45cm이다.
리기테다소나무: 리기다소나무와 테다소나무의 잡종
소나무(적송,육송): 침엽이 2개씩 모여 나고, 수간윗부분이 적갈색이며 동아는 적갈색이며, 대개 해변과 떨어져 분포.
금강송(강송) : 소나무와 같으나 줄기가 곧게 자란다 태백산맥지역 에 자란다.
곰솔(흑송,해송): 침엽이 2개씩 모여나고 수간윗부분이 흑갈색이고 동아는 흰색이며 주로 남한의 해변에 분포한다.
2) 백합과 - 밀나물속;
청미래덩굴: 열매가 적색이다. 잎이 둥근 모양이다
청가시덩굴: 열매가 흑색이다. 잎이 길쭉하며 둥글다
3) 자작나무과 - 자작나무속;
거제수나무: 과수(열매)가 난형또는 난상타원형이고 길이 2cm정도이다.
자작나무: 수피가 하얗다. 과수가 원통형으로서 길이 4cm로서 밑으로 쳐진다.
박달나무: 과수의 원통형으로 길이가 2~3cm이고 잎은 뒷면에 선점이 있다.
개박달나무: 과수는 난형으로 길이가 1.5~2.0cm이고 잎은 뒷면에 선점이 없다.
물박달나무: 수피가 많이 벗겨진다.
4) 자작나무과 - 오리나무속;
오리나무: 잎은 긴 타원형으서 예저(밑쪽이 짧게 좁아지면서 뾰족한 모양)이다.
물오리나무(산오리나무): 잎은 난원형 또는 타원형으로서 절저(밑쪽이 180도 정도로 된 것) 또는 넓은 예저이고 뒷면 맥상에 털이 있다
물갬나무: 잎이 심장저이다.
5) 자작나무과 - 개암나무속;
난티잎개암나무 :잎끝이 가운데가 뾰족하며 양옆은 자른 것 같은 모양이다.
개암나무 : 잎끝이 뾰족하며 자른 것 같지 않다. 종자를 싸고 있는 포가 일부 열려 있다
참개암나무: 열매의 포가 길쭉하게 발달한다.
병개암나무: 열매의 포가 짧게 발달한다
6) 참나무과 - 참나무속;
상수리나무: 잎 뒷면에 단상모가 있고 열매는 2년만에 익는다.
굴참나무 : 잎 뒷면에 별모양의 털이 밀생하고 간혹 단모가 있으며 열매는 2년만에 익는다. 줄기에 두꺼운 콜크가 발달한다.
신갈나무 : 잎에는 털이 없지만 간혹 뒷면 맥상에 단모가 있고 각두(도토리 껍질)의 포린은 꼽추처럼 등이 굽어 있으며 잎의 밑이 귓밥 모양이다. 열매는 당년에 익는다.
졸참나무 : 잎은 뒷면 전체에 누운 단모와 성모가 있다. 열매는 당년에 익는다.
갈참나무 : 단모는 곧 떨어지고 성모(별 모양의 털)는 백색이며 구불구불하지 않고 잎의 밑쪽은 쐐기 모양으로 잎자루는 길이가1-3cm 이다. 열매는 당년에 익는다.
떡갈나무 : 단모는 끝까지 남아 있고 성모는 갈색이며 크고 구불구불하며 잎은 이저(귀밥 모양)이며 잎자루는 길이가 1cm 이하이다. 잎은 가장 크다. 열매는 당년에 익는다.
7) 범의귀과 - 말발도리속; 꽃이 백색이다.
물 참 대 : 잎은 성모가 있다. 꽃은 산방화서이다.
말발도리 : 잎은 뒷면에 털이 없다. 꽃은 산방화서이다.
바위말발도리: 잎양면에 성모가 있으나 뒷면의 것은 없어진다. 꽃은1-3개씩 달린다.
8) 장미과 - 조팝나무아과 - 조팝나무속;
조팝나무 : 잎은 난형에서 긴 타원상 피침형이다. 꽃은 4월에 흰색으로 줄기를 따라 모여 달린다.
산조팝나무 : 잎은 도란형으로서 대개 삼출맥 (엽맥이 3개로 갈라짐)이 있고 톱니 끝이 둥글다. 꽃은 5월경 우산모양으로 15-20개가 흰색으로 핀다.
꼬리조팝나무 : 꽃은 6-8월경에 피고 연한 홍색이고 꼬리모양으로 끝에 달린다.
공조팝나무: 잎은 피침형 또는 넓은 타원형, 예두, 예저. 꽃은 4월에 피고 산형상
9) 콩과 - 콩아과 - 싸리속
싸리 : 잎은 3출엽(3개씩 달림)넓은 난형(계란모양으로 밑 부분이 넓음) 또는 도란형(계란모양으로 윗부분이 넓음)이며 엽맥의 연장인 짧은 침상돌기가 있다. 꽃은 홍자색으로 핀다. 꽃길이가 잎자루보다 길다.
풀싸리 : 싸리와 같으나 지상부의 대부분이 말라죽는다.
참싸리 : 싸리와 같으나 꽃길이가 잎보다 짧다.
조록싸리 : 잎은 끝이 뾰족하고 밑은 둥글다.
비수리 : 꽃이 흰색이며 꽃잎의 기판(위로 뻗은 꽃잎)의 중앙에 자색줄이 있고, 꽃받침 잎은 1맥이다. 잎이 좁다.
*광대싸리는 잎이 3개씩 달리지 않고 하나씩 달리며 콩과가 아니고 대극과임
10) 옻나무과 - 옻나무속;
붉나무(오배자나무) : 잎 가장자리 전체에 거치가 있다. 잎에 달리는 벌레집을 오배자라 한다. 잎의 중축에 날개가 있다.
개옻나무 : 잎에 흔히 2-3개의 거치가 있고 적어도 뒷면에 털이 있다. 잎자루가 붉다.
옻나무 : 잎엔 전혀 거치가 없고 잎 표면에 털이 없다
11) 노박덩굴과 - 화살나무속;
화살나무 : 가지에 날개가 있다.
회잎나무 : 가지에 날개가 없다.
12) 단풍나무과 - 단풍나무속;
신나무 : 잎은 하반부에서 흔히 3개로 갈라지고 열편에 거치가 있다.
고로쇠나무 : 잎은 5-7개로 얕게 갈라지고 열편에 거치가 없다(수액이용).
당단풍 : 잎은 9-11로 갈라지고 열편에 거치가 있다.(높은 산에 장 많다) 단풍나무 잎은5-7개로 중앙이하까지 갈라지고 열편에 거치가 있다.
중국단풍: 잎은 세 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밋밋하다.
13) 포도과 - 포도속;
새머루 : 잎 양면에 털이 없다.
머루 : 잎 뒷면에 적갈색 털이 있다.
왕머루 : 잎 뒷면에 적갈색털이 없다
14) 다래나무과 - 다래나무속;
개다래 : 일부 잎의 상반부가 흰색으로 변한다.
다래 : 잎에 무늬가 안 생긴다.
쥐다래: 잎에 연분홍색 또는 흰무늬가 생긴다. 열매가 가늘고 길다
15) 두릅나무과;
음나무(음나무속): 잎이 단풍잎 모양으로 5-9개로 갈라진다.
오갈피나무(오갈피나무속): 잎이 손바닥 모양으로 3-5개로 갈라진다.
두릅나무: 잎이 복엽(작은 것이 여러 개 달림)이다.
16) 층층나무과 - 층층나무속;
층층나무 :양쪽 잎이 서로 어긋나게 나며 잎의 측맥이 5-8쌍이다.
가지가 층을 이뤄 난다.
곰의말채 : 양쪽 잎이 서로 마주보고 나며 잎의 측맥이 6-10쌍이다.
말채나무 : 〃 마주보고 나며 잎의 측맥이 4-5쌍이다.
17) 진달래과 - 진달래속;
진달래 : 잎은 낙엽지며 끝이 뾰족하고 꽃은 담적자색이다. 잎의 표면이 산철쭉에 비해 편평하게 보인다
산진달래: 잎은 상록이고 끝이 무디며 꽃은 적자색이다.
철쭉: 잎은 4-5개씩 모여 달린다. 잎의 끝이 둥글다
산철쭉 : 잎의 끝이 뾰족하고 꽃눈의 포가 끈적끈적하다. 잎의 표면이 골이 패여 보이고 진달래보다 털이 많다.
18) 물푸레나무과 - 물푸레나무속;
물푸레나무: 소지에 털이 없다. 잎이 크다
쇠물푸레 : 소지에 털이 있다. 잎이 작다
19) 인동과 - 병꽃나무속;
붉은병꽃나무 : 잎 뒷면 중륵상에 백색의 잔털이 있고 중륵에 백색 털이 밀생하고 꽃은 연한 홍색이다.
병꽃나무 : 잎 양면에 털이 있고 뒷면 맥 위에 퍼진 털이 있다. 꽃은 황록색에서 적색으로 변한다.
II. 植物의 特性
기초적인 식물의 識別方法이나 또는 식물의 이름을 기억하기 쉬운 방법으로는 그들의 특징을 알아두는 일이다.
식물의 특징을 살펴보면 잎이나 열매, 줄기에 특유의 냄새를 지니고 있거나 줄기를 자르면 상처부위로부터 액체가 흐르는 식물도 있다. 액체의 색깔을 보면 노란색, 흰색, 보라색, 붉은 빛깔이 나타나기도 한다.
또한, 식물의 잎을 따서 입에 넣고 자근자근 씹어 보아 맛으로 구별을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쓰거나 떫은맛이 있는 것이 있는가하면 혀끝을 자극하는 식물도 있다. 이와 같이 맛의 경험에 의해 그 식물을 기억해 두는 방법이다.
이와 같이 식물이 특유한 냄새를 풍기는 것은 그 냄새로 하여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하나의 方便이기도 하다. 이런 식물을 분류하는데 기억에 남을 수 있어 쉽게 알아 낼 수 있게 된다. 그들의 식물을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1) 特有의 냄새가 나는 수목
누리장나무, 산초나무, 초피나무, 가중 나무, 참중나무
2) 특유 색깔의 油液이 分泌되는 植物
3) 혀를 刺戟하는 植物
식물명 |
부 위 |
느 낌 |
익 모 초 할 미 꽃 개 박 하 자주 쓴풀 씀 바 귀 느 삼 냉 이 소태 나무 초피 나무 황경피나무 생강 나무 |
잎 잎 잎 잎 잎 잎 잎과 뿌리 줄기 잎, 열매 잎, 열매 잎, 줄기 |
쓰다 쓰다 입안이 화하다 쓰다 쓰다 쓰다 맵다 쓰다 혀끝을 톡 쏜다 화하면서도 혀끝이 얼얼하다 생강냄새가 난다 |
4) 가시가 있는 植物
식물은 잎이나 줄기가 변하여 가시가 되는 수종도 있다. 이런 식물은 가시로하여 자기를 보호하는 무기로 삼고 있다.
가시를 달고있는 식물을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식 물 명 |
특 징 |
덩굴딸기(줄딸기) 멍석딸기 산딸기
두릅나무 산초나무 아까시나무 음나무 찔레나무 청가시덩굴 청미래덩굴 참개암나무 |
화경과 꽃받침 잎에 가시가 있다. 줄기와 화경에 가시가 있고 털도 있다. 줄기에 갈퀴같은 가시가 드문드문 달리며 엽병에도 갈퀴 같은 가시가 있다. 원줄기에 굳센 가시가 많으며 엽축과 소엽에 가시가 있다. 소지에 가시가 있고 엽축에 잔가시가 있다. 소지에 탁엽이 변한 가시가 있다. 가지에 가시가 많다 가지에 가시가 있다 줄기에 곧은 가시가 있다 줄기에 갈고리 같은 가시가 있다 관상의 총포에 털 같은 가시가 밀생한다. |
5) 덩 굴 植 物
식물 중에는 곧게 자라는 것도 있지만 옆으로 퍼져나가며 자라는 식물도 있다. 이중에는 덩굴성을 지닌 식물로 다른 수종을 감거나 땅위로 뻗으면서 자라는 덩굴성 식물이 있다. 덩굴성 식물을 들어보면 다음과 같다.
식 물 명 |
학 명 |
다래 으름 으아리 큰꽃으아리 할미밀망 댕댕이덩굴 더덕 인동덩굴 박주가리 칡 덩굴딸기(줄딸기) 오미자 청미래덩굴 청가시덩굴 왕머루 머루 새머루 . |
Actinidia arguta Planch. Akebia quiunata Decne. Clematis mandshurica Rupr. Clematis patens Morr. et Decne. Clematis trichotoma Nakai Cocculus trilobus DC. Codonopsis lanceolata ( S. et Z.) Trautv. Lonicera japonica Thunb. Metaplexis japonica ( Thunb.) Makino Pueraria thunbergiana Benth. Rubus oldhami Miq. Schisandra chinensis Baill. Smilax china L. Smilax sieboldii Miq. Vitis amurensis Rupr. Vitis coignetiae Pulliat Vitis flexuosa Thunb. |
III. 참고할 서적
고경식. 1991. 한국식물검색도감(수목). 아카데미서적 -- 사진
김용식, 송근준, 안영희, 오구균, 이경재, 이유미. 1998. 한국조경수목도감. 광일문화사 -- 부위별 사진
김태욱. 1996. 한국의 수목 교학사 사진
김태정. 1996. 한국의 자원식물.(전 5권) 서울대학교 출판부-- 사진
박재인외. 2000. 숲,문화 그리고 인간(증보판). 충북대학교 출판부 pp 37-50.-- 특성비교
이유미. 1995.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나무 백가지. 현암사
이영노.1996.원색한국식물도감. 교학사 - 사진
이창복. 1985 수목학. 향문사. 21-25. --교과서
이창복. 1993.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pp.990.--그림 흑백
이창복.2003. 원색대한식물도감 상 하 향문사.- 사진 및 그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