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명강리쇄 (名繮利鎖)명예의 고삐와 이익의 쇠사슬. 세상 명리에 얽매여 있다는 말이다. 당나라 덕종 때의 재상 노기(盧杞)는 못생긴 외모에다 음험한 마음씨를 가진..
멸차조식 (滅此朝食)이것을 멸한 다음 아침을 먹겠다. 먼저 적을 섬멸한 다음 아침 식사를 하겠다는 말로, 한시바삐 적을 물리치고 승리를 얻으려는 결연한 의지를 ..
면벽공심 (面壁功深)벽을 마주하고 조예를 깊이 하다. 달마(達摩)가 숭산(嵩山) 소림사(少林寺)에서 9년간 면벽좌선을 하면서 높은 경지에 올랐다는 고사에서 유래..
면목 (面目)얼굴과 눈. 체면을 가리키는 말이다. 초패왕 항우와 한왕 유방이 천하를 놓고 다투었던 초한(楚漢) 전쟁은 5년간 지속되다가 유방의 승리로 끝..
면리장침 (綿裏藏針)솜 안에 바늘을 감추다. 겉모습은 부드러우나 마음속에는 악한 마음을 품고 있다는 것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이다. 「공(소식(蘇軾))은 또 “나..
면류관 (冕旒冠)면류(끈으로 꿰어 늘어뜨린 주옥)로 장식된 관. 고관대작의 머리를 장식하는 관. 영광된 상황을 맞이하거나 명예를 얻은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맹인할마 (盲人瞎馬)장님이 눈먼 말을 타다. 아주 위험한 행동을 비유하는 말이다. 원말은 ‘맹인기할마 야반임심지(盲人騎瞎馬, 夜半臨深池)’로 ‘맹인이 눈먼 말을..
맹인모상 (盲人摸象)장님이 코끼리를 더듬다. 전체를 파악하지 못하고 자기가 알고 있는 작은 부분만 고집하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옛날 인도의 어떤 왕이 진리에..
맹모삼천지교 (孟母三遷之敎)세 번 이사한 가르침. 맹자(孟子)의 어머니가 자식을 위해 세 번 이사했다는 뜻으로, 어머니가 자식을 훌륭하게 가르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을 ..
맥구읍인 (麥丘邑人)맥구읍 사람. 곱고 덕스럽게 늙어 인생의 바른 길을 인도할 수 있는 슬기로운 노인을 가리키는 말이다. 「제환공(齊桓公)이 사냥을 나갔다가 맥..
매황유하 (每況愈下)매번 상황이 갈수록 내려가다. 상황이 갈수록 나빠지거나, 형편이 날로 악화되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본래는 ‘매하유황(每下愈況)’으로 돼지..
매처학자 (梅妻鶴子)매화를 아내로 삼고 학을 자식으로 삼다. 속세를 떠나 자연을 벗 삼으며 유유자적하게 사는 선비의 풍류 생활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이다. 「임포..
매독환주 (買櫝還珠)구슬 상자를 사고 구슬은 돌려주다. 본연의 일은 잊고 지엽적인 일만을 추구하는 것을 비유하거나, 물건을 제대로 보는 눈이 없음을 비유하는 말..
망진막급 (望塵莫及)먼지만 바라볼 뿐 쫓아가지 못하다. 너무 빠르기 때문에 미처 따라잡을 수가 없거나, 원하는 바를 손에 넣지 못하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
망자존대 (妄自尊大)도리에 어긋나게 스스로를 높이고 크게 여긴다. 스스로 잘난 체하고 우쭐대며 다른 사람을 무시하는 것을 말한다. 한나라 말년, 왕망(王莽)이 ..
망자재배 (芒刺在背)가시가 등에 박히다. 주위에 꺼리고 두려워하는 사람이 있어 불안하거나 마음이 편치 않거나, 어떤 일을 도모하면서 주변의 눈치를 살피는 것을 ..
망매지갈 (望梅止渴)매화나무를 바라보며 갈증을 그치게 하다. 상상을 통해 마음의 위안을 삼거나, 빈말로 남의 욕구를 충족시켜 희망을 줄 뿐 실제로는 문제를 해결..
망극득모 (亡戟得矛)극(戟, 미늘창)을 잃고 모(矛, 창)를 얻다. 손익이 서로 맞물려 별 손해가 없다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BC589년 안(鞍, 산동 제..
망국지음 (亡國之音)나라를 망하게 하는 음악. 음란하고 사치한 음악과 망한 나라의 음악, 그리고 지나치게 애조(哀調)를 띤 음악을 말한다. 「음악은 사람의 마음..
만전지책 (萬全之策)만전을 기하는 계책. 아주 안전하거나 완전한 계책을 말한다. 후한 말기, 건안 5년(201) 조조(曹操)의 군대와 북방 최대의 실력자인 원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