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표희선 코다 언니의 글 아래 단 댓글을 옮겨 답니다.) 저도 무척 죄송한 말씀이긴 하나, 농부모를 둔 청인으로서 댓글답니다. 일단 저와 몇몇 코다들은 이날 '농인'들만을 청중으로 한다는 이야기를 전달받지 못했습니다. 코다 토크콘서트이니 당연히 청인인 코다가 더 많을 줄 알았고 그렇게 청중이 많을 거라는 생각을 하지 못했습니다. 현장에 가보니 본 행사 이전에 했던 행사가 있어 거기 참석하신 농인분들이 그대로 자리에 앉아계시더라구요. 그래서 농인들이 대부분인 청중이라는 것을 미리 전달받지 못했기 때문에 제가 더 표현을 잘 할 수 있는 언어인 음성언어로 말한 것입니다. 수화는 저에게 모어입니다.
저는 수화를 좋아하고 사랑합니다. 그런데 제가 겪은 이야기를 수화로 표현하는 것보다 음성언어로 말하는 것이 더 자연스럽게 이야기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음성언어를 택한 것입니다. 만약 농인들이 대부분인 자리라고 미리 전달받았더라면 당연히 수화로 토크콘서트 자리에 섰겠지요. 그리고 저는 코다라고 해서 꼭 수화를 써야하나? 수화를 쓰지 않으면 성의가 없는건가? 그 논리에 허점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코다에게는 수화와 음성언어가 있습니다. 그 두 가지의 언어를 늘 넘나들고 있지요. 당연히 박창후님이 '왜 농인커뮤니티에서 수화를 쓰지 않고 음성언어를 쓰냐. 수화를 써라'라고 하는 논리는 이해합니다.
농인이 그간 겪어왔던 차별과 배제에 의한 것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그 자리에는 청인들도 있었습니다. 만약 청인이 1-2명이라고 해서 말을 쓰지 말고 이제 수화로만 진행하자, 라고 하는 게 말이 될까요? 저는 농인이 그동안 청인에게 차별을 받았더라도 농인이 청인을 대할 때 더 큰 관용과 포용의 자세를 가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야 농인과 청인이 함께 어우러져 살 수 있을 테니까요. 단순히 '말'을 썼다는 이유만으로 성의가 없다, 라고 말하는 것은 별로 좋은 시각이 아니라고 봅니다. 장기적으로도요.
@이길보라 아버지는 농아인 어머니는 농아인 콘서트현장에 모두 발표자들은 진짜 농아인의 딸입니까? 그러면 농아인협회관계자분들은 공식 시각적언어와 공식 활동은 무엇이라고 하셧어요? 부모님은 딸님들에게 공식시각적언어명 공식활동명 농아식수화 우선이라고 가르쳐 주지 않앗어요? 누가 저에게 공식 시각적언어는 농아식수화 우선입니다 공식 활동은 농아식수화입니다 수화하는데 그것 아닙니까? 왜 글 많죠?
이길보라님. 올려주신 댓글은 잘 읽어보았습니다. 무척 고맙습니다. 코다 토크콘서트는 청인이 더 많은지 농인이 더 많은지 주관단체가 한국농아인협회라면 당연히 농인이 더 많을 수도 있다는 추측은 왜 하지 않으셨는지 다소 의아한 부분입니다. 주관단체인 한국농아인협회가 농인이 더 많을 수 도 있으니 수화 좀 써줬으면 좋겠다는 이런 협조요청은 하지 않는 것으로 보입니다. 아무래도 주관단체의 미숙한 운영이라고 보는 여지가 좀 있는 것 같습니다. 음성언어로 말하는 것이 더 자연스럽게 이야기할 수 있다는 표현은 수화로 표현하자니 다소 부자연스럽고 한계가 있다는 그런 의미가 내포되어 있는 것 같습니다.
있다가 아니라, 같다고 했습니다. 그 점에 대해 너그러이 이해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농인부모를 수십년이상 가까이서 함께 해오는 코다가 마이크를 들고 이야기를 풀어가는 게 저한테 굉장히 기이하게 느껴질 정도였습니다. 코다라면 수화 자체가 자연스러운 호흡이 가능할 정도로 구사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는 데 이건 아닌가 봅니다. 코다들의 편의주의(?)는 결과적으로 농인들을 두고 아무렇지 않게 말을 하는 사람들을 가능케 하는 사회 분위기가 광범위하게 조성되어있는 것입니다. 농교육 현장에서 아무렇지 않게 마이크를 들고 말하는 교장을 비롯한 교사들과 농인을 두고 수화통역사끼리 아무렇지 않게 말을 주고 받습니다.
재작년인가 스웨덴 농인 방송팀을 가까이서 구경할 기회가 생겼는데, 한명이 청인이었습니다. 그 청인은 끝까지 침묵하는 등 농인들의 시각에 철저히 맞춰줬습니다. 충주성심학교 관계자가 말을 해도 그 청인은 끝까지 입을 벙긋하지 않았습니다. 그게 진정한 '배려이자 예의'라고 봤습니다. 또한 농인들을 두고 청인들끼리 말로 얘기를 나누다가 아차 싶어 바로 내게 정중히 사과한 다음에 수화를 주고 받은 걸 봤습니다. 그런 걸 좀 더 발전시키는 방향으로 코다도 수화로 이야기를 풀어가는 게 좋지 않겠나 하는 아쉬운 마음으로 말씀을 드린겁니다. 혹여 서운하셨다면 내 미숙한 표현이려니 하고 이해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첫댓글 존경하는 사람이 누구인지 물어보면 부모님이라고 하셨는데요.
그렇다면 수화 좀 하셔야지요. 마이크를 들고 말하는 게 뭡니까?
상당한 괴리감은 영 불편합니다.
(아래 표희선 코다 언니의 글 아래 단 댓글을 옮겨 답니다.)
저도 무척 죄송한 말씀이긴 하나, 농부모를 둔 청인으로서 댓글답니다. 일단 저와 몇몇 코다들은 이날 '농인'들만을 청중으로 한다는 이야기를 전달받지 못했습니다. 코다 토크콘서트이니 당연히 청인인 코다가 더 많을 줄 알았고 그렇게 청중이 많을 거라는 생각을 하지 못했습니다. 현장에 가보니 본 행사 이전에 했던 행사가 있어 거기 참석하신 농인분들이 그대로 자리에 앉아계시더라구요. 그래서 농인들이 대부분인 청중이라는 것을 미리 전달받지 못했기 때문에 제가 더 표현을 잘 할 수 있는 언어인 음성언어로 말한 것입니다. 수화는 저에게 모어입니다.
저는 수화를 좋아하고 사랑합니다. 그런데 제가 겪은 이야기를 수화로 표현하는 것보다 음성언어로 말하는 것이 더 자연스럽게 이야기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음성언어를 택한 것입니다. 만약 농인들이 대부분인 자리라고 미리 전달받았더라면 당연히 수화로 토크콘서트 자리에 섰겠지요.
그리고 저는 코다라고 해서 꼭 수화를 써야하나? 수화를 쓰지 않으면 성의가 없는건가? 그 논리에 허점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코다에게는 수화와 음성언어가 있습니다. 그 두 가지의 언어를 늘 넘나들고 있지요. 당연히 박창후님이 '왜 농인커뮤니티에서 수화를 쓰지 않고 음성언어를 쓰냐. 수화를 써라'라고 하는 논리는 이해합니다.
농인이 그간 겪어왔던 차별과 배제에 의한 것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그 자리에는 청인들도 있었습니다. 만약 청인이 1-2명이라고 해서 말을 쓰지 말고 이제 수화로만 진행하자, 라고 하는 게 말이 될까요? 저는 농인이 그동안 청인에게 차별을 받았더라도 농인이 청인을 대할 때 더 큰 관용과 포용의 자세를 가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야 농인과 청인이 함께 어우러져 살 수 있을 테니까요. 단순히 '말'을 썼다는 이유만으로 성의가 없다, 라고 말하는 것은 별로 좋은 시각이 아니라고 봅니다. 장기적으로도요.
@이길보라
아버지는 농아인 어머니는 농아인
콘서트현장에 모두 발표자들은 진짜 농아인의 딸입니까?
그러면 농아인협회관계자분들은 공식 시각적언어와 공식 활동은 무엇이라고 하셧어요?
부모님은 딸님들에게 공식시각적언어명 공식활동명 농아식수화 우선이라고 가르쳐 주지 않앗어요?
누가 저에게 공식 시각적언어는 농아식수화 우선입니다 공식 활동은 농아식수화입니다 수화하는데 그것 아닙니까? 왜 글 많죠?
이길보라님.
올려주신 댓글은 잘 읽어보았습니다. 무척 고맙습니다.
코다 토크콘서트는 청인이 더 많은지 농인이 더 많은지 주관단체가 한국농아인협회라면 당연히 농인이 더 많을 수도
있다는 추측은 왜 하지 않으셨는지 다소 의아한 부분입니다. 주관단체인 한국농아인협회가 농인이 더 많을 수
도 있으니 수화 좀 써줬으면 좋겠다는 이런 협조요청은 하지 않는 것으로 보입니다. 아무래도 주관단체의 미숙한 운영이라고 보는 여지가 좀 있는 것 같습니다. 음성언어로 말하는 것이 더 자연스럽게 이야기할 수 있다는 표현은 수화로 표현하자니 다소 부자연스럽고 한계가 있다는 그런 의미가 내포되어 있는 것 같습니다.
있다가 아니라, 같다고 했습니다. 그 점에 대해 너그러이 이해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농인부모를 수십년이상 가까이서 함께 해오는 코다가 마이크를 들고 이야기를 풀어가는 게 저한테 굉장히 기이하게 느껴질 정도였습니다. 코다라면 수화 자체가 자연스러운 호흡이 가능할 정도로 구사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는 데 이건 아닌가 봅니다. 코다들의 편의주의(?)는 결과적으로 농인들을 두고 아무렇지 않게 말을 하는 사람들을 가능케 하는 사회 분위기가 광범위하게 조성되어있는 것입니다. 농교육 현장에서 아무렇지 않게 마이크를 들고 말하는 교장을 비롯한 교사들과 농인을 두고 수화통역사끼리 아무렇지 않게 말을 주고 받습니다.
재작년인가 스웨덴 농인 방송팀을 가까이서 구경할 기회가 생겼는데, 한명이 청인이었습니다. 그 청인은 끝까지 침묵하는 등 농인들의 시각에 철저히 맞춰줬습니다. 충주성심학교 관계자가 말을 해도 그 청인은 끝까지 입을 벙긋하지 않았습니다. 그게 진정한 '배려이자 예의'라고 봤습니다. 또한 농인들을 두고 청인들끼리 말로 얘기를 나누다가 아차 싶어 바로 내게 정중히 사과한 다음에 수화를 주고 받은 걸 봤습니다. 그런 걸 좀 더 발전시키는 방향으로 코다도 수화로 이야기를 풀어가는 게 좋지 않겠나 하는 아쉬운 마음으로 말씀을 드린겁니다. 혹여 서운하셨다면 내 미숙한 표현이려니 하고 이해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우와....존경하는 사람이 있으면 인생이 아름다웁니다
저도 존경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제 가슴에 살아계신 할머니입니다~^^
좋은 꿈을 펼칠수 있도록 당신을 응원합니다~
헤드셋처럼 마이크가 준비되었다면..수화와 음성 다 가능하셨을텐데요. 좋은 강연 잘봤습니다. 감사합니다^^
코다 열정락서 에서 중요한 것은 강연을 음성으로 하느냐 수화로 하느냐의 관점보다 본인의 이야기를 잘 표출할 수 있는 언어을 본인이 선택하는 것이 맞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