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주는.. 지난 Lumbar part 교육에 이어..두번째 교육이 진행되었습니다.
지난주는..허리를 앞으로 숙이지 못하는 경우(Trunk Foward bending dysfunction)의 해부학적 메카니즘과
해당 근육들의 작용 및 역할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왜 숙이지 못하는가? 왜 통증이 발생하는가?
허리를 숙일 때..도데체 어떠한 메커니즘이 상호 연결성으로 이루어 지는가?
그렇다면.. 정상적인 메카니즘을 방해하는 요인들은 무엇인가? 에 대한 물음에서..
치료적 해결과 움직임의 개선을 위해 필요한 핵심적인 요소들을..간단히 몇가지 정도로 요약해 볼 수 있습니다.
1. Psoas m. & Anterior chain
2. Post-lateral part
3.Multifidus m. & Facet jt
4.Cental key point Core stability
5. Hip hinge Stability & Mobility

지난 주..교육과 실습으로 다루었던..1, 2. 3은 앞으로 굽힘 동작에서 일어나는 움직임의 초기 30도 이내에서
Nutation에 관계된 메카니즘의 핵심적인 Co-activation을 하는 중요 구조물입니다.
정상적인 Hip hinge의 후방 이동과 함께 일어나는 Facet의 잠김(Close) 과정에서..
위의 구조물들은 적절한 Nutation 움직임을 유지하며,
허리 굽힘 초기 동작에서 발생되기 쉬운 Posterior chain (Elector spine 그룹)의 과활성화를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체간이 더 숙여지는 다음 단계에서..Sacrum의 Counter-nutation의 회복력을 극대화 시키는
Core의 기능적인 활성화와 복강내 압력 증가를 지지하고,
S-I joint 주변 인대의 Creep현상을 예방하며, 적절한 허리 굽힘이 일어날 수 있도록 연결되는
매우 중요한 구조물들입니다.

이번 주 교육내용은..Lumbar part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각 질환별 이론과 함께..
Hip joint 주위 근육들의 구성과 역할..유착시 발생할 수 있는 움직임 부재와
Sit to standing 초기 단계에서의 Hip hinge의 역할..보행과의 연관성등을 말씀드렸습니다.
또한, 기능적인 움직임을 방해하며, 요통과 관련한 다양한 보상패턴의 주 원인으로 작용하는
Hip joint 주변 조직의 유착 이완 및 기능적인 움직임으로 연결되는 가동성의 증가는..
요통을 해결함과 동시에 비정상적인 체형의 불균형을 해소하는데
필수적인 요소임을 재차 강조드렸습니다.
다음 사례는 체형의 비대칭 및 불균형과 함께 요통을 호소하여 내원한 경우이지만..
Hip Hinge의 정렬 및 움직임 개선을 통해..몸의 전체적인 체형의 불균형과 요통을 해결하는 간단한 예라 할 수 있습니다.
눈에 띄는 몇 가지 정도만 요약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비정렬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정리해보면..
어깨는 올라간 상태에서 안으로 밀착되어 있고, 체간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있으며,
요추의 측면 만곡이 형성되어 있고, 골반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있습니다.
고관절의 정렬과 회전 움직임이 비대칭성을 이루고 있으며,
왼쪽 무릎에서 발생하고 있는 과신전 부정렬과 대퇴사두근 원위부의 과긴장 및 압통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발목관절의 각도는 약간의 비대칭을 이루며, 회내와 회외 검사에서..눈에 띄는 큰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처음 내원시의 주 호소는 허리를 앞으로 숙이기가 힘들고, 한시간 이상 서있기가 힘들고 불편하다 정도였습니다.
기타 다른 부분의 문제도 찾아 볼 수 있겠지만,
각 분절의 비 대칭적인 문제해결에 있어 국소적인 접근을 배제하고..
Hip Hinge와 Trunk의 정렬 및 가동성 증진을 위한 재활, Ankle의 정렬 및 기능회복에 집중하여 중재하였습니다.

직접 접근하지 않았던..어깨 견갑대의 변화가 가장 두드러지며..
골반의 기울어짐과 회전 역시 약간의 개선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체형의 변화를 포함하여 허리 앞으로 굽힘(Trunk forward bending)의 기능적 움직임 역시
함께 개선된 결과를 보였으며,
요통과 관련한..또는 몸의 전체적인 체형과 관련한 기능적인 움직임 부재의 해결에 있어
위에 나열했던 5가지의 요소안에..Hip Hinge의 접근 역시 매우 중요한 의미임을 나타내는 예라 할 수 있습니다.
교정(Correction)이란..
해당되는 증상을 찾아 해결하거나.. 눈에 보이는 비대칭성을 쫓아가는 것을 뛰어넘어..
현재의 상태가 어떠한 이유에서 발현되어 있으며, 지속적으로 어떠한 영향을 받고 있는가의 원인을
함께 찾아가는 일련의 추적 과정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 전체적인 흐름 안에 우리가 어떠한 기술과 도구를 선별적으로 사용하여
문제 해결에 접근할 것인가는.. 반복과 지속적인 노력을 통해 결정됩니다..
Practice Makes Perfect.. 연습만이 최고를 만듭니다.
한주 건강 유의하시고..다음 교육 때 뵙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