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2014년 마지막 주가 시작되었네요.
저 역시 곧 있음 하공대에 온지 벌써 1년이 다되가구요.
오늘은 신입생들이 중국에 와서 사용하게 될 스마트폰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많은 학생들과 학부모님들 께서 이부분을 중요시 생각한다고 느껴질 만큼 질문도 많아서 가장 많은 질문 몇가지에 대한 답을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1. 한국에서 사용하던 스마트폰을 중국에서도 사용가능 하나요?
-일단은 YES 입니다.
한국에서 사용중이던 스마트폰을 중국에서 사용 가능합니다.
다만. 이때 자신의 스마트폰이 유심칩을 사용하지 않는 스마트 폰인 경우에는 사용이 불가능합니다.
기본적으로 중국에서 핸드폰을 이용하려면 유심칩만 중국 통신사것으로 교체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바로 사용이 가능한데요.
유심칩이 들어가지 않는 기종은 유심칩 교환 자체가 불가능 하여 사용이 불가능 합니다.
요즘에는 거의 모든 스마트 폰에서 유심칩을 사용하는데요, 간혹 통신사가 LG U+ 인 기기 중에는 유심칩을 미 지원하는 기종이 있어 확인이 필요합니다.
(만약 심카드 미지원 기기를 사용중인 경우, 중고 기기를 구입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또한 유심칩을 교체하였는데도 사용이 불가능 한 기종들이 있는데요. 이때는 기기 자체에 컨트리락이 걸려있어서 벌어지는 현상입니다.
컨트리 락의 경우에는 갤럭시 S3 까지의 기기에서 적용되어 있는것을 확인했기에, 학생들 모두 출국 전 각 통신사 고객센터에 전화하여서 컨트리 락의 유무와 해제를 요청하여야 합니다.
2. 중국내 통신사는 어떤 통신사를 사용하고 요금은 얼마인가요?
일단 중국은 한국과 다르게 외국인들의 통신회선 이용을 제한하고 있습니다.
중국에는 크게 2개의 통신사가 있는데요, 하나는 차이나 텔레콤 과 차이나 유니콤이 있습니다.
한국으로 따지면 차이나 텔레콤은 KT 정도가 되구요, 차이나 유니콤은 SK정도 입니다.
실제로 차이나 유니콤의 지분 상당수를 SK텔레콤이 보유중이고 기술 제휴도 많이 하고 있습니다.
이 중 작년부터 중국에서 휴대폰을 개통하고자 하는 외국인은 모두 차이나 유니콤에만 가입을 할 수 있게 정책이 바뀌었는데요.
저는 체감상 차이나 유니콤의 서비스가 더 좋다고 느껴집니다.
(차이나 텔레콤의 경우 실내에서 3G가 잘 안터지는 경향이 있음, 또한 중국인들만 사용하므로 속도와 통화끊김이 빈번함.)
요금은 아마 학생특화 요금제를 사용하게 될 것 같구요.
저의 경우에는 가입시 유심비 80위엔 + 약정할인금 120위안을 지불하여 1년간 매달 10위안의 할인을 받아 25~30위안정도가 실제 사용 요금이였습니다.
학교내에 있는 차이나 유니콤 대리점에서 학생요금제로 가입하면 위와 비슷한 요금이 부과될 것이라 생각됩니다.
3. 한국에서 구매한 아이폰도 중국에서 사용가능한가요?
네. 아이폰은 전세계 어디에서든 호환이 가능합니다.
역시 유심을 사용하고요. 다만, 한국에서 출시되는 아이폰은 타국과는 달리 통신사를 끼워 판매되는 제품들이므로, 컨트리락이 항상 걸려 있습니다.
이 역시 해당 통신사에 전화하여 해제요청하면 바로 해제됩니다.
4. 컨트리락 해제는 유료서비스인가요?
아닙니다. 무료서비스 입니다.
5. 국제전화를 사용할 수 있나요?
음....이 부분은 조금 어려운데요. 일단 제가 국제전화 수신이 가능한 것은 확인 하였습니다.
그러나 발신이 가능한 지는 사용해본적이 없어 정확한 확답을 드리기는 힘들구요, 요즘 카카오톡의 보이스톡 기능이나. 스카이프 같은 메신저 어플이 매우 잘 발달되어 있고 이용요금도 WiFi 사용시에는 무료이므로 가급적 메신저 어플을 사용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6. 한국에서 휴대폰을 어떻게 처리해야 할까요?
한국에서 사용중이던 핸드폰을 들고 중국에 오기전에 각 통신사 지정 대리점을 방문하셔서 해외출국 장기 정지를 신청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간혹 아예 해지를 하고 오는 학생들이 종종 있는데요. 이럴 경우에는 방학 때 한국 귀국시 휴대폰을 사용하지 못하는 상황이 벌어지구요, 졸업 후 한국 귀국 시 사용중이던 번호를 다시 찾을 수 없게 됩니다.
또한 휴대폰 약정기간 이전에 해지시에는 최근 새롭게 적용된 단통법에 의해 무지막지한 위약금이 부과될 수 있으니 가급적 장기정지를 추천합니다.
해외장기체류 정지는 본인의 스마트폰 할부금이 없는 경우에 매달 회선유지비 3000~4000여원만 부과 됩니다.
(만약 지불중인 기기 할부금이 있다면 할부금 + 회선유지비만 부과)
그러나 수능이 끝난 뒤 새 휴대폰과 새 통신사를 개통했다거나 기기와 통신사를 변경한 뒤 98일이 지나지 않은 학생의 경우엔 대한민국 통신법상 정지,해지,개통취소가 불가능 하므로 출국 전 장기 정지 신청이 불가능 하며, 출국 후 한국통신사를 이용하지 않아도
가입한 요금제의 해당하는 요금 + 기기할부금 이 부과되오니 최근에 휴대폰을 새로 개통한 학생들은 참고하기 바랍니다.
추가적으로 해외 장기 체류 정지는 그냥 신청해서 되는 것이 아닌. 해외 체류 증명서류를 같이 들고 통신사를 방문하여야 하며
이때 증명 서류로는 항공권, 학교에서 발급한 입학허가서, 비자 중 하나만 있어도 가능합니다.
이상 학부모님들과 학생들이 가장 많이 궁금해 하는 중국 내 스마트폰 사용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학생들의 스마트폰 신청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일단 학생들이 하얼빈에 도착하여 학교에 들어와 필요한 수속을 마치면 오후 6시 께가 됩니다. 이때는 중국 통신사가 영업을 종료하여 개통 업무 처리가 불가능 하여 익일인 12일 오전부터 순차적으로 개통을 진행 할 예정입니다.
그러나, 금일 학교 내 통신사에 방문하여 문의해본 결과 12일은 학교가 방학기간이라 원래 영업을 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하지만, 30명 이상의 학생이 개통을 필요로 한다고 말을 하여 결국 영업을 하며 개통업무만 지원을 해주겠다는 약속을 받았습니다.
그렇지만, 조건이. 개통업무만 진행하므로 사전에 개통의 필요한 유심칩의 갯수확보가 필요한 상황이라 필요로 하는 갯수를 먼저 알려달라고 하였고, 따라서 오늘 이시간 부터 어쩔 수 없이 개통을 원하는 학생 수를 파악하여야 합니다.
(대리점에서 유심을 하얼빈 차이나 유니콤 본부에서 선 구매 후 개통시 유심비에 함께 청구되는 방식 사용.유심비 약 80위안)
일단 11일에 총 32명의 학생이 온다고 보고를 받았는데요, 혹 이중에 자신은 중국에서 휴대전화가 필요 없다고 생각하는 학생이 있다면, 연락을 부탁드립니다.
아래는 차이나 유니콤 학생 요금제 안내 표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