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
운예지망雲霓之望
운예지망(雲霓之望)은 극심한 가뭄에 구름과 무지개를 바란다는 뜻으로 큰 가뭄에 단비가 내리기를 기다리는 간절한 마음을 담고 있다. * 雲 : 구름운, 霓 : 무지개 예 之 : 갈지 望 : 바랄망 |
제齊나라가 연燕나라를 정벌하여 차지하자, 여러 제후가 연나라를 구원하려고 도모했는데, 이에 선왕宣王이 말했다. “제후들이 과인寡人을 정벌할 것을 도모하는 자들이 많으니 어떻게 이들을 대해야 합니까?” 물으시니, 맹자가 대답하셨는데, “신이 들으니 70리로 천하에 정사를 한 자는 탕湯임금이 이 경우이니 천 리를 가지고 남을 두려워했다는 자는 들어보지 못했습니다. 《서경書經》중훼지고仲虺之誥에 이르기를 ‘탕왕께서 첫 번째 정벌을 갈葛나라로부터 시작하시자, 천하가 그를 믿어서 동쪽을 향하여 정벌함에 서쪽 오랑캐가 원망하며, 남쪽을 향하여 정벌함에 북쪽 오랑캐가 원망하여 말하기를 「어찌하여 우리나라를 뒤에 정벌하는가.」 하여 백성들이 탕왕에게 정벌해 주기를 바라되 마치 큰 가뭄에 구름과 무지개를 바라듯이 하여 [민망지民望之,약대한지망운예야 若大旱之望雲霓也] 시장에 가는 자들이 멈추지 않고 밭 가는 자들이 동요하지 않거늘, 탕왕께서 포악暴惡한 임금을 주벌誅伐시고 백성을 위문하시니, 단비가 내린 듯이 백성들이 크게 기뻐하였다.’라고 하였습니다.
지금 연燕나라가 백성들을 포학暴惡하게 하거늘 왕께서 가서 정벌하시니, 연나라 백성들이 장차 자신들을 재난의 가운데서 구원해 줄 것이라고 여겨서 대바구니에 밥을 담고 병에 장물을 담아 왕의 군대를 환영할 것입니다. 만약 왕의 군대가 그 아버지와 형을 죽이고 그 자제들을 잡아가며 종묘를 훼손하고 중요한 기물을 옮겨간다면 어떻게 되겠습니까?
천하가 진실로 제나라의 강함을 꺼리고 있는데, 지금 또다시 땅을 배로 확장하고 어진 정치를 행하지 않는다면 이는 천하의 군대를 움직이게 하는 것입니다. 왕께서는 속히 명령을 내리시어 노약자들을 돌려보내시며 중요 기물들을 중지하시고 연나라 백성들과 상의해서 임금을 세워준 뒤에 떠나오신다면 오히려 큰 전쟁을 중지시킬 수 있을 것입니다.”라고 하였다.
<출전 : 《맹자孟子》 양혜왕 하 梁惠王下 제11장>
장창소인臧倉小人
높은 자리에 앉은 상관이 특히 주의해야 할 것은 아랫사람이 전하는 말을 잘 판단하는 일이다. 모시는 임금이 만나려고 하는 맹자孟子를 온갖 구실로 막은 장창臧倉이란 사람은 소인小人의 대명사가 되었다. * 臧 : 착할 장 倉 : 곳집 창 小 : 작을 소 人 : 사람 인 |
맹자가 제자 악정자樂正子가 벼슬을 하고 있던 노魯나라를 방문했다. 노나라의 왕 평공平公은 현인으로 알려진 맹자를 마중 나가려고 하였다. 이때 아첨꾼인 신하 장창臧倉이 이를 만류하며 이렇게 말하였다.
“임금께서 몸을 낮추어 먼저 필부匹夫를 찾아가는 것은 그가 어진 사람이기 때문입니까? 예禮와 의義는 어진 사람으로부터 나오는 것이거늘, 맹자는 부친상보다 모친상을 후하게 치른 사람이니 왕께서는 그를 만나지 마십시오” 평공은 장창의 말을 듣고 맹자를 만나러 가지 않았다.
악정자가 평공에게 맹자를 만나지 않은 까닭을 묻자, 평공은 장창이 했던 말로 대답했다. 그러자 악정자는 “그것은 예를 어긴 것이 아니라, 모친상을 치를 때의 형편이 부친상 때보다 좋았기 때문이다”라고 하였다.
악정자가 맹자에게 와서 이러한 사실을 고하자 맹자는 “내가 노나라 임금을 만나지 못한 것은 하늘의 뜻이니, 어찌 장씨 집안의 아들이 나를 만나지 못하게 하겠느냐”라고 하였다.
<출전 : 맹자孟子 양혜왕 장구梁惠王章句 하下>
민필반지民必反之
평소 유사들이 맡은 일을 제대로 했다면 아무리 흉년이 들었더라도 백성이 굶거나 사방으로 흩어지는 일이 없었을 것이고, 전쟁에서 백성들도 그들을 위해 죽음을 무릅쓰고 싸웠을 것이나, 유사들의 태만으로 백성이 이루 말할 수 없는 고통을 겪었다면, 백성이 되돌려주는 것도 당연하지 않은가? * 民 : 백성 민 必 : 반드시 필 反 : 되돌릴 반 之 : 그 지 |
추鄒나라와 노魯나라가 서로 싸웠다. 추나라 목공穆公이 맹자에게 물었다. “나의 유사有司 서른세 명이 죽었는데, 백성은 그들을 위해 죽지 않았소. 백성을 베기로 하면 다 베어죽일 수가 없고, 베지 않으면 또 그들은 윗사람이 죽어도 밉게 보면서 구하지 않을 것이니, 도대체 어찌해야 좋겠소?”
맹자가 “흉년이 들어 굶주릴 때에 임금의 백성 가운데 늙고 약한 자들은 도랑이나 골짜기에 버려지고 장정들은 사방으로 흩어졌는데, 거의 1,000명이나 되었습니다. 그런데 임금의 곡식과 재물은 곳간에 가득 차 있었는데도 유사들이 보고 하지 않았으니, 이는 윗사람이 게을리하여 아랫사람에게 모질게 군 것입니다. 증자曾子가 말하기를, ‘경계하라, 경계하라! 너에게서 나온 것이 너에게로 돌아가리라!’고 하였으니, 저 백성들이 이제부터 그것을 되돌려 준 것입니다.”하였다.
<출전 : 맹자 양혜왕梁惠王 하下>
윤집궐중允執厥中
지금의 현대인들은 복잡한 나날을 보내고 있기 때문에 “인심은 위태롭고 도심은 더욱 미미하다.” 때문에 수시로 자신의 마음을 뒤돌아보고 마음의 중심을 잘 잡도록 해야 한다. * 允 : 진실로 윤 執 : 잡을 집 厥 : 그 궐 中 : 가운데 중 |
옛날 중국의 순舜 임금이 우禹 임금에게 제위帝位를 넘겨주면서 한 당부와 경계의 말 중에 나오는 말이다.
우禹 임금이 말씀하시길 “우야. 홍수가 나를 경계하게 하였거늘 믿음을 이루고 공을 이루었으니 이는 너의 어진 점이며, 나랏일에 부지런하고 집안일에 검소하여 스스로 자만하지 않았으니 이는 너의 현명함이다. 네가 자랑하지 않으나 천하에 너와 능력을 다툴 자 없고 네가 과시하지 않으나 천하에 너와 공을 다툴 자 없다. 나는 너의 덕을 성대하게 여기고 너의 공적을 가상하게 여긴다. 천명의 운수가 너에게 있으니 네가 결국 군주에 오를 것이다. 인심人心은 위태로운 것이고 도심道心은 은미한 것이니 정교하고 치밀하게 하고 마음을 오로지 쏟아야 진실로 그 중도(가운데)를 잡아라. [人心惟危, 道心惟微, 惟精惟一, 允执厥中.]
군주가 두려워할 대상은 백성이 아니겠는가. 백성들은 군주가 아니면 누구를 받들겠는가. 군주는 백성들이 아니면 함께 나라를 지킬 수 없을 것이니, 경건한 마음으로 네가 오를 군주의 자리를 삼가 신중히 하여 백성들이 바라는 것을 공경히 수양하라. 사방의 백성들이 곤궁에 빠지면 하늘의 녹이 영원히 끊어지리라.”하였다.
<출전 :《상서尙書》<우서虞書〉대우모大禹谟, 《논어論語》堯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