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몰 : 6.02 × 1023개 입자(원자, 분자, 이온)의 집단
① 1몰 : 6.02 × 1023개 원자, 분자, 이온
② 입자수 = 몰수 × 6.02 × 1023개
③ 몰수 =
2) 1몰의 질량
① 원자 1몰의 질량 = 원자량 g
분자 1몰의 질량 = 분자량 g
이온성 물질 1몰의 질량 = 식량 g
② 질량 = 몰수 × 1몰의 질량
③ 몰수 =
3) 1몰의 부피 : 0℃, 1기압에서 모든 기체 1몰이 차지하는 부피
= 22.4L
① 부피 = 몰수 × 22.4 (L)
② 몰수 =
화학에서 사용하는 농도는 보통 몰 농도, 몰랄 농도, %농도이다.
농도란 원래 진한 정도를 뜻하는 말이다.
즉, 몰 농도의 뜻은 단위 부피당 몰 수를 말한다.
질량 % 농도를 몰 농도로 바꾸어 보자!
우선 p % 용액 100g을 기준으로 한다면
이 용액 속에는 용질이 p 그램 들어 있는 것이 되니까
용질의 몰 수는 p/M이다. (여기서 M은 용질의 분자량)
다음에 알아야 할 것은 용액의 부피!
용액의 밀도를 d(g/mL)라고 하면 {밀도 = 질량/부피} 식에서
부피(mL) = 100/d 이므로 부피를 L단위로 바꾸면 1/10d(L)가 되죠.
따라서 (용질의 몰 수)/(부피)를 계산하면 10dp/M 이 된다.
몰 농도 = (용질의 몰 수 mol)/(전체 부피 L),
몰농도(mol/L)X용액 부피(L) = 용질의 몰 수
몰 농도는 화학에서 가장 많이 쓰기는 하지만,
온도에 따라 부피가 변하면 농도도 따라서 변하므로 불편할 때가 있다.
그래서 끓는점 오름이나 어는점 내림 따위를 측정할 때는 몰랄 농도를 쓴다.
몰랄 농도는 용질의 몰수를 용매의 질량으로 나눈 값으로 나타낸다.
몰랄 농도의 단위 : mol/kg = m
<용액의 농도>
*퍼센트농도(%):
용액100g속에 녹은 용질의 g수
*몰농도(M 몰/L):
용액1L 속에 녹아 있는 용질의 몰 수
*몰랄농도(m):
용매 1kg속에 녹아있는 용질의 몰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