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양각지맥 3구간( 살피재-박유산-일산봉-오가리재-가천천/황강 합수점)終.
◈ 산행코소와 거리 및 소요시간 : GPS 거리 16.8km. 7시간 .
거창군 살피재(1084도로. 88고속도로)-500.2m 삼각점봉-598m-박유산분기점-박유산(朴儒山. 712m)왕복-일산봉(日傘峰.627.9m)-
1029번도로- 감토산 紺土山 갈림봉(484.1m)-오가리재(517m)-317.7m 삼각점봉-가천교. 가천천/황강합수점
◈ 일시 : 2014. 2. 23(일).
◈ 날씨 : 거창 -6.5/12. 초여름같이 날은 좋은데 미세먼지로 시계는 불량.
◈ 동행인 : 달인클럽 24명. 김형식회장님. 한상훈님.오세춘님.고광의님.정영옥님.이선우님.강형태님.정환규님.이정세님. 권순창님.배병율님.
주기현님.김병한님.박봉규님.김홍천님.왕언니님. 맑음님.앵두님.김정옥님. 이승기님 부부.강성일님.김숙희님.박종율.
◈ 회비 : 4만원.
◈ 지도.
양각지맥 3구간( 살피재-박유산-일산봉-오가리재-가천천/황강 합수점)終.지도 1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양각지맥 3구간( 살피재-박유산-일산봉-오가리재-가천천/황강 합수점)終.지도 2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 트랙.
◈ 일정정리.
08 : 05. 천안에서 합류하여 경부 옥산휴게소 들려
10 : 45/51. 거창군 가조면과 남하면 경계인 살피재 서쪽 385.8m수준점(표지판은 떨어져 나갔다)에서 88고속도로로 내려가며 산행시작.
10 ; 55. 88고속도로.차량이 뜸한틈을 타 무단횡단.
11 ; 04. 절개지 따라 앞쪽으로 조금 나간 첫봉에서 우로 꺽어가며 산불잔해 벌목작업한 된비얄을 올라감.
11 ; 15/18. 500.2m봉.글자를 알 수 없는 삼각점은 길 좌측 30m 정점에.블록참호,준희님의 508m 푯찰. 뒤로 금귀봉과 보해산조망.
우측으로 뚝 떨어져 내려가며 산불잔해들과 가시밭길은 598m봉 넘어까지 계속됨.
11 ; 26. 가시밭인 450m봉에서 뒤로 500.2m봉과 갈 595m봉과 박유산을 올려다보고 좌측으로 내려섬.
11 ; 47. 460m봉. 뒤로 금귀산, 보해산 앞쪽으로 598m봉과 박유산 조망이 좋고
11 ; 52. 바위 날등을 지나고 → 다시 한번 기사밭 된비얄을 기어 오른다.
12 ; 05. 595m봉. 좌로 꺽어 내려서며 598m봉과 그뒤로 박유산이 뾰족하게 올려다 보인다.
12: 11. 억새로 덮힌 묵은 헬기장을 지나고
12 : 13. 598m봉. 살짝 우틀해 내려가며 박유산과 뒤로 금귀산,보해산과 산불로 벌거숭이가 된 올라온 능선이 조망.
12 ; 22. 홈통 안부. 우측에 묘. 산불지역은 방금전에 끝남. 묘지에서 점심 먹긴 날이 덥다.
12 ; 28/42. 조금 올라선 중턱에 준희님의 " 힘 내세요! " 격려문. 일행들은 점심을 올라가서 먹는다는데 배가 고파 혼자 솔숲에서 점심먹음.
12 ; 49. 박유산 분기점(약 604m). 지맥은 우측으로 가고 박유산은 좌측으로 . 정점은 좌측으로 좀 나가야
12 ; 52. 약 612m봉. 박유산을 다녀오는 선두를 만난다.아직 점심전 이란다.
12 ; 58. 내려갔다 다시 한오름 올라선 중턱에서 보해산부터 온길과 갈 일산봉쪽을 보고
13 ; 06/8. 박유산(朴儒山.512m. 움푹파인 웅덩이). 거창 305 삼각점.준희님 푯찰.오도산과 주변조망 .권교수와 왕언니만 있다. 다시 뒤돌아 감.
13 ; 10. 내림길에 금귀산,보해산과 갈 일산봉능선을 가름해보고
13 ; 20. 다시 돌아온 박유산분기점. 박유산 다녀오는데 왕복 30여분 걸렸다.
13 : 33. 솔밭을 쭈욱 올라간 595.2m봉에서 우측으로 <좌측길이 좋아 무심코 가면 지나친다>2명알바
13 : 40. 솔밭봉인 약 540m봉에서 좌측으로. 20여m 내려서면 묘 <직진 주의> 직진길은 아주마을 하산길.
13 : 59. 529.1m봉에서 좌틀해 가고. 준희님의 530m 푯찰. 595.2m봉과 박유산,일산봉이 보인다.
14 : 07.약 540m봉. 좌, 우측 능선사이로 직진해 넘어서 20여m 내려가선 다시 직진능선이 아니고 좌측 능선으로 내려간다.<주의>
14 : 11. 안부. 좌우로 옛길흔적.
14 ; 15/19. 약 510m봉에서 좌측으로. 우측으로 살목재,성척성 능선분기. 물한모금 미시며 잠시 숨 돌리고
14 : 20. 안부. 우측능선에서 온길을 만나며 길은 좋아지고 일산봉이 건너다 보인다.
14 : 31. 520m봉은 우측사면으로 건너가고 일산봉 오름길에 온길이 뒤돌아 보인다.
14 ; 41/44. 빨딱 올려챈 일산봉(日傘峰.627.9m.).잡초 욱어진 묵은 헬기장 우측에 삼각점(거창23 ).푯찰2개.좌측으로 내려간다.
오도산과 숙성산쪽을 건너다 보고 바로앞 둔덕에서 우측으로 꺽어 잔솔밭을 내려간다.
14 : 48. 조금 내려가 솔밭 갈림길에서 다시 우측으로 꺽어 뚝 떨여져 내려가며 좌측엔 하얀 비닐끈이 따라온다.
14 : 56. 510m에서 우측으로 꺽어 내려가고
15 ; 12. 1099 번 도로. 표고 약 410m.절개지를 좌측으로 내려와 우측으로 올랐는데 우측으로 내려와도 됨.일부는 도로따라 가천교로 탈출.
15 ; 18. 절개지위에서 일산봉,박유산이 뒤로 보이고
15 ; 25. 감토산 갈림봉(484.1m). 준희님의 487m 푯찰.30여m 내려가서 감토산길은 우측으로 가천교는 좌측길로. 몇 명은 감토산으로가다 되돌아옴.
신산경표는 양각지맥의 끝을 감토산으로 이어 갔으나 우리는 가천천이 황강에 합류하는 가천교로 갔다.
15 ; 38/41. 450m봉에서 좌측으로 내려선 묵은 묘지에서 잠시쉬고.우측으로 꺽어 넓은길 따라가고
15 ; 48. 우측으로 455.2m봉이 분기하는 440m봉에서 좌측으로 꺽어가며 480m봉과 517m봉이 보임.
15 ; 52. 호젓한 솔밭길에 준희님의 "힘내세요"
15 : 56. 힘들게 올라간 480m봉에서 좌로 꺽어 솔밭길을 가며 517m봉이 건너다 보인다.
16 ; 00. 517m봉오름길에 일산봉과 박유산을 뒤돌아 보고
16 ; 03. 한오름 올라선 517m봉. 보도블럭 걷은 묵은 헬기장.도상 오가리재.아무런 표식 없다.
16 ; 15. 임도. 481.3m봉이 우측 앞쪽에 보이나 맥은 좌측으로 반원을 기리며 돌아감.몇명은 481.3m봉으로 바로 가고
16 ; 30. 480m에서 우틀해 잡목지대를 가며 지나온 517m봉이 높게 올려다 보인다.
16 ; 38. 481.3m봉 좌측 50여m 어깨에서 좌측으로 내려가는데 역시 길이 사납다.
16 ; 44. 표고 460m을 가르키는 봉을 넘어서고
16 ; 46.뒤로 517m봉과 앞쪽으로 지맥의 긑을 가늠해보고 철탑이 보인다.
16 ; 55. 표고 약 400m쯤되는 둔덕봉을 넘어 몇 발짝 내려가면 57번철탑.
17 ; 00. 표고 약 380m되는 둔덕봉. 안테나앞쪽으로 직진해 내려간다.
17 : 02. 우측으로 황강이 내려다 보이고
17 : 07. 361.3m봉. 우측으로 황강과 감토산이 조망되고
17 : 09. 좌측으로 휘돌아 가는 가천천과 합천호 상류와 지맥의 끝자락이 내려다 보인다.
17 ; 13. 약 360m봉에서 좌측으로 휘돌아가는 가천천과 용동마을이 내려다 보인다.
17 ; 15/19. 묵묘위에 나무가 있는 360m능선끝에서 이선우씨가 주는 빵하나 먹고 좌측으로 내려선다.
17 ; 27/8. 317.7m 산불초소. 삼각점(거창426).우측으로 밤티재와 감악산이 보인다.
17 ; 33. 좋은길따라 쭈욱 내려가다 좌측으로 꺽어 조금 내려간 안부. 동래정씨가족묘.
17 : 41. 270.5m봉. 길없는 잡목봉.직진해 넘어서면 가천천/황강의 합수점과 우측에 합천호가 보인다.
17 : 50.용동마을 들어가는 2차선도로.소공원엔 독립유공자 유진옥의 묘. 우측에 용동버스장류장과 24번 26번도로. 가천교.
17 ; 52. 버스가 있는 서쪽 합천호가의 정자(桑亭)에서 가천천, 황강, 합천호 가천교를 건너다 보며 양각지맥을 마친다.
17 ; 58. 출발.
18 ; 26/19 : 25. 몇 번 들린 함양의 대웅식당에서 한우전골로 저녁먹고 출발.
21 ; 35. 천안 휴게소 들려 천안도착.
◈ 산행후기.
※ 살피재-박유산(712m)-일산봉(627.9m). 8.6km. 3시간 50분.
08 : 05. 천안에서 합류하여 경부 옥산휴게소 들려
10 : 45/51. 거창군 가조면과 남하면 경계인 살피재 서쪽 385.8m수준점(표지판은 떨어져 나갔다)에서 88고속도로로 내려가며 산행시작.
10 ; 55. 88고속도로.차량이 뜸한틈을 타 무단횡단.
11 ; 04. 절개지 따라 앞쪽으로 조금 나간 첫봉에서 우로 꺽어가며 산불잔해 벌목작업한 된비얄을 올라감.
11 ; 15/18. 500.2m봉.글자를 알 수 없는 삼각점은 길 좌측 30m 정점에.블록참호,준희님의 508m 푯찰. 뒤로 금귀봉과 보해산조망.
우측으로 뚝 떨어져 내려가며 산불잔해들과 가시밭길은 598m봉 넘어까지 계속됨.
11 ; 26. 가시밭인 450m봉에서 뒤로 500.2m봉과 갈 595m봉과 박유산을 올려다보고 좌측으로 내려섬.
11 ; 47. 460m봉. 뒤로 금귀산, 보해산 앞쪽으로 598m봉과 박유산 조망이 좋고
11 ; 52. 바위 날등을 지나고 → 다시 한번 기사밭 된비얄을 기어 오른다.
12 ; 05. 595m봉. 좌로 꺽어 내려서며 598m봉과 그뒤로 박유산이 뾰족하게 올려다 보인다.
12: 11. 억새로 덮힌 묵은 헬기장을 지나고
12 : 13. 598m봉. 살짝 우틀해 내려가며 박유산과 뒤로 금귀산,보해산과 산불로 벌거숭이가 된 올라온 능선이 조망.
12 ; 22. 홈통 안부. 우측에 묘. 산불지역은 방금전에 끝남. 묘지에서 점심 먹긴 날이 덥다.
12 ; 28/42. 조금 올라선 중턱에 준희님의 " 힘 내세요! " 격려문. 일행들은 점심을 올라가서 먹는다는데 배가 고파 혼자 솔숲에서 점심먹음.
12 ; 49. 박유산 분기점(약 604m). 지맥은 우측으로 가고 박유산은 좌측으로 . 정점은 좌측으로 좀 나가야
12 ; 52. 약 612m봉. 박유산을 다녀오는 선두를 만난다.아직 점심전 이란다.
12 ; 58. 내려갔다 다시 한오름 올라선 중턱에서 보해산부터 온길과 갈 일산봉쪽을 보고
13 ; 06/8. 박유산(朴儒山.512m. 움푹파인 웅덩이). 거창 305 삼각점.준희님 푯찰.오도산과 주변조망 .권교수와 왕언니만 있다. 다시 뒤돌아 감.
13 ; 10. 내림길에 금귀산,보해산과 갈 일산봉능선을 가름해보고
13 ; 20. 다시 돌아온 박유산분기점. 박유산 다녀오는데 왕복 30여분 걸렸다.
13 : 33. 솔밭을 쭈욱 올라간 595.2m봉에서 우측으로 <좌측길이 좋아 무심코 가면 지나친다>2명알바
13 : 40. 솔밭봉인 약 540m봉에서 좌측으로. 20여m 내려서면 묘 <직진 주의> 직진길은 아주마을 하산길.
13 : 59. 529.1m봉에서 좌틀해 가고. 준희님의 530m 푯찰. 595.2m봉과 박유산,일산봉이 보인다.
14 : 07.약 540m봉. 좌, 우측 능선사이로 직진해 넘어서 20여m 내려가선 다시 직진능선이 아니고 좌측 능선으로 내려간다.<주의>
14 : 11. 안부. 좌우로 옛길흔적.
14 ; 15/19. 약 510m봉에서 좌측으로. 우측으로 살목재,성척성 능선분기. 물한모금 미시며 잠시 숨 돌리고
14 : 20. 안부. 우측능선에서 온길을 만나며 길은 좋아지고 일산봉이 건너다 보인다.
14 : 31. 520m봉은 우측사면으로 건너가고 일산봉 오름길에 온길이 뒤돌아 보인다.
14 ; 41/44. 빨딱 올려챈 일산봉(日傘峰.627.9m.).잡초 욱어진 묵은 헬기장 우측에 삼각점(거창23 ).푯찰2개.좌측으로 내려간다.
오도산과 숙성산쪽을 건너다 보고 바로앞 둔덕에서 우측으로 꺽어 잔솔밭을 내려간다.
10 : 45/51. 거창군 가조면과 남하면 경계인 살피재 서쪽 385.8m수준점(표지판은 떨어져 나갔다)에서 본 수준점과 살피재.
10 : 45/51. 살피재 서쪽 385.8m수준점(표지판은 떨어져 나갔다)에서 88고속도로로 내려가며 산행시작.
10 : 45/51. 살피재 서쪽 385.8m수준점(표지판은 떨어져 나갔다)에서 88고속도로로 내려가며 산행시작.
10 ; 55. 88고속도로.차량이 뜸한틈을 타 무단횡단.
11 ; 04. 절개지 따라 앞쪽으로 조금 나간 첫봉에서 우로 꺽어가며 산불잔해 벌목작업한 된비얄을 올라감.
보이는 앞봉이 500.2m봉.
11 ; 15/18. 500.2m봉.
글자를 알 수 없는 삼각점은 길 좌측 30m 정점에.블록참호,준희님의 508m 푯찰. 뒤로 금귀봉과 보해산조망.
우측으로 뚝 떨어져 내려가며 산불잔해들과 가시밭길은 598m봉 넘어까지 계속된다.
11 ; 15/18. 500.2m봉에서 뒤 돌아 본 금귀산(좌)과 보해산(우)과 살피재(앞).
11 ; 26. 가시밭인 450m봉에서 땡겨본 박유산(좌), 598m(중),595m봉(우).
460m봉에 올라선 일행들과 뒤로 595m(우)과 598m봉(좌).
11 ; 47. 460m봉에서 뒤 돌아 본 500.2m봉(우)과 살피재.
11 ; 47. 460m봉에서 뒤 돌아 본 금귀봉(좌)과 보해산(우)과 살피재.
12 ; 05. 595m봉. 좌로 꺽어 내려서며 598m봉과 그뒤로 박유산이 뾰족하게 올려다 보인다.
12 : 13. 598m봉.
살짝 우틀해 내려가며 본 박유산과 박유산분기봉(앞쪽).
12 : 16. 598m봉을 내려가며 본 금귀산(좌),보해산(가운데 뒤).500.2m(우).
12 ; 28/42. 조금 올라선 중턱에 준희님의 " 힘 내세요! " 격려문. 일행들은 점심을 올라가서 먹는다는데 배가 고파 혼자 솔숲에서 점심먹음.
뒤로 598m봉이 보인다.
12 ; 49. 박유산 분기점(약 604m).
지맥은 우측으로 가고 박유산은 좌측으로 . 정점은 좌측으로 좀 나가야
12 ; 58. 박유산 오름길 중턱에서 본 보해산(맨우)부터 온길.맨좌측봉이 598m봉
13 ; 06/8. 박유산(朴儒山.512m. 움푹파인 웅덩이).
거창 305 삼각점.준희님 푯찰.오도산과 주변조망 .권교수와 왕언니만 있다. 다시 뒤돌아 내려간다.
13 ; 06/8. 박유산(朴儒山.512m)에서 본 가조면들판과 뒤로 의상봉-비계산(우).
13 ; 06/8. 박유산(朴儒山.512m)에서 본 오도산(가운데)과 숙성산(우).
미세먼지로 시계가 블량하다.
13 ; 10. 박유산 내림길에 다시 본 금귀산,보해산과 온길.
13 ; 10. 박유산 내림길에 다시 본 598m봉(우), 박유산분기봉(중)510m봉(좌)
13 ; 10. 박유산 내림길에 다시 본 일산봉(좌) 가운데 뒤로 감토산.
13 : 33. 솔밭을 쭈욱 올라간 595.2m봉에서 우측으로 <좌측길이 좋아 무심코 가면 지나친다>2명알바
13 : 59. 529.1m봉에서 좌틀해 가고. 준희님의 530m 푯찰. 595.2m봉과 박유산(맨우측).좌측 소나무 가지뒤로 벌건 598m봉이 보인다.
14 ; 15/19. 약 510m봉에서 좌측으로.
우측으로 살목재,성척성 능선분기. 물한모금 미시며 잠시 숨 돌리고
14 ; 41/44. 빨딱 올려챈 일산봉(日傘峰.627.9m.).잡초 욱어진 묵은 헬기장 우측에 삼각점(거창23 ).푯찰2개.좌측으로 내려간다.
오도산과 숙성산쪽을 건너다 보고 바로앞 둔덕에서 우측으로 꺽어 잔솔밭을 내려간다.
※ 일산봉(627.9m)-오가리재(517m)-가천교. 8.2km. 3시간 8분.
14 ; 41/44. 빨딱 올려챈 일산봉(日傘峰.627.9m.).잡초 욱어진 묵은 헬기장 우측에 삼각점(거창23 ).푯찰2개.좌측으로 내려간다.
오도산과 숙성산쪽을 건너다 보고 바로앞 둔덕에서 우측으로 꺽어 잔솔밭을 내려간다.
14 : 48. 조금 내려가 솔밭 갈림길에서 다시 우측으로 꺽어 뚝 떨여져 내려가며 좌측엔 하얀 비닐끈이 따라온다.
14 : 56. 510m에서 우측으로 꺽어 내려가고
15 ; 12. 1099 번 도로. 표고 약 410m.절개지를 좌측으로 내려와 우측으로 올랐는데 우측으로 내려와도 됨.일부는 도로따라 가천교로 탈출.
15 ; 18. 절개지위에서 일산봉,박유산이 뒤로 보이고
15 ; 25. 감토산 갈림봉(484.1m). 준희님의 487m 푯찰.30여m 내려가서 감토산길은 우측으로 가천교는 좌측길로. 몇 명은 감토산으로가다 되돌아옴.
신산경표는 양각지맥의 끝을 감토산으로 이어 갔으나 우리는 가천천이 황강에 합류하는 가천교로 갔다.
15 ; 38/41. 450m봉에서 좌측으로 내려선 묵은 묘지에서 잠시쉬고.우측으로 꺽어 넓은길 따라가고
15 ; 48. 우측으로 455.2m봉이 분기하는 440m봉에서 좌측으로 꺽어가며 480m봉과 517m봉이 보임.
15 ; 52. 호젓한 솔밭길에 준희님의 "힘내세요"
15 : 56. 힘들게 올라간 480m봉에서 좌로 꺽어 솔밭길을 가며 517m봉이 건너다 보인다.
16 ; 00. 517m봉오름길에 일산봉과 박유산을 뒤돌아 보고
16 ; 03. 한오름 올라선 517m봉. 보도블럭 걷은 묵은 헬기장.도상 오가리재.아무런 표식 없다.
16 ; 15. 임도. 481.3m봉이 우측 앞쪽에 보이나 맥은 좌측으로 반원을 기리며 돌아감.몇명은 481.3m봉으로 바로 가고
16 ; 30. 480m에서 우틀해 잡목지대를 가며 지나온 517m봉이 높게 올려다 보인다.
16 ; 38. 481.3m봉 좌측 50여m 어깨에서 좌측으로 내려가는데 역시 길이 사납다.
16 ; 44. 표고 460m을 가르키는 봉을 넘어서고
16 ; 46.뒤로 517m봉과 앞쪽으로 지맥의 긑을 가늠해보고 철탑이 보인다.
16 ; 55. 표고 약 400m쯤되는 둔덕봉을 넘어 몇 발짝 내려가면 57번철탑.
17 ; 00. 표고 약 380m되는 둔덕봉. 안테나앞쪽으로 직진해 내려간다.
17 : 02. 우측으로 황강이 내려다 보이고
17 : 07. 361.3m봉. 우측으로 황강과 감토산이 조망되고
17 : 09. 좌측으로 휘돌아 가는 가천천과 합천호 상류와 지맥의 끝자락이 내려다 보인다.
17 ; 13. 약 360m봉에서 좌측으로 휘돌아가는 가천천과 용동마을이 내려다 보인다.
17 ; 15/19. 묵묘위에 나무가 있는 360m능선끝에서 이선우씨가 주는 빵하나 먹고 좌측으로 내려선다.
17 ; 27/8. 317.7m 산불초소. 삼각점(거창426).우측으로 밤티재와 감악산이 보인다.
17 ; 33. 좋은길따라 쭈욱 내려가다 좌측으로 꺽어 조금 내려간 안부. 동래정씨가족묘.
17 : 41. 270.5m봉. 길없는 잡목봉.직진해 넘어서면 가천천/황강의 합수점과 우측에 합천호가 보인다.
17 : 50.용동마을 들어가는 2차선도로.소공원엔 독립유공자 유진옥의 묘. 우측에 용동버스장류장과 24번 26번도로. 가천교.
17 ; 52. 버스가 있는 서쪽 합천호가의 정자(桑亭)에서 가천천, 황강, 합천호 가천교를 건너다 보며 양각지맥을 마친다.
17 ; 58. 출발.
18 ; 26/19 : 25. 몇 번 들린 함양의 대웅식당에서 한우전골로 저녁먹고 출발.
21 ; 35. 천안 휴게소 들려 천안도착.
일산봉(日傘峰.627.9m.)에서 본 오도산,숙성산.
15 ; 12. 1099 번 도로.
표고 약 410m.절개지를 좌측으로 내려와 우측으로 올랐는데 우측으로 내려와도 됨.일부는 도로따라 가천교로 탈출.
1099 번 도로 절개지위에서 뒤 돌아 본 일산봉.
15 ; 25. 감토산 갈림봉(484.1m).
준희님의 487m 푯찰.30여m 내려가서 감토산길은 우측으로 가천교는 좌측길로. 몇 명은 감토산으로가다 되돌아옴.
신산경표는 양각지맥의 끝을 감토산으로 이어 갔으나 우리는 가천천이 황강에 합류하는 가천교로 갔다.
15 ; 38/41. 450m봉에서 좌측으로 내려선 묵은 묘지에서 잠시쉬고.우측으로 꺽어 넓은길 따라가고
15 ; 52. 호젓한 솔밭길에 준희님의 "힘내세요" 격려문.
16 ; 00. 517m봉오름길에 일산봉과 박유산(맨우측 흐릿하게)을 뒤돌아 보고
16 ; 15. 임도.
481.3m봉이 우측 앞쪽에 보이나 맥은 좌측으로 반원을 기리며 돌아감.몇명은 481.3m봉으로 바로 가고
16 ; 30. 480m에서 우틀해 잡목지대를 가며 지나온 517m봉이 높게 올려다 보인다.
16 ; 46. 460m봉을 넘어서며 뒤 돌아 본 517m봉과 박유산(우).
17 ; 00. 표고 약 380m되는 둔덕봉. 안테나앞쪽으로 직진해 내려간다.
17 : 07. 361.3m봉에서 우측으로 본 황강과 감토산.
17 ; 27/8. 317.7m 산불초소. 삼각점(거창426).
17 ; 27/8. 317.7m 삼각점(거창426)에서 본 감악산(좌)과 진양지맥(우측 뒤능선).
17 ; 33. 좋은길따라 쭈욱 내려가다 좌측으로 꺽어 조금 내려간 동래정씨가족묘에서 본 양각지맥 마지막봉인 270.5m봉 .
17 : 41. 270.5m봉에서 직진해 넘어서며 본 돌구멍산과 오도산으로 이어가는 능선과 우측 가천교와 합천호.
270.5m봉을 넘어서며 우측으로 본 가천천/황강의 합수점.
가천교, 가천천/황강의 합수점과 뒤로 망일산(좌)과 월현산(우).
가천교앞 삼거리.
좌측은 용동마을,지산리로 가고 우측은 24.26번도로.소공원엔 독립유공자 유진옥의 묘.
17 ; 52. 버스가 있는 서쪽 합천호가의 정자(桑亭)에서 양각지맥을 마친다.
합천호가의 정자(桑亭)에서 본 가천천을 건너는 가천교.
합천호가의 정자(桑亭)에서 본 합수점과 뒤로 망일산(좌)과 월현산(우).
18 ; 26/19 : 25. 몇 번 들린 함양의 대웅식당에서 한우전골로 저녁먹고 출발.
파이 서비스가 종료되어
더이상 콘텐츠를 노출 할 수 없습니다.
<양각지맥을 마친다>.
달인클럽은 3.9일부터( 2,4주 짝수주 일요일) 모후지맥을 이어갑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