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전산책]『신심명』③ 자아의 분별이 가장 큰 마음의 병 어긋남이라던가 순리라던가 하는 대립의 마음, 이는 심병이다.
『이입사행론』에 “지혜로운 자는 (무일물의)물에 맡기지 (조작하는)자신에게 맡기지 않는다. 취사(取捨)도 없고 위순(違順)도 없는 것”이라고 하였다. 또한 『조주록』에는 “공왕(空王)을 위한 제자가 되려 한다면 마음에 병이 들어서는 안된다. 참으로 낫기 어렵다.”고 하였다.
다음, ‘불식현지 도로념정’은 『신심명』 앞머리의 ‘지도무난 유혐간택’만치 잘 인용되고 사용되는 구절이다. 『전심법요』,『임제록』을 비롯하여 『조당집』, 『종경록』에도 보인다. ‘현지’라는 말은 『조론』이후, ‘불교의 깊은 뜻’의 의미로 사용되었다.
선에서는 신회이후 남종선의 “생각이 일어나지 않는 것(念不起)을 좌(坐)라고 하고 견불성을 선으로 한다”고 하여 “무념의 념, 무심의 심, 무상(無相)의 상”을 설하는 선불교의 대의를 나타내는 말로 사용하였다. 이러한 의미는 『임제록』에 명백하다. ‘현(玄)’은 ‘붉은 빛을 띤 흑색’으로서 ‘천색(天色)’을 의미한다.
노자는 “시공을 초월한 천지만물의 근원인 절대적인 도의 성질”을 ‘현’이라고 하였다. 불교에서는 이를 ‘지(旨)’를 붙여 ‘종지’의 의미로 사용하였다. 따라서 자아의 분별을 여의는 것, 즉 현지를 모르고 간정(看靜)하여 무심하게 될 것을 기다리는 선정주의에 힘쓰는 것은 공연한 일이라는 것이다.
(莫逐有緣 勿住空忍) (一種平懷 泯絶自盡)
‘일종’은 ‘한 모양’으로서, 모든 것에 대해 여여(如如)해 질 때 객진번뇌가 소멸해 지는 것이 ‘민절자진’이다. 공에 집착하게 되면 공은 유에 대한 것이 되고 또한 이원(二元)의 대립에 떨어져 버린다. 이 둘을 초월한 위치(일종)상에 마음을 편안하게 두면 심병인 일체의 분별, 차별은 사라지게 된다는 것이다. 혜원 스님(동국대 선학과 교수) [출처 : 법보신문]
|
첫댓글 _()()()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