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세 증(症)자는 의부(義符)로 병들어 기댈 녁(疒)자에 성부(聲符)로 바를 정(正)자를 했습니다. 바를 정(正)자는 사람이 일정한 선에서 바르게 서 있는 모양을 나타낸 글자입니다. 한 일(一)자에 발 지(止)자를 했습니다. 한 일(一)자는 정해진 선을 뜻하고 발 지(止)자는 멈추어 서 있는 모양입니다. 증거 증(証)자도 바를 정(正)자가 들어 있어서 ‘증’으로 읽습니다. 증세(症勢) 병증(病症) 증례(症例) 증상(症狀) 통증(痛症) 화증(火症) 염증(厭症) 염증(炎症)
찔 증(蒸)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김 오를 증(烝)자를 했습니다. 도울 승(丞)자는 받들 승(氶)자 아래에 한 일(一)자를 했습니다. 받들 승(氶)자는 두 손으로 받들어 들고 있는 모양을 표시했습니다. 도울 승(丞)자에서 한 일(一)자를 더한 것은 손으로 도와 받든다는 뜻을 분명하게 한 것입니다. 순일할 증(䒱)자는 받들 승(丞)자가 들어 있어서 ‘증’으로 읽습니다. 증기(蒸氣) 증발(蒸發) 수증기(水蒸氣) 훈증(燻蒸) 암증(暗蒸) 한증(汗蒸)
증거 증(證)자는 의부(義符)로 말씀 언(言)자에 성부(聲符)로 오를 등(登)자를 했습니다. 오를 등(登)자는 등질 발(癶)자 아래에 제기 두(豆)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등질 발(癶)자는 좌우(左右) 발을 엇갈려 디디면서 오른다는 뜻이고, 제기 두(豆)자는 제사 음식에 오른다는 뜻입니다. 건질 증(撜)자도 오를 등(登)자가 들어 있어서 ‘증’으로 읽습니다. 증인(證人) 증인(證印) 증인(證引) 증거(證據) 증좌(證佐) 증좌(證左) 증표(證票) 증명서(證明書) 표증(表證)
늘어날 증(增)자는 성부(聲符)로 흙 토(土)자 변에, 성부(聲符)로 포갤 증(曾)자를 했습니다. 포갤 증(曾)자는 떡이나 빵, 만두 등을 찌는 시루에서 김이 오르는 것(八)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시루를 설치할 때, 찔 것을 담아 얹어 놓은 부분과 물을 담아 김을 내게 하는 그릇이 따로 있습니다. 포갤 증(曾)자의 맨 아래 가로 왈(曰)자가 물을 담아 놓은 그릇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불을 때면 김이 올라 떡이나 만두 등을 찌게 된다는 뜻이지요. 김을 내어 찌는 그릇이 이렇게 포개서 사용하기에, 포갤 증(曾). 거듭 증(曾)자로 쓰다가 뜻이 전주(轉注)되어 ‘일찍’이라는 뜻도 가지게 되었습니다. 증가(增加) 증대(增大) 증산(增産) 증감(增減) 증감(增感) 증폭(增幅) 증익(增益)
이 글은 국화선생님의 "한자의 비밀" 카페에서 퍼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