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습을 바꾸는 물
[1] 물을 가열할 때의 온도 변화와 상태 변화
① 물을 가열할 때의 온도 변화
· 물이 끓기 전:물을 가열함에 따라 온도가 계속 올라간다.
· 물이 끓고 있는 동안:물을 계속 가열해도 물의 온도가 약 100℃ 근처에서는 더 이상 온도가 올라가지 않는다.
② 물을 가열할 때의 상태 변화
· 물이 끓기 전의 변화
- 기포가 점점 많이 생긴다.
- 온도가 올라가면 김이 난다.
· 물이 끓고 있는 동안의 변화
- 김이 계속 나고 커다란 기포가 많이 올라온다.
- 기포의 움직임 때문에 온도계가 약간 흔들린다.
③ 물이 끓을 때 삼각 플라스크 입구에 유리 막대를 가져다 대기
· 유리 막대에 물방울이 생긴다.
· 물이 기체 상태로 변하여 수증기가 되었기 때문이다.
④ 끓음과 증발의 차이점
· 같은 점:액체 상태의 물이 기체 상태인 수증기로 변하는 것이다.
· 다른 점:증발은 물이 끓지 않으면서 수 증기로 변하는 것이다.
[2] 물을 냉각시킬 때의 온도 변화와 상태 변화
① 물을 냉각시키기
· 냉각:물이 차게 되는 것
· 물에 작은 얼음 조각과 소금을 넣은 후 물을 저어 주면 물이 냉각된다.
② 물을 냉각시킬 때의 온도 변화
· 물이 얼기 전:물을 냉각시킴에 따라 물의 온도가 계속 내려간다.
· 물이 얼고 있는 동안:물을 계속 냉각시켜도 물의 온도는 내려가지 않는다.
· 물이 완전히 얼고 난 후:온도가 다시 내려간다.
③ 물을 냉각할 때의 상태 변화:물은 냉각시킴에 따라 물의 온도가 계속 내려가고, 액체 상태인 물이 고체 상태인 얼음으로 변한다. 이것을 ‘언다’라고 한다.
[3] 물을 얼릴 때의 부피 변화
① 물 얼리기
· 종이 컵에 물을 가득 채운 후 냉동실에넣어 얼린다.
· 얼음과 소금이 섞여 있는 비커에 물이 든 시험관을 넣어 둔다.
② 부피 변화
· 물이 얼음으로 되면서 부피가 늘어난다.
· 겨울에 수도관이 터지는 것도 물이 얼어부피가 커지기 때문이다.
[4] 물을 아껴 쓰는 지혜
① 물의 이용:식수, 공업 용수, 농업 용수, 생활 용수 등
② 물을 절약하는 방법
· 컵에 물을 담아서 양치질하기
· 싱크대에 물을 받아서 설거지하기
· 양동이에 물을 받아 세차하기
· 세면대에 물을 받아서 세수하기
· 빨래를 모아서 세탁기 돌리기
· 변기 안에 벽돌 넣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