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3. 치(治)를 논(論)하다
一. 비색(鼻塞)의 증(證)에는 두 가지가 있다.
풍한(風寒)으로 말미암아 비색(鼻塞)하면 한(寒)이 주리(腠理)를 폐(閉)하기 때문이다. 경락(經絡)이 옹색(壅塞)하니 구(鼽) 체(嚔)가 많다. 이 증(證)은 대부분 태양경(太陽經)에 있다. 마땅히 신산(辛散) 해표(解表)를 쓰면 저절로 나으니, 천궁산(川芎散) 신유산(神愈散) 및 마황(麻黃) 자소(紫蘇) 형개(荊芥) 총백(蔥白)의 종류(類)에서 모두 선택(擇)하여 써야 한다.
만약 화사(火邪)가 상염(上炎)하므로 말미암아 비색(鼻塞)하면 단지 마땅히 청화(淸火)하여야 한다. 화(火)가 미(微)하면 대부분 상초(上焦)에 가까워서 심폐(心肺)에서 출(出)하니 마땅히 청화음(淸化飮) 황금지모탕(黃芩知母湯)의 종류(類)로 주(主)하여야 한다. 화(火)가 심(甚)하면 대부분 양명(陽明)에서 출(出)하니, 혹 약간 두통(頭痛)을 겸하니, 마땅히 죽엽석고탕(竹葉石膏湯) 양격산(凉膈散)의 종류(類)로 주(主)하여야 한다.
만약 풍한(風寒)에 화(火)를 겸(兼)하면 곧 방풍통성산(防風通聖散)의 종류(類)도 쓸 수 있다.
대체로 항상(常) 색(塞)하면 화(火)가 많고, 갑자기(:暴) 색(塞)하면 풍한(風寒)이 많으니, 당연히 이로 변별(辨)하여야 한다.
一. 비체(鼻涕)가 많으면 대부분 화(火)로 말미암느니라. 따라서 이르기를 "폐(肺)에 열(熱)이 심(甚)하면 비체(鼻涕)가 출(出)한다." 하였다.
이로 보건대 무고(無故)하게 눈물(:淚)이 많거나 침(:口涎)이 많으면 또한 대부분 간비(肝脾)의 화(火)에 속(屬)하니, 모두 그 종류(類)일 뿐이다.
一. 비연(鼻淵)의 증(證)은 결국(:總) 태양(太陽) 독맥(督脈)의 화(火)로 말미암느니라. 심(甚)하면 위로 뇌(腦)와 연(連)하고 끈적끈적(津津: jinjin)하게 그치지 않으므로 또한 이를 명(名)하여 뇌루(腦漏)라고도 한다.
이 증(證)은 대부분 주례(酒醴: 술)나 비감(肥甘: 기름진 음식)이거나 열물(熱物)을 오래 동안 쓰거나, 화(火)가 한(寒)으로 말미암아 울(鬱)하여 습열(濕熱)이 위로 훈(薰)하고 진즙(津汁)이 용일(溶溢)하여 하(下)하므로, 경(經)을 떠나서(:離) 부패(腐敗)하여 취(臭)를 작(作)하거나 맡을 수 없을 정도로 대취(大臭)하는 경우가 있다.
하간(河間)은 방풍통성산(防風通聖散) 1냥(兩)에 박하(薄荷) 황연(黃連) 각 2전(錢)을 가한 것으로 치료(治)하였고, 고법(古法)에서는 창이산(蒼耳散)을 써서 치료(治)한 경우가 있었다.
그런데 나의 소견(:見)으로 말하자면, 이렇게 염상(炎上)하는 화(火)에 신산(辛散)을 겸하는 치료(治)는 마땅하지 않으니, 대부분 효(效)를 보지 못한다. 단지 음화(陰火)를 청(淸)하고 겸하여 자음(滋陰)하는 것보다 못하니, 오래 하면 저절로 평안(:寧)하게 된다. 이는 곧 '고(高)하면 억(抑)한다.'는 법(法)이다.
따라서 보통 청화음(淸化飮)에 백질려(白蒺藜) 5전(錢) 혹은 1냥(兩) 창이자(蒼耳子) 2~3전(錢)을 가한 것으로 하여야 한다. 만약 화(火)가 심(甚)하면 다시 청양(淸凉)하는 등의 제(劑)를 가감(加減)하여 사용하니, 매번 완전히 나았느니라. 혹 선명방풍탕(宣明防風湯)의 의미를 써도 된다.
단지 이 증(證)이 한 번 나타나면 곧 마땅히 절제하고 경계(:節戒)하며 미리 치료(治)하여야 하니, 오래되면 힘쓰기가 심(甚)히 어려우니라.
비연(鼻淵) 뇌루(腦漏)는 비록 열증(熱證)이지만 유참(流慘: 참혹하게 흘러내림)이 이미 오래되었으면 곧 화사(火邪)가 이미 거(去)하여도 그 유(流)가 또한 부지(不止)하니, 액도(液道)를 경고(扃固: 굳게 닫다)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신병(新病)은 대부분 열(熱)로 말미암고 구병(久病)은 반드시 모두 열증(熱證)인 것은 아니다. 이러하므로 당연히 잘 살펴서 치료(治)하여야 한다.
만약 고집(:執)하여 한량(寒凉)을 쓰게 된다면 따로 다른 병(病)이 생(生)하는 것을 면(免)하지 못한다.
누설(漏泄)이 이미 많아서 그 수해(髓海)를 상(傷)하였으면 기(氣)가 위에서 허(虛)하여 두뇌(頭腦)가 은통(隱痛)하고 현운(眩運)하여 불녕(不寧)하는 등의 증(證)이 많이 나타나는데, 이 때는 보양(補陽)하지 않으면 안 된다. 마땅히 십전대보탕(十全大補湯)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의 종류(類)로 주(主)하여야 한다. 또 의학정전([醫學正傳])의 뇌루비방(腦漏秘方)의 사용도 점검(檢)해볼 수 있다.
一. 비옹(鼻齆)은 식육(瘜肉)이 청도(淸道)를 조색(阻塞)하는 것이다. 비록 비(鼻)는 폐(肺)의 규(竅)이지만, 옹색(壅塞)을 앓으면 이는 곧 경락(經絡) 기육(肌肉)의 병(病)이다. 이는 실로 양명(陽明)에 열(熱)이 체(滯)하여 유결(留結)하므로 그러한 것이다.
따라서 내치(內治)의 법(法)은 마땅히 청화(淸火) 청기(淸氣)를 위주로 하고, 외치(外治)의 법(法)은 마땅히 황백산(黃白散) 및 천금식육방([千金]瘜肉方) 웅황산(雄黃散) 혹은 간이식육방([簡易]瘜肉方)의 종류(類)로 주(主)하여야 한다.
一. 주사적비(酒皶赤鼻)는 대부분 호주가(好酒)에게 습열(濕熱)이 폐(肺)를 승(乘)하여 면(面) 비(鼻)를 훈증(薰蒸)하기 때문이니, 혈열(血熱)하여 그렇게 되는 것이다. 혹 폐경(肺經)에 평소 풍열(風熱)이 많아서 색(色)이 홍흑(紅黑)하면서 사절(皶癤)이 생기는 경우도 있다.
내(內)로는 마땅히 양혈(凉血) 청화(淸火)하고, 외(外)로는 마땅히 유황산(硫磺散) 백반산(白礬散)의 종류(類)로 주(主)하여야 한다.
一. 비뉵(鼻衄)의 증(證)은 혈증({血證})의 문(門)에 상세히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