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8월 3일 목요일(癸卯년 己未월 癸巳일)
乾
□癸己癸
□巳未卯
辛壬癸甲乙丙丁戊
亥子丑寅卯辰巳午
절태양과 록왕쇠 운의 차이는 무엇일까? 절태양이든 록왕쇠든 모두 열심히 일해야 할 운이다. 절태양 운에는 여행 공부 기도 휴식 충전 등을 열심히 해야 하고 록왕쇠 운에는 정신없이 바쁘게 일해야 한다. 작은 규모 사업이라면 주인이 직접 바쁘게 뛰는 록왕쇠 운이 좋을 것이다. 그러나 조직이 커지면 혼자서는 감당 못 한다. 이때는 수장(首長)은 절태양 운이 좋고 직원은 록왕쇠 운이 오면 좋다.
예를 들면 학교 교장만 해도 그렇다. 모든 일은 담당 부서가 있다. 교장은 교장실에 절태양으로 앉아서 일선 담당 선생님에게 맡겨야 한다. 교장이 직접 모든 과목, 모든 선생님, 모든 학생, 모든 학부모를 관리할 수는 없다. 교장은 절태양이어야 하고, 일선 부장 선생님이나 담임 선생님은 록왕쇠 운이면 좋다. 모든 조직이 마찬가지이다. 대통령은 절태양이 좋고 각 부 장관은 록왕쇠가 좋다. 이것은 상대적이다. 교육감은 절태양이 좋고 일선 교장은 록왕쇠가 좋다. 교육부장관은 절태양이 좋고 일선 각 시도 교육감은 록왕쇠가 좋다. 이는 개인의 팔자를 말하는 것이 아니다. 각 직책이 처신해야 할 자세를 말한다. 관리자들은 절태양의 자세를 취하면 좋고, 일선 직원들은 록왕쇠 자세를 취해야 한다.
관리자는 적재적소(適材適所)에 사람을 배치하고 전권을 위임하고 자신은 절태양 위치에 있어야 한다. 조직의 수장(首長)에게 자기만의 방을 주는 것은 절태양의 모습을 유지하라는 뜻이다. 육체가 록왕쇠이면 정신은 절태양이고, 정신이 록왕쇠이면 몸이 절태양이다. 수장(首長)은 몸은 절태양 상태를 유지하면서 두뇌는 록왕쇠로 움직여야 한다. 부모는 아이와 관계에서는 절태양 상태를 유지해야 하지만 직장에서 직원이라면 록왕쇠 자세로 일해야 한다.
보통 글자에 집착해서 절태양은 나쁘고 록왕쇠가 좋다고 한다. 한번 입력된 지식은 빠져나오기 힘들다. 그래서 처음에 제대로 배워야 하는데 그게 마음대로 안 된다. 무엇인가를 배울 때는 그 용어에 대한 개념부터 분명히 정리해야 한다. 개념을 잡지 못하면 암기로 가고 암기 위주의 공부는 응용력이 생기지 않는다. 땅이 기름지면 무엇을 심어도 잘 자란다. 기본을 강조하고 또 강조하는 이유이다.
乾
□癸己癸
□巳未卯
辛壬癸甲乙丙丁戊
亥子丑寅卯辰巳午
돌고 돌아 일간이 癸水가 되었다. 일간은 십신을 정하는 기준이다. 일간의 강약을 따질 필요가 없다. 일간이 癸水이니 연간 癸水는 비견이다. 일간이 癸水이니 월간 己土는 편관이다. 癸水는 더 확산 더 상승하는 속성이 있고, 己土는 더 응축 더 하강하는 속성이 있다. 두 가지 마음이 상존(常存)한다. 己土를 쓸 것인지 癸水를 쓸 것인지 모를 때는 운의 지지를 보아야 한다. 록왕쇠로 쓰고 싶으면 亥子丑에는 己土를 쓰고, 巳午未에는 癸水를 쓰면 좋다. 절태양으로 쓰고 싶으면 亥子丑에는 癸水를 쓰고 巳午未에는 己土를 쓰면 좋다. 지금은 여름이 한창이다. 팔자가 어떻게 생겼든지 모든 사람은 이 무더위 속에서 살아가야 한다. 여름 巳午未는 운의 지지이다. 지지는 시간과 공간을 나타낸다.
12신살을 살펴보자. 월지 未가 장성살이므로 연지 卯는 화개살이다. 월지 未가 장성살이므로 일지 巳는 역마살이다. 이 팔자는 원국에 타고난 화개살과 역마살이 있다. 원국에 있다고 항상 현상으로 드러난 것은 아니다. 원국의 글자는 운에 의해서 출근해서 일하고 퇴근해서 잠을 잔다. 보통 팔자에 있는 글자를 실감할 때는 팔자의 글자가 열심히 일할 시기이다. 잠을 자는 운에서는 팔자에 있다고 할지라도 현상으로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많다. 팔자에 역마살이 있다고 항상 역마의 기질이 드러나지 않는다.
****
적천수 자평진전 난강망 등 명리학 3대 보서라는 책을 새로운 명리학 이론에 근거해서 재해석해 본다.
****
삼춘(三春) 戊土 總論
三春戊土 無丙照暖 戊土不生 無甲疏劈 戊土不靈 無癸滋潤 萬物不長。
삼춘(三春) 戊土는 丙火가 따뜻하게 하지 않으면 생존하지 못하고, 甲木의 소벽(疏劈)이 없으면 신령(神靈)하지 못하고, 癸水의 자윤(滋潤)이 없으면 만물이 성장하지 못한다.
해설) 삼춘(三春) 戊土는 丙火로 따뜻하게 하고 甲木으로 戊土를 목극토하고 癸水로 자윤해야 한다고 한다. 봄철 戊土에서는 丙甲癸 노래를 부를 것 같다.
戊土는 더 확산 더 상승하는 丙火를 멈추게 하고 응축 하강하는 庚金을 돕는다. 丙火와 戊土는 봄철 寅卯辰에서 생욕대가 된다. 봄철 戊土는 甲木으로 목극토 해야 하고, 癸水로 자윤해야 한다고 하는데 역시 상상 추측에 의한 개인적인 생각이다. 戊土와 丙火와 癸水는 봄철 寅卯辰에 모두 생욕대이다. 생욕대는 출근과 같다. 출근하는 생욕대 글자보다는 열심히 일하는 록왕쇠 글자를 쓰는 것이 좋다. 寅卯辰에서는 甲木과 辛金이 록왕쇠로 주도권을 잡고 다른 천간을 이끈다.
正二月先丙後甲 癸又次之。
寅卯월에는 丙火를 먼저 쓴 후 甲木을 취하고 그다음으로 癸水를 쓴다.
해설) 寅卯월 戊土는 아직 한기가 있어서 丙火를 먼저 쓴다고 한다. 그다음 戊土가 강하니 목극토할 甲木을 쓰고 그다음으로 癸水를 쓴다고 한다. 역시 그럴듯한 추측이지만 옳지 않다. 戊土와 丙火와 癸水는 봄철 寅卯辰에 모두 생욕대이다. 반면 甲木은 寅卯辰에서 록왕쇠이다.
三月先甲後丙 癸又次之 因戊土司權故也。
辰月에는 甲木을 먼저 쓰고 다음으로 丙火를 쓰고, 그다음으로 癸水를 쓴다. 이는 戊土가 사권(司權)했기 때문이다.
해설) 戊土가 辰에서 권리를 잡으니 甲木으로 목극토 해야 된다고 한다. 그다음 丙火와 癸水를 써야 한다고 한다. 천간과 지지가 토이니 권리를 잡았다고 한다. 戊土는 辰에서 관대이고 甲木은 辰에서 쇠(衰)이다. 난강망은 천간마다 무슨 천간이 좋다고 공식처럼 말한다. 대부분 지지나 운도 보지 않고 사시사철 같은 기준을 적용하는 경우가 많다. 사시사철 어떤 천간에는 어떤 천간이 좋다는 말이 맞을 리가 없다. 모든 글자는 운에 의해서 출근해서 일하고 퇴근해서 잠잔다.
有甲丙癸 三者齊透 必主一品當朝 或二透一藏 亦登金榜 二藏一透 也可異途。
辰월 戊土에 甲木과 丙火와 癸水가 모두 투(透)하면 필히 일품당조(一品當朝)하고, 혹 두 글자는 투(透)했는데 하나가 암장(暗藏)되면 역시 금방(金榜)에 이름을 올리며, 두 글자는 암장(暗藏)되었는데 하나가 투(透)하면 또한 이도(異途)로 공명(功名)을 이룬다.
해설) 삼춘(三春) 戊土에 甲木과 丙火와 癸水가 모두 투하면 조정(朝廷)에서 일품의 재상(宰相)이 되고, 세 글자 중 두 글자가 투하고 하나는 암장되면 금방(金榜)에 이름을 올린다는 설명이다. 甲丙癸 중에서 하나가 투하고 두 글자가 암장되면 이도로 공명을 이룰 수 있다고도 한다. 辰월 戊土는 甲丙癸가 좋다고 전제해 놓고 설명하고 있다. 운도 보지 않고 원국만 보고 지장간까지 동원하며 설명한다. 지장간은 모르는 것이 좋다. 지지에는 열 개의 천간이 모두 다른 모습으로 존재하기 때문이다.
첫댓글 * 육체가 록왕쇠이면 정신은 절태양 -- 직원
정신이 록왕쇠이면 육체가 절태양 -- 사장
* 천간과 지지가 토이니 구너리를 잡았다고 한다 : 구너리 --> 너구리 로 수정 ~~ 감사합니다 ~~*
너구리 ㅎㅎ
@나이스 너구리 ㅋㅋ 선생님이랑 청담동님 덕분에 ~ 늘 든든합니다 ~ ㅋ
해설 세번째 : 천간과 지지가 "구너리" 》"권리"로 고쳐야겠습니다^~^
네.
수정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