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 바이오 플라스틱의 이용
바이오 플라스틱에는 생분해성 플라스틱과 바이오매스를 원료로 한 바이오매스 플라스틱의 2종류가 있다. 생분해성 플라스틱이란, 사용 후는 자연계에 존재하는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어 물과 이산화탄소로 되는 것이 있고, 해수 중에서도 분해하는 생분해성 플라스틱도 만들어지고 있다. 또한 바이오매스 플라스틱이란 재생 가능한 바이오매스 자원을 원료로,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으로 합성하여 얻어지는 플라스틱으로 특성은 화석자원으로부터의 플라스틱과 동일한 것이다. 위쪽 그림에 바이오 플라스틱의 개념을 나타냈는데, 플라스틱에 관계되는 여러 문제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개선 방책이 생각된다.
① 미생물에 의한 쓰레기 처리 대책(비료화 등)
② 탈 화석자원 대책으로서 식물유래의 재생 가능 자원
③ 지구 온난화 대책으로서 carbon neutral성의 바이오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이산화탄소의 절감
④ 해양 유출 플라스틱의 대책으로서 쓰레기 영향을 저감(생분해성 플라스틱 이용)
바이오매스 플라스틱의 특징은, 생산 시에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기 때문에, 소각 처분 시에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상승시키지 않는다고 하는 carbon neutral성이다. 이것에 의해 지구 온난화의 방지나 화석자원의 의존도 저감에도 공헌하는 것이 기대된다.
플라스틱을 점하고 있는 바이오 플라스틱의 비율은 불과 0.4%를 넘지 않고, 그 중에 바이오매스 플라스틱이 약 90%를 점하고, 그 중에서도 바이오 PET가 절반을 점하고 있다(가운데 표). 하지만, 지금 시판되고 있는 바이오매스 플라스틱은 사탕수수나 옥수수 등을 원료로 하고 있는데, 사료와의 trade off로 되기 때문에, 목재를 원료로 한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일본의 일반 폐기물 중,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1% 이하이고, 분별, 회수가 진행되고 있는 일본에서는 사용할 의의가 있을까, 논의 중에 있다. 이산화탄소 배출 절감만이 목표라면 경제성이 논의가 될 것이다.
요점 BOX 생분해성 플라스틱과 바이오매스 플라스틱 Carbon neutral로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절감 가능할까? 생분해성은, 해수 분해성이 중요하게 |
<바이오 플라스틱의 개념>
<일본의 바이오 플라스틱의 출하량 추산(2017년)>
플라스틱 | 출하량(톤) | 비율(%) |
바이오매스 플라스틱 | 35,500 | 89.9 |
바이오 PET(부분 바이오매스 유래) | 19,000 | 48.1 |
바이오 Ny(부분 바이오매스 유래도 포함) | 6,500 | 16.5 |
바이오 PE | 5,300 | 13.4 |
PLA(생분해성 기능도 포함) | 4,700 | 11.9 |
생분해성 플라스틱 | 2,300 | 5.8 |
PBAT(polybutylene adipate terephthalate) PBS(polybutylene succinate) 전분 polyester 수지 PHB(poly hydroxy butylate) (PHA계) (100% 바이오매스 유래) |
기타 바이오매스 플라스틱 | 1,700 | 4.3 |
Isosorbide계 공중합 carbonate(부분 바이오매스 유래) Bio polyurethane 수지(부분 바이오매스 유래)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ccinate(부분 바이오매스 유래) PBAT(polybutylene adipate terephthalate, 부분 바이오매스 유래) |
합계 | 39,500 | |
전체 플라스틱 수지(10,545,061톤)에 대하여 약 0.4%에 상당 |
<바이오 플라스틱의 특징과 용도>
생분해 플라스틱 | 바이오매스 플라스틱 |
농업, 토목 (멀칭 필름, 식생그물) | 식품 찌꺼기 (음식 쓰레기 봉투) | 식품용기 포장 | 비식품용기 포장 | 의료 섬유 | 전기정보 기기 | OA 기기 | 자동차 |
#생분해성 #바이오매스 #화석자원 #비료화 #탄소중립 #트레이드오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