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 부처님의 오도송 [게송 153~154]⁷⁶⁾ 싯달타 태자는 고따마⁷⁷⁾의 가계로서 사끼야족으로 캇띠야⁷⁸⁾계급이었으며, 아버지 숫도다나 왕과 어머니 마야 왕비 사이에 첫아들로 탄생하셨다. 태자는 태어날 때 아주 특출한 아기로서 신비롭고 기적적인 면을 보인 바 있었다. 이는 태자가 단순히 금생에만 공덕을 쌓은 것이 아니라 수없이 긴 세월을 두고 많은 공덕을 쌓아 왔고, 이제는 그 마지막 단계에 이르렀다는 뜻으로 받아들일 수 있겠다. 태자에게는 태자로서 장차 한 나라를 다스릴 영화가 보장된 탄생이었을지라도, 그보다는 인간이 태어나고 죽는 일과, 그 과정에서 만나는 엄청난 고통과 번민, 노쇠와 불합리가 더 중대한 문제였다. 그래서 태자는 나이 스물아홉이 되던 해(그때는 결혼하여 귀여운 첫아들을 얻고 있었는데)에 진리를 찾기 위해 세상의 모든 명예와 왕실의 호화로운 생활을 버리고 수행자가 되었다. 수행자 고따마는 그 후 진리를 찾기 위해 육 년 동안 갠지스 강의 기슭을 따라가며 당시의 유명한 모든 수행자와 종교 지도자들의 가르침과 수행법을 통달하였다. 그러나 끝내 궁극적 목표였던 깨달음에는 이를 수 없었다. 그는 엄격하고 규칙적이며 맹렬하게 육신을 학대하는 고행자로서의 길을 가려고 초인적으로 노력했다. 그러나 이것은 하나의 관습에 불과한 것이었고, 형이상학적이어서 현실과는 동떨어져 있었다. 그것을 깨달은 태자는 고행을 버리고 자기자신만의 길을 통해 진리에 도달하리라 결심했다. 이때 태자는 지나치게 호화롭게 감각적 쾌락에 탐닉하는 것도, 지나치게 자기를 학대하며 육체에 고통을 가하는 것도 옳지 않다고 생각하여 이 둘을 다 버리고 중도에 머물렀다. 그리하여 가장 평화롭고 고요하며 지나침이 없는 이 중도만이 현실에 부합하는 진리의 길이라고 생각하셨다. 이 중도⁷⁹⁾를 가게 되면 완전한 평화인 닙바나⁸⁰⁾에 이르게 되는데, 중도는 구체적으로는 여덟 가지 성스러운길⁸¹⁾로 설명되었다. 팔정성도는 다음과 같다. 삼마딧티(Samma-ditthi:正見): 사물의 실상을 바르게 봄. 모든 현상에 대한 무상과 무아의 실상. 삼마상깝빠(Samma-sankappa:正思): 바른 생각을 함. 삼마와짜(Samma-vaca:正語): 바르게 말함. 거짓, 험담, 이간질, 비방을 안 함. 삼마깜만따(Samma-kammanta:正業): 바르게 행동함. 선업을 쌓는 것. 노예, 무기, 술 독약, 관에 시체 담는 것을 취급 안 함. 삼마아지와(Samma-ajiva:正命): 바른 직업에 종사함. 삼마와야마(Samma-vayama:正精進): 바르게 노력함. 삼마사띠(Samma-sati:正念): 바르게 마음 집중을 수행함. 삼마사마디(Samma-samadhi:正定): 바르게 삼매(三昧)에 듦. 여기에 제시된 여덟 가지 성스러운 길은 수행자만이 아니라 인간이면 누구나 가져야 할 당연한 길이자, 최상의 길로서, 사회의 길이며, 인류의 길인 것이다. 누구나 이와 같이 치우침 없이 바르게 살아감으로써 진리가 생활 속에 나타나게 되어 있다. 싯달타 태자는 이 같은 진실을 깨달으셨다. 태자는 이같이 위대한, 그리고 한편으로는 지극히 평이한 진리를 얻으신 다음 그날 저녁 때 네란자라 강가의 보리수나무 아래에서 그의 나이 서른다섯 살에 으뜸가는 깨달음(Bodhinana 혹은Sabbannutanana)을 장엄하고 영광스럽게 성취하셨다.
부처님께서는 이날 밤 초경(7~10시)에 과거 전생을 아는 지혜인 뿜빼니왜사누싸띠야니(宿命通)를 성취하셨고, 이경(10~12시)에는 모든 물체의 막힘과 거리의 장애를 받음이 없이 보실 수 있는 딥빠짝쿠냐나(天眼通)를 성취하셨다. 또 삼경(12~3시)에는 중생들이 태어나고 죽는 윤회의 법칙을 일어나는 순서와 사라지는 순서에 따라 자세히 아셨다. 그리고 새벽 4시경 먼동이 터오는 즈음 당신의 내부에서 일어나고 사라지는 마음의 현상을 관찰하는 지혜로서 네 가지 성스러운 진리⁸²⁾를 깨달으셨다. 네가지 성스러운 진리는 다음과 같다. 둑카 아리야 삿짜(Dukkha Ariya Sacca:苦聖諦): 고통의 현존에 관한 성스러운 진리. 둑카 사무다야 아리야 삿짜(Dukkha Samudaya Ariya Sacca:集聖諦) : 고통의 원인에 관한 성스러운 진리. 둑카 니로다 아리야 삿짜(Dukkha Nirodha Ariya Sacca:滅聖諦): 고통의 소멸에 관한 성스러운 진리. 둑카 니로다 가미니 빠띠빠다 아리야 삿짜(Dukkha Nirodha Gamini Patipada Ariya Sacca:道聖諦): 고통의 소멸로 인도하는 길의 진리. 이와 같이 모든 진리를 깨달으신 부처님께서는 그 외에도 성스러운 진리의 특성에 관한 지혜, 진리의 활용에 필요한 지혜, 진리를 활용하여 결과에 달성시키는 지혜, 일체의 현상의 근본을 통찰하는 지혜를 다 갖추시게 되어 이때부터 완전하게 깨달으신 분⁸³⁾이라고 불리게 되었으며, 고따마 붓다라고도 불리게 되었던 것이다. 부처님께서는 깨달음에 관한 네 가지 성스러운 진리를 12가지 관점에서 명확하고 바르게 이해해야만 한다고 말씀하셨다. 이러한 부처님이야말로 완전한 깨달음을 스스로 성취하신 분으로서 모든 인간계와 천상계, 그리고 브라흐마 세계까지를 통틀어서 가장 위대한 으뜸가는 성인이시며, 스승이요, 붓다이시며, 아라한이신 것이다. 부처님께서는 수행을 통하여 부처님을 이루는 순간 다음 게송 두 편을 읊으셨다. 11-8-153 한량없는 세월의 생사윤회 속에서 집을 짓는 자⁸⁴⁾가 누구인지 알려고 찾아 헤매다 헤매다 찾지 못하여 계속해서 태어났나니 이는 둑카였네.⁸⁵⁾ 11-9-154 아, 집을 짓는 자여! 나는 이제 너를 보았노라!⁸⁶⁾ 너는 이제 더 이상 집을 짓지 못하리라!⁸⁷⁾ 이제 모든 서까래⁸⁸⁾는 부서졌고 대들보⁸⁹⁾는 산산이 조각났으며, 나의 마음은 닙바나에 이르렀고, 모든 욕망은 파괴되어 버렸느니라. 76) 여기에 나오는 게송 두 편은 싯달타 태자가 최정각을 이루어 아라한, 또는 부처님이 되는 순간의 장엄스럽고 영광스러운 감회를 토로하신 깨달음의 시이다. 이 게송들은 부처님께서 제따와나 수도원에 계시던 어느 때, 아난다 테라의 요청에 따라 다시 반복해 주신 것이다. 77) 고따마 : Gotama 78) 캇띠야 : Khattiya 혹은 Ksatriya(왕족) 79) 중도 : 맛지마빠띠빠다(Majjhimapatipada) 80) 닙바나 : 열반(Nibbana) 81) 팔정성도 : 아리야 앗탕기까 막가(Ariya-atthangika-magga) 82) 사성제 : 짯따로 아아리야 삿짱(Cattaro ariya saccam) 83) 정등각자 : 正等覺者(Samma Sam Buddha: 삼마삼붓다) 84) 집은 짓는 자 : 집은 인간을 구성하는 네 가지 원소, 즉 지수화풍(地水火風)의 사대(四大)와 오온(五蘊)을 가리킨다. 그리고 집을 짓는 자, 즉 목수는 욕망, 애착, 집착 따위를 비유하신 것이다. 85) 이 게송의 의미는 ‘연등불 밝은 빛 여래(다보여래/디빵까랑)께서 나에게 너는 먼 미래에 부처가 되리라고 수기하신 이래 나는 집을 짓는 자를 찾고자 백방으로 힘썼다. 집을 짓는 자를 찾으려면 지혜(빤냐)가 있어야 하고, 지혜는 깨달음으로 얻어지며, 깨달음을 통하여 집을 짓는 자를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것을 발견하기까지 나는 오랜 세월 동안 윤회에 시달렸고, 크나큰 방황과 고통을 겪었다.’는 뜻이다. 이런 방황과 고통의 결과 문제의 근원을 밝혀 깨달음을 성취하시고 번뇌를 뿌리 뽑으신 감격은 다음 게송에서 토로 된다. 86) 집을 짓는 자를 봄 : 내적 현상 관찰의 지혜를 통하여 모든 고통의 원인과 욕망과 갈망임을 봄. 그러나 그 또한 하나의 현상일 뿐 실체가 없이 단지 조건에 따라 일어나고 사라지는 현상에 불과함. 그러므로 그 조건의 출입문인 여섯 가지 감각 기관을 잘 다스리면 번뇌를 쉬어 해탈하게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