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북국시대
조선시대
일제강점기
대한민국[
중창자 김대성에 대한 논란[편집]
재상 김대성이 불국사를 중창하고 석굴암을 창건하였다는 내용은 삼국유사의 내용을 따르고 있다. 하지만 불국사와 석굴암의 규모를 보면, 한 나라의 국력을 쏟아부어야 할 정도이다. 이걸 왕이 아닌 재상이 건축했다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
원래 불국사는 경덕왕이 아버지 성덕왕을 기리기 위해 중창하였고, 석굴암도 마찬가지로 이유로 창건하였다고 한다. 하지만 아들 혜공왕이 시해당하면서 통일신라의 왕위는 순수한 진골 혈통과 단절되어 버렸다.
후에 왕위에 오른 원성왕은 성덕왕과 경덕왕의 사당까지 없애버린다. 자신과 혈통이 다른 왕들을 추모하는 절을 그대로 둘 수 없었기에, 창건자를 재상 김대성으로 만들어 소문을 내었다고 한다. 이것이 일연이 삼국유사를 저술하던 고려시대는 물론, 현재까지 이어져오고 있다는 설이다.[6]
주요 볼거리
국보제20호 경주 불국사 다보탑
국보제21호 경주 불국사 삼층석탑(석가탑)
국보 제22호 경주 불국사 연화교 및 칠보교
국보제23호 경주 불국사 청운교 및 백운교
국보제26호 경주불국사 금동비로자나불좌상
국보제27호 경주불국사금동아미타여래좌상
국보제126호 불국사삼층석탑 사리장엄구(무구장정대다다라니)
보물제61호 경주불국사 사리함
보물제1523호 경주불국사 석조
보물제1744호 경주불국사대웅전
보물제1745호 경주불국사 가구식석축
보물제1797호 경주불국사 영산회상도및사천왕벽화(대웅전0보물제1933호 경주불국사삼장보살도(대웅전)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446호 불국사 당간지주(2쌍)
대웅전:보물 제1744호 경주 불국사 대웅전
석가탑(좌), 대웅전(가운데), 다보탑(우)
불국사 대웅전을 마주보고 섰을 때, 가운데는 통일신라시대 석등이 있고, 좌측에는 석가탑, 우측에는 다보탑이 있다. 대웅전 내부에 주불은 석가모니불이고, 좌측에는 제화갈라보살, 우측에는 미륵보살이 있다. 가장 끝 양쪽에는 부처님의 제자인 아난존자와 마하가섭존자가 있다.
석가탑과 다보탑:국보제20호 경주 불국사 다보탑 ,국보제21호 경주 불국사 삼층석탑(석가탑)
석가탑과 다보탑은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일명, 법화경)의 「견보탑품(見寶塔品)」내용을 보여주는 탑이다. 『법화경』에서 "이를 설법하는 석가모니를 찬양하기 위해 다보여래가 보탑의 형상으로 솟아나 공중에 머물며 찬양한 후, 탑내의 자리를 반으로 나누어 나란히 앉았다."는 장면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법화경』의 「관세음보살보문품」에서 무진의보살이 관세음보살에게 영락을 보시하자, 관세음보살이 이를 반으로 나눈다. 그리고 반은 석가모니부처에게, 나머지 반은 다보부처님 탑에 공양을 하는 장면 또한 나타낸 것이다. 석가모니부처가 관세음보살보문품을 설하시기 전에 다보부처는 탑만 남기고 자리를 뜨셨기 때문에, 다보탑에 공양한 것이 맞다.
석가탑: 국보제21호 경주 불국사 삼층석탑(석가탑)
석가탑은 석가모니여래를 상징한다. 『불국사 사적기』에는 석가탑이 석가여래상주설법탑(釋迦如來常住說法塔)으로 적혀있다.[9]
또한 석가탑의 또 다른 이름은 무영탑으로 그림자가 없는 탑이라는 뜻이다. 아사달과 아사녀 그리고 영지(그림자 호수)에 얽힌 전설이 반영된 별명이다.
다보탑: 국보제20호 경주 불국사 다보탑
다보탑은 다보여래를 상징한다. 『불국사 사적기』에는 다보탑이 다보여래상주증명탑(多寶如來常住證明塔)으로 적혀있다.
연화교와 칠보교, 청운교와 백운교 그리고 범영루[편집]
앞에 다리가 연화교와 칠보교, 뒤에 다리가 청운교와 백운교
남북국 시대 신라의 건축물로 대한민국의 국보 제23호이다.
계단인데, 다리라는 교(橋)가 붙은 이유는 다음과 같다. 원래 불국사는 토함산에서 내려오는 물로 주위를 호수로 만들어 놓아서, 배를 타고 들어가야했다. 그래서 배를 백운교에 매어놓고, 절로 올라갔었다.
현재는 물을 모으지 않고 바로 흘려보내므로 흔적만 남아있다.[10] 불국사 왼쪽 주변을 둘러보면 땅을 깊게 파서 콘크리트로 마감한 크고 깊은 배수로를 볼 수 있다.
청운교와 백운교: 국보제23호 경주 불국사 청운교 및 백운교
오른쪽 사진으로 봤을 때, 뒤쪽 다리가 청운교와 백운교이다. 위쪽 다리가 청운교이고, 아래쪽 다리가 백운교이다.
청운교와 백운교를 오르면 자하문을 통해 석가모니예래가 있는 대웅전이 나온다. 이곳은 현생세계를 의미한다. 즉, 사람들은 청운교와 백운교로 올라 현세의 석가모니불에게 간다.
연화교와 칠보교: 국보 제22호 경주 불국사 연화교 및 칠보교
오른쪽 사진으로 봤을 때, 앞쪽 다리가 연화교와 칠보교이다. 위쪽 다리가 칠보교이고, 아래쪽 다리가 연화교이다.
연화교와 칠보교를 오르면 안양문을 통해 아미타여래가 있는 극락전이 나온다. 이곳은 내생세계(극락정토)를 의미한다. 즉, 영가(죽은 사람)들은 연화교 및 칠보교로 올라 내세(극락정토)의 아미타불에게 간다.
그래서 연화교와 칠보교는 사람들이 이용하지 않는 상징적인 다리라고 한다. 형식은 청운교와 백운교와 같으나, 크기가 작기 때문이다.
범영루
4개의 다리 사이에 있는 누각으로 원래 범종이 걸려있던 곳이다. 현재는 범종각을 따로 만들어 종을 걸어놓았다.
비로전:국보제26호 경주불국사 금동비로자나불좌상
진흥왕의 어머니인 지소부인이 중건할 때, 주조하여 봉안한 비로자나불이 있다.
비로전 사리탑
대한제국 시기에 일본 건축가였던 세키노 다다시가 불국사를 연구하였다. 이 결과를 책으로 펴내서, 일본인 지인에게 선물을 하였다. 세키노 다다시는 불국사 비로전 사리탑을 "한국에서 가장 우수한 석등"이라고 널리 알리고 다녔고, 이것이 밀반출의 원인이 되었다.
1905년 어떤 일본인은 사리탑을 일본으로 불법 반출하여, 동경의 우에노(上野)공원에 세워놓았다.세키노 다다시가 사리탑을 찾으러 우에노(上野)공원으로 갔으나, 탑은 이미 그 자리에 없었다.
이후 다다시는 20여년 동안 사리탑의 행방을 계속 추적하였다. 그리하여 일본의 한 제약회사 사장의 집 정원에 있다는 것을 알아내었고, 1933년 불국사로 반환시켜 비로전 앞에 다시 세워놓았다.
970~1972년에 정부 보조비를 포함한 총공사비 3억여 원을 들여 복원시켰다.
극락전: 국보제27호 경주불국사금동아미타여래좌상
진흥왕의 어머니인 지소부인이 중건할 때, 주조하여 봉안한 아미타불이 있다.
극락전 돼지[편집]
2007년에는 한 관광객이 극락전 처마 밑의 현판 편에 가려져 있던, 나무로 만들어진 50센티미터가량 되는 황금 돼지 목조 조형물을 발견하였다.[13] 이제는 극락전 복돼지를 아예 황금 복돼지상으로 만들어서 극락전에 앞에 설치해두었다.
관음전[편집]
751년(통일신라 경덕왕 10년)에 당시 재상이었던 김대성에 의해 대규모로 중창할 때, 처음 지어졌다. 그 뒤로 보수와 중창을 거듭하였지만, 1970년대에는 기단만 남아있었다. 1973년에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고, 관세음보살 입상도 조성하였다.
나한전[편집]
석가모니 부처와 16명의 제자인 십육나한을 모신 전각이다. 제1나한은 빈두로존자 또는 나반존자라고 부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