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국민학교때 아무 생각없이 불렀던 동요하나...
그러나 거기에는 무시무시한 사실이
감쪽같이 숨겨져 있으니...
이제라도 그진실을 샅샅히 파헤쳐 보자!
"아버지는 나귀타고 장에가시고~"
우리는 이 동요를 부르면서
아버지가 물건 팔러(장사하러) 가신줄 알았다.
대다수의 우리는 국민학교 시절에 당연히 그런줄 알았다.
그런데 아니다.
아버지는 장사하러 가신게 아니다.
바람피러 가신것이다.
장사하러 가시려면 나귀를 끌고 가야한다.
나귀 등에 짐을 얹고 아버지는 나귀를 끌고 가야한다.
그런데
아버지는 나귀를 타고 가신 것이다.
즉 "한량" 이었던 것이다.
그 당시 장은 3일장, 5일장, 7일장..등이 있었으며
장이 열리는 날에는 기생집들의 대목인 것이다.
나귀 타고가는 사람들은 주막에 가질 않는다.
주막은 서민들이 이용하는 대폿집이었으니 말이다.
돈 좀 있고 할일은 없고, 노는 것 좋아하는 사람들을
그 당시 "한량" 이라고했고, 그런 사람들이 장날을
틈 타서 숨겨 논 애인을 만나러 장에 다녔던 것이다.
더군다나 그 아버지는 짐을 운반하는 노새가 아닌
그 당시로서는 적잖이 비싼 나귀(에쿠스급?)를 타고 다닐 정도의
부유층 계급의 한량 이었던 것이다.
"어머니는 건너마을 아저씨 댁에~"
어머니가 맞 바람을 피운 것이다.
아버지가 장에 가신 틈을 타서 건너 마을 아저씨하구 바람을 피는 것이다.
이모댁도 아니고, 고모댁도 아니다.
큰 엄마댁도 아니고 삼촌댁도 아니다.
바로 어머니의 숨겨놓은 애인인 아저씨 댁인 것이다.
아버지는 장에서
어머니는 아저씨댁에서
바람을 피웠다는 증거는 유추 할 필요도 없이
후렴구에 정확하게 나와 있다.
"고추먹고 메엠멤~ 달래먹고 메엠멤~
고추먹고 메엠멤 ~ 달래먹고 메엠멤~"
아이는 두번이나 강조해서 분명하게 전달한다.
어머니 아버지가 없을때 왠만큼 잘사는 집안의 아이가
쓸데없이 매운 고추와 향긋하기는 하지만 약간 씁쓸한 달래를 먹으면서
매엠맴 하면서 놀지는 않았을 것이다.
그 당시는 하우스 재배를 하지 않았기 때문에
봄에 나오는 달래와 여름에 따 먹는 고추를
어린 아이가 동시에 날 것으로 먹기는 불가능 한 것이다.
고추와 동그란 달래의 상징적 의미(?)를
그 어린 아이도 알았던 것이다.
즉, 고추와 달래를 먹은 사람은
아버지 와 어머니이며
"메엠멤~" 은 "응응응~" 과 같이 남녀 관계시 흘러나오는
교태어(?) 인 것이다.
여기서 간과할수 없는 사실이 하나 있다.
어머니의 애인인 아저씨는
계획적이며 지속적으로 어머니한테 접근해서
지능적으로 어머니를 "응응응" 한 것이다.
그 사실은 어린아이가 알고 있다.
"달래 먹구.." 즉 달래서 메엠맴 한 것이다.
여기서 우리는 우리가 아이들에게
부모로서의 모범을 왜 보여야 하는지를 극명하게 알 수있다.
즉, 아이들은 속일 수 없으며
그 아이는 그런 사실을 동네 방네 알린다.
(대략 30년쯤 알린 것 같다.)
늦었지만 지금이라도
아이들의 노래를 듣고나서 아무 생각없이
음악책에 그 노래를 삽입한 그 당시의
국정 교과서 담당자를 찿아 내서 정확한 사유를 들어봐야 한다
내가 알기로는 지금은 초등학교 음악책에
이 동요가 없는 줄 안다.
우리는 앞으로도 이런 동요들이 아이들 음악책에
실리지 않도록 각별히
감시를 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그런 동요가 실리면 일단
가처분 신청이라도 해서
우리 아이들을 보호해야한다.
믿거나 말거나 ㅋㅋ~
-가져온 글-

아니? 조것들이 시방 날보고 뭐라는 것이여?????

위의 글은 누군가 웃자고 만든 이야기구요
노래원문
아버지는 나귀타고 장에 가시고
할머니는 건너마을 아저씨댁에
고추먹고 맴맴 담배먹고 맴맴
할머니가 돌떡받아 머리에 이고
꼬불꼬불 산골길로 오실때까지
고추먹고 맴맴 담배먹고 맴맴
아버지가 옷감떠서 나귀에 싣고
딸랑 딸랑 고개넘어 오실때까지
고추먹고 맴맴 담배먹고 맴맴

첫댓글 잘보고갑니다
낙엽이 한잎 두잎 떨어져 수북이 쌓이니 왠지 스산한
느낌이 드네요. 오늘도 즐거움 가득한 수요일 되세요
그럴리가?
요즘 역사교과서 편찬으로
몸살을 앓고 있는데 역사책이
왜곡됨이 없이 써야 되는것에
대해 풍자로써 쓰여진 글이라고
합니다 순수한 동요가 왜곡되어
마음을 아프게 하네요
그리고 진심으로 우리의 역사책이
바르게 쓰여지기를 소망해봅니다
오늘 하루도 늘 편안한 마음가짐으로
좋은 날이 되시기 바랍니다
@천안남정네 부디 역사 교과서도 음악 교과서도 곱고 바르게 쓰여지길 소망합니다.
항상 좋은 자료와 좋은 글을 제공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분홍별 감사합니다
고맙습니다
날씨가 쌀쌀합니다
건강 조심하시고
오늘도 행복한 시간
되세요
가사가 틀렸어요 어머니가 아니라 할머니는 건넛마을 아저씨댁에 입니다2절은 할머니가 돌떡받아 머리에 이고 꼬불꼬불 산골길로 오실때까지 고추먹고맴맴 달래먹고 맴맴입니다 저도 그당시 즐겨 불렀답니다 ㅋㅋ
네 가사가 잘못되었지요
요즘 역사교과서 편찬으로
몸살을 앓고 있는데 역사책이
왜곡됨이 없이 써야 되는것에
대해 풍자로써 쓰여진 글이라고
합니다 순수한 동요가 왜곡되어
마음을 아프게 하네요
그리고 진심으로 우리의 역사책이
바르게 쓰여지기를 소망해봅니다
이거는 유모어라고 하더라도
윤석중선생의 후손들이 보시면
아마도 사자에 대한 명예훼손으로
고소감이 충분할것 같습니다.
일제 강점기때부터 불리운 훌륭한
작품에 대해서 폄하한걸로 생각할수
있을수도 있겠습니다.
ㅎㅎ
날씨가 쌀쌀합니다
건강 조심하시고
오늘도 행복한 시간 되세요
노래원문
아버지는 나귀타고 장에 가시고
할머니는 건너마을 아저씨댁에
고추먹고 맴맴 담배먹고 맴맴
할머니가 돌떡받아 머리에 이고
꼬불꼬불 산골길로 오실때까지
고추먹고 맴맴 담배먹고 맴맴
아버지가 옷감떠서 나귀에 싣고
딸랑 딸랑 고개넘어 오실때까지
고추먹고 맴맴 담배먹고 맴맴
달래입니다 담배가 아니고 ㅎ
@박 지희 원래는 담배였는데 교과서에
실리면서 달래로 바뀐것이라고
합니다 노래비에는 원문 그대로
담배로 기록이 되어 있습니다
이노래의 배경이 충북 음성의
생극면인데 그지역은 고추와
담배농사를 하는곳이지요
어른들이 농사일로 나가시고
나면 아이들끼리 남아서 고추도
먹어보고 담배도 먹어보고 하지만
맛이 없어서 맴맴했다고 하는데
유래가 된 동요지요
고맙습니다.
늘 건강하시고 좋은 하루되세요
@박 지희 원본가사 파일입니다
@천안남정네 모르겠네요 우리땐 달래로 불렀어요. 자꾸 따지는것같아 죄송합니다 그때 애들은 그만큼 순수했던겁니다
@박 지희 네 저도 달래먹고로 불렀으니까요
아이들이 부르는 동요속에 담배는
합당하지 않다고 해서 교과서에
옮길때는 달래로 가사를 바꾸어서
부르게 했지요
이 동요의 유래는 ,,,
아버지는 나귀타고 장호원 장에 가시고 할머니는 수레의 산 개울물 건너
건너마을 아저씨 댁에 놀러 가시고 , 어린아이는 심심하여 고추도 먹어보고
담배도 먹어 보니 모두 다 맵고 쓰고 하여 맴맴 ♬
지금도 어린 아이는 없지만, 남은 지역은 그대로 존재하고 있고 ,,,
건너마을은 수레울 (차곡리마을) 서남쪽 건너에 있는 마을로,지도에도
지형이름이 그대로 남아 있으며 , 건너마을에는 집 한 채와 비닐하우스돔이
있다고 합니다
설명 감사합니다
좋은날 되세요~~~♡
@지앙방퉁이 네 좋은하루 되세요
그리고 이노래의 배경이 된곳이
충북 음성군 생극면인데 이지역
특산물이 담배와 고추라고 합니다
구전되어 오던 노래를 윤석중님이
정리하고 박태준님이 곡을 부친 것이라고
합니다 요즘 역사교과서 편찬으로
몸살을 앓고 있는데 역사책이
왜곡됨이 없이 써야 되는것에
대해 풍자로써 쓰여진 글이라고
합니다 순수한 동요가 왜곡되어
마음을 아프게 하네요
그리고 진심으로 우리의 역사책이
바르게 쓰여지기를 소망해봅니다
옛 추억이 되살아나는 동요네요
깊어가는 가을
날씨가 쌀쌀합니다
건강 조심하시고
오늘도 행복한 시간 되세요
ㅎㅎ둘다바람둥이..?것도모르고열씨미불렀네..ㅎ
그럴듯 합니다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