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1.30.연중 제4주(해외 원조 주일)일요일>
<루카4,21-30>그때에 예수님께서 회당에서 21 말씀하기 시작하셨다.“오늘 이 성경 말씀이 너희가 듣는 가운데에서 이루어졌다.”
22 그러자 모두 그분을 좋게 말하며,그분의 입에서 나오는 은총의 말씀에 놀라워하였다.그러면서 “저 사람은 요셉의 아들이 아닌가?” 하고 말하였다.23 예수님께서는 그들에게 이르셨다.“너희는 틀림없이 ‘의사야, 네 병이나 고쳐라.’ 하는 속담을 들며,‘네가 카파르나움에서 하였다고 우리가 들은 그 일들을여기 네 고향에서도 해 보아라.’ 할 것이다.”24 그리고 계속 이르셨다. “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말한다.어떠한 예언자도 자기 고향에서는 환영을 받지 못한다.25 내가 참으로 너희에게 말한다.삼 년 육 개월 동안 하늘이 닫혀 온 땅에 큰 기근이 들었던 엘리야 때에,이스라엘에 과부가 많이 있었다.26 그러나 엘리야는 그들 가운데 아무에게도 파견되지 않고,시돈 지방 사렙타의 과부에게만 파견되었다.27 또 엘리사 예언자 시대에 이스라엘에는 나병 환자가 많이 있었다.그러나 그들 가운데 아무도 깨끗해지지 않고,시리아 사람 나아만만 깨끗해졌다.”28 회당에 있던 모든 사람들은 이 말씀을 듣고 화가 잔뜩 났다.29 그래서 그들은 들고일어나 예수님을 고을 밖으로 내몰았다.그 고을은 산 위에 지어져 있었는데,그들은 예수님을 그 벼랑까지 끌고 가 거기에서 떨어뜨리려고 하였다.30 그러나 예수님께서는 그들 한가운데를 가로질러 떠나가셨다.
초대 교회 정신으로 돌아가 사는 것이 우리의 사명입니다.
함께하고,
공동으로,
한 마음 한 뜻으로
공동으로 소유했다.
그래서 시노달리따스를 통해서
친교를 나누고,
함께하고,
공동소유할 수 있는 것이 사명이지요.
내가 받은 사명이 무엇인지?
사람마다 다르지만,
그리스도를 머리로 한 지체이니까,
손은 손대로
발은 발대로
혀는 혀대로 다 사명들이 다르지 않습니까?
그런것들로 해서 공동으로 나아가는 것이 기본적인 틀입니다.
오늘 복음에서 보면,
예수님을 맞아들이지 못한 이유가 판단 평가를 해서 그렇습니다.
더 이상 그 사람에 대해서 알려고 하지 않습니다.
그런데 사실 내가 나를 잘 모르지요?
내 의식 너머에 무의식이 있고,
그 무의식은 내 의식으로 인식할 수 없는 영역입니다.
90%가 내 무의식에 의해서 행동을 하게 됩니다.
내가 성당을 오는데도 의식하고 오지 않았잖아요.
무의식 더 밑에 에고가 있고, 그 에고 까지도 예수님께서 뒤집어 쓰시고 십자가에 못박혀서 대신 죽으심으로써 죄성해서 해방되게 해 주셨는데,
우리는 정작 나를 바라봐야 “아! 주님께서 이것을 용서해 주신 것이구나!” 하고 그것을 비워낼 수 있는데, 그것을 하지 못하고 나에 대해서 판단 평가하고, 다른 사람들에 대해서도 판단 평가하니까, 어떻게 나오느냐?
비판하거나, 비난하거나, 불평하거나, 잔소리를 하거나, 벌을 주거나, 아니면 내 마음대로 통제하려고 상을 주거나 하고 있는 것이지요.
결국은 서로 존중되지 못한다는 것이지요.
온전히 경청한다는 것은 판단 평가를 멈추고
있는 그대로 그 사람을 받아들이는 것입니다.
나와 마찬가지이지만 그 사람도 아직 완덕에 이르지 못했지만,
그 사람 안에 하느님이 계심을 믿고,
그 사람을 통해서 성령께서 나에게 말씀하시기를 기도하면서 들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시노달리따스를 공동합의성이라고 하는 것은 맞지 않다는 표현이라는 것이지요.
왜냐하면 다수결이나 의회주의와 다를바가 없게 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그 사람 안에 하느님이 함께 하시고,
그러한 이웃을 통해서 성령께서 나에게 들려주시는 말씀을 듣는 자세로 가야하기 때문이지요.
그러기 위해서는 우리가 먼저 하느님께서 우리에게 선물로 주신 자유의지를 침해하지 말것이며,
자연에도 원리가 있지요.
그 원리를 침해하지 않는 것이 필요하지요.
우리가 판단 평가를 내려놓고,
있는 그대로 느끼고,
내 신체는 어떻게 반응하는지?
나는 어떻게 생각을 하고, 저 사람은 어떠한 생각을 하는지?
그러면 나는 어떠한 선택을 하고 행동을 할 것인지?
그것을 잘 공부하고 한 발 한 발 공동선으로 나아가는 여정이 되도록 해야겠지요.
방법은?
시노달리따스 회의에 참여합니다.
기도실천표를 실천합니다.
<Luke4,21-30>
21 He said to them, "Today this scripture passage is fulfilled in your hearing."
22 And all spoke highly of him and were amazed at the gracious words that came from his mouth. They also asked, "Isn't this the son of Joseph?"
23 He said to them, "Surely you will quote me this proverb, 'Physician, cure yourself,' and say, 'Do here in your native place the things that we heard were done in Capernaum.'"
24 And he said, "Amen, I say to you, no prophet is accepted in his own native place.
25 Indeed, I tell you, there were many widows in Israel in the days of Elijah when the sky was closed for three and a half years and a severe famine spread over the entire land.
26 It was to none of these that Elijah was sent, but only to a widow in Zarephath in the land of Sidon.
27 Again, there were many lepers in Israel during the time of Elisha the prophet; yet not one of them was cleansed, but only Naaman the Syrian."
28 When the people in the synagogue heard this, they were all filled with fury.
29 They rose up, drove him out of the town, and led him to the brow of the hill on which their town had been built, to hurl him down headlong.
30 But he passed through the midst of them and went away.
—-//—-
<책 소개>
우리의 모든 행동은 전행동(Total behavior)이다
모든 증상(고통, 두려움, 이상해동 등) 그리고 관절염과 같은 병의 증상까지도 그것은 지금 현재 선택하고 있는 행동이 기본욕구를 충족시켜주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알려주는 뇌의 경고라고 할 수 있다.
뇌는 우리가 생존할 수 있도록 진화되어 오고 있다. 만약 그 경고를 무시하고 욕구충족을 위해 아무 것도 하지 않는다면 불행을 맞게 된다. 그리고 그 불행으로부터 증상이 시작하며 이 증상은 더욱 가속화 되어 간다.
선택이론에서는 보통 행동이라는 개념을 보다 포괄적인 개념 즉, 전행동(Total behavior)이라는 개념으로 더 확장시켜 사용하고 있는데, 바로 이 전행동의 의미를 이해하게 되면 증상을 선택하고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행동이라는 개념은 매우 단순하고 명확한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훨씬 복잡한 개념이다.
조안과 배리(부부)가 논쟁에 빠졌다고 하기에 이제는 그 설명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그 내용을 단적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우리 인간이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하는 것 모두가 행동이다. 그리고 모든 행동은 전행동이며, 모든 전행동은 선택한 것이다.”
(경고: 정신과 치료가 당신의 정신건강에 피해를 줄 수 있다, 생활심리 시리즈 31, William Glasser, M.D. 저, 박재황 역, 도서출판 계림, 2015,p158 요약)
—-//—-
제6계명
간음하지 마라
400 인간은 성적 존재라는 말은 무엇을 뜻하나요?
하느님은 인간을 남자와 여자로 만드심으로써, 그들이 서로 위하고 사랑하게 하셨습니다. 또한 그들에게 성적 욕구와 쾌감을 느끼는 능력을 주셨고, 그로써 생명을 계속 전달할 수 있게 하셨습니다.[2331-2333, 2335, 2392]
주 하느님께서 말씀하셨다. “사람이 혼자 있는 것이 좋지 않으니, 그에게 알맞은 협력자를 만들어 주겠다.” 그러므로 남자는 아버지와 어머니를 떠나 아내와 결합하여 둘이 한 몸이 된다.(창세2,18.24)
남자 또는 여자라는 것은 각각의 인간에게 매우 깊이 각인되는 특징입니다. 그것에 따라 남자와 여자는 다른 방식으로 느끼고, 다른 방식으로 사랑하며, 자녀와 관련하여 다른 소명을 지닐 뿐만 아니라, 신앙의 방식도 달라집니다. 하느님은 그들이 서로 위하고 사랑으로 채워 주기를 바라셨기 때문에, 그들을 남자와 여자로 다르게 만드셨습니다. 그런 까닭에 남자와 여자는 성적으로나 정신적으로 상대방(YOUCAT 가톨릭 청년 교리서, 오스트리아 주교회의, 최용호,2012,p.315)/
에게 매력을 느낍니다. 남자와 여자가 서로 사랑해서 관계를 가질 때, 그들의 사랑은 가장 심오하고 감각적인 모습으로 표현됩니다. 하느님이 당신 사랑 안에서 창조하셨듯이, 인간도 사랑 안에서 창조성을 띠며 자녀에게 생명을 선물합니다.->64, 260, 416-417
(YOUCAT 가톨릭 청년 교리서, 오스트리아 주교회의, 최용호,2012,p.316)/
—//—
제 6절 여섯째 계명
간음하지 못한다(출애20,14)(신명5,18 참조)
“간음하지 마라.” 하신 말씀을 너희는 들었다. 그러나 나는 너희에게 이렇게 말한다. 누구든지 여자를 보고 음란한 생각을 품는 사람은 벌써 마음으로 그 여자를 범했다(마태5,27-28)
(가톨릭 교회 교리서 CATECHISMUS CATHOLICAE ECCLESIAE,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2004,p.831)/
I.”남자와 여자로 그들을 지어 내셨다…..”
->2331 “하느님은 사랑이시다. 그분은 자신 안에서 인격적으로 사랑하는 일치의 신비를 살고 계신다. 인류를 당신의 모상대로 창조하심으로써, 하느님께서는 남자와 여자의 인간성 안에 사랑과 일치의 소명을 부여하시고, 따라서 그 소명에 따른 능력과 책임도 부여하셨다.”(요한 바오로 2세, 교황 권고 ‘가정 공동체’, 11항: AAS 74(1982), 91-92면)
“하느님의 모습대로 사람을 지어 내시되 남자와 여자로 지어 내셨다”(창세1,27). “자식을 낳고 번성하여라”(창세1,28).
“하느님께서 사람을 지어 내시던 날, 하느님께서는 당신 모습대로 사람을 만드시되, 남자와 여자로 지어 내셨다. 그 날 하느님께서는 그들에게 복을 주시며 그 이름을 아담이라 지어 주셨다”(창세5,1-2).
->2332 인간의 성은 육체와 영혼의 단일성 안에서 인간의 모든 측면에 영향을 미친다. 이는 특히 정서, 사랑하고 자녀를 출산하는 능력, 그리고 좀더 일반적으로는 타인과 친교를 이루는 능력에 관련된다.
->2333 자신의 성별을 인정하고 받아들이는 것은 남녀 각자가 해야 할 일이다. 육체적, 정신적, 영적 차이와 상호 보완성은 행복한 혼인 생활과 풍요로운 가정 생활을 지향하는 것이다. 부부의 화합과 사회의 화합은 두 성이 어떻게 서로 보완해 주고 채워 주고 도와 주느냐에 어느 정도 달려 있다.
(가톨릭 교회 교리서 CATECHISMUS CATHOLICAE ECCLESIAE,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2004,p832)/
간추림
2392 “사랑은 모든 인간의 기본 소명이고 타고난 소명이다.”(신명5,19 참조)(가톨릭 교회 교리서 CATECHISMUS CATHOLICAE ECCLESIAE,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2004,p851)/
->64 예언자들을 통하여, 하느님께서는 당신 백성이 구원의 희망을 간직하고, 모든 사람을 위한(이사2,2-4 참조), 모든 사람의 가슴에 새겨질(예레31,31; 히브10,16 참조), 새롭고 영원한 계약을 기다리라고 가르치신다. 예언자들은 하느님 백성이 완전히 속량되고, 그들의 모든 불성실이 정화되며(에제 36장 참조), 모든 민족을 망라할 구원을 선포한다(이사 49,5-6; 53,11 참조). 이러한 희망은 특별히(가톨릭 교회 교리서 CATECHISMUS CATHOLICAE ECCLESIAE,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2004,p.63)/
주님의 가난한 사람들과 겸손한 사람들이 가지게 될 것이다(스바 2,3 참조). 사라, 리브가, 라헬, 미리암, 드보라, 안나, 유딧, 에스델 등과같은 거룩한 여인들은 이스라엘의 구원에 대한 생생한 희망을 간직했었다. 이 희망의 가장 순수한 모습이 마리아이다(루카 1,38 참조)
(가톨릭 교회 교리서 CATECHISMUS CATHOLICAE ECCLESIAE,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2004,p.64)/
->260 하느님의 모든 계획의 궁극 목적은 모든 사람이 복되신 삼위일체와 완전한 일치를 이루게 하는 것이다(요한17,21-23 참조). 그러나 이미 우리는 지극히 거룩하신 삼위일체를 우리 안에 모시도록 부름을 받았다. 예수님께서는 이렇게 말씀하셨다. “나를 사랑하는 사람은 내 말을 잘 지킬 것이다. 그러면 나의 아버지께서도 그를 사랑하시겠고 아버지와 나는 그를 찾아가 그와 함께 살 것이다”(요한14,23).
(가톨릭 교회 교리서 CATECHISMUS CATHOLICAE ECCLESIAE,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2004,p.131)/
->416 첫 인간으로서 아담은 죄를 지음으로써, 자기 자신뿐 아니라 모든 인류를 위하여 하느님께 받은 원초적인 거룩함과 의로움을 잃어버렸다.(가톨릭 교회 교리서 CATECHISMUS CATHOLICAE ECCLESIAE,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2004,p.184)/
->417 아담과 하와는 그들의 첫 범죄로 후손들에게 원초적인 거룩함과 의로움을 상실한 손상된 인간 본성을 전해 주었다. 이 상실을 ‘원죄’ 라 한다.
(가톨릭 교회 교리서 CATECHISMUS CATHOLICAE ECCLESIAE,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2004,p.18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