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디넷코리아=김용건 기자) 국내연구진이 개발한 치매치료용 천연단백질 원천기술이 의약품 회사에 이전돼 상용화 가능성이 높아졌다. 10조원에 달하는 세계 치매치료제 시장의 선점과 효과적인 치매치료가 앞당겨질 수 있을지 주목된다.
미래창조과학부는 경상대학교 치매제어기술개발연구팀이 개발한 치매치료용 천연단백질에 대한 원천기술을 치매치료제 의약품 회사 한국파마(대표 박재돈)에 기술 이전한다고 28일 밝혔다.
기술 이전 대가는 계약금 20억원과 총 매출액의 6%를 받는 조건이다.
미래부에 따르면 이전된 기술은 식물잎 하나에서 치매를 치료할 수 있는 대량의 천연단백물질을 추출할 수 있다. 독성과 부작용이 없고 뇌세포에 직접 작용해 노인성·알코올성·알츠하이머성 치매에 효과가 뛰어나다는 것이 미래부의 설명이다.
|
나아가 치매의 주된 현상인 p-tau, 아밀로이드 플라그 등을 억제시키고 인지기능 측에서도 치료와 개선효과가 있음을 확인했다.
치매치료제 관련 기술은 현재 국내 특허 출원과 등록, 미국과 유럽 등 30개국 국제 PCT 출원이 된 상태다. 또한 2011년부터 출원, 등록된 10여개의 핵심특허를 대상으로 원천특허 포트폴리오도 구축돼 있다.
지금까지의 치매치료제는 합성신약에 치중돼 치매의 진행속도를 늦추는 정도에 불과했지만 이번 기술이 상용화되면 10조원의 치매치료 시장 진출이 가능할 전망이다. 국내 노인성 치매는 65세 이상 613만명 중 58만6천명으로 100명 중 10명 정도가 치매를 앓고 있다. 또 전세계 치매환자 수는 현재 6천만 명에 이른다.
연구팀 관계자는 “이번 기술 이전으로 치매치료제가 상용화되면 공공복지 혜택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라며 “국민들의 삶의 질을 높여주면서 가정, 사회문제 해결 등 고부가 가치 창출에 기여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용건 기자 (ygit@zdnet.co.kr)
첫댓글 치매..ㅠㅠ 치료못해도 예방이라도 하면서 살고싶어 진짜.. 슬픈병이야 치매
빨리 나와라 ㅜㅜ 울 외할머니 치매 초기...ㅠㅠ 울엄마도 요즘 깜빡하는게 많아지심...ㅠㅠㅠㅠ
가능하면 좋겠지만 아직 갈 길이 먼듯...ㅠ
우리할부지두ㅠㅠㅠ제발빨리나와
정말 기쁜 소식인데..ㅠㅠ 상용화 되면 뭐해..민영화고 뭐고 해서 치료받는 사람들 엄청 제한있을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