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제지내는 순서
1. 제관은 3향을 피워 올린다.
2. 술을 받아 모사에 붓는다. 제관 모두 재배
(분향하여 하늘에 있는 혼을 부르고, 뇌주하여 지하의 백을 불러 혼백을 혼합시키는 상징적인 의례이다.)
3. 첫 번째 술을 올리는 의식. 재배 후 밥뚜껑을 열고 숟가락을 밥에 꼽는다. 모두
4. 묵념, 묵묵히 생각에 잠기거나, 말없이 마음속으로 빌며, 평안히 잠들기를 기원하는 뜻으로 한다.
7. 축관 재배, 제관 왼쪽에서 축문을 읽는다.
8. 제관 모두 재배한다.
9. 아헌례 두 번째 잔을 올리는 의식. 젓가락을 옮겨놓는다.
10. 숭늉을 올린다.
11. 밥그릇 뚜껑을 반만 닫는다.
12. 묵념 제관 모두 머리숙여 있다가 일어난다.
13. 밥그릇 뚜껑을 덮고 숟가락과 젓가락을 내려놓는다.
14. 사신례 제관 외 참석하신 모두 재배한다.
15. 향안전 앞으로 술을 올리고 젓가락을 옮겨 가지런히 놓는다.
16. 초헌관은 동쪽으로가 서쪽방향으로 서시고 축관은 서쪽으로가 동향으로 서시오.
17. 대축(축관)은 축문을 사르시오.
18. 제례가 모두 끝났습니다.
1. 영신(迎神)
먼저 대문을 열어 놓는다. 제상의 뒤쪽(북쪽)에 병풍을 치고 제상 위에 제수를 진설한다. 지방(紙榜)을 써 붙이고 제사 준비를 마친다. 고례(古禮)에는 출주(出主)라 하여 사당에서 신주(神主)를 모셔 내오는 의식이 있었다.
2. 강신(降神)
영혼의 강림을 청하는 의식으로써 제주(祭主)가 신위 앞으로 나아가 무릎을 꿇고 앉아 향로에 향을 피운다. 집사(執事)가 제상에서 잔을 들어 제주에게 건네주고 잔에 술을 조금 따른다. 제주는 두 손으로 잔을 들고 향불 위에서 세 번 돌린 다음, 모사그릇에 조금씩 세 번 붓는다. 빈잔을 집사에게 다시 건네주고 일어나서 두 번 절한다. 향을 피우는 것은 하늘에 계신 신에게 알리기 위함이고 모사에 술을 따르는 것은 땅아래 계신 신에게 알리기 위함이다.
3. 참신(參神)
고인의 신위에 인사하는 절차로서 모든 참사자가 일제히 두번 절한다. 신주인 경우에는 참신을 먼저 하고, 지방인 경우에는 강신을 먼저 한다. 미리 제찬을 진설하지 않고 참신 뒤에 진찬(進饌)이라 하여 제찬을 올리기도 한다. 진찬때는 주인이 육(肉), 어(魚), 갱(羹)을 올리고 주부가 면(?), 편(餠), 메(飯)를 올린다.
4. 초헌(初獻)
제주가 첫번째 술잔을 올리는 의식이다. 제주가 신위 앞으로 나아가 꿇어 앉아 분향한다. 집사가 잔을 제주에게 주고 술을 가득 붓는다. 제주는 오른손으로 잔을 들어 향불 위에 세 번 돌리고 모사그릇에 조금씩 세 번 부은 다음 두 손으로 받들어 집사에게 준다. 집사는 그것을 받아서 밥그릇과 국그릇 사이의 앞쪽에 놓고 제물 위에 젓가락을 올려 놓는다. 제주는 두 번 절한다.
잔은 합설(合設)인 경우 고위(考位)앞에 먼저 올리고 다음에 비위(비位) 앞에 올린다. 집안에 따라서는 술을 올린 뒤 밥그릇의 뚜껑을 연다.
5. 독축(讀祝)
초헌이 끝나고 참사자가 모두 꿇어 앉으면 축관이 옆에 앉아서 축문을 읽는다.
축문은 제주가 읽어도 되는데, 엄숙한 목소리로 천천히 읽어야 한다. 축문읽기가 끝나면 모두 일어나 두 번 절한다. 과거에는 독축 뒤에 곡을 했다.
6. 아헌(亞獻)
두번째 술잔을 올리는 의식으로 원래는 주부가 올린다. 주부가 올리기 어려운 경우에는 제주의 다음 가는 근친자가 올린다. 절차는 초헌 때와 같으나 모사에 술을 따르지 않는다. 주부는 네번 절한다.
7. 종헌(終獻)
세번째 술잔을 올리는 의식이다. 아헌자의 다음 가는 근친자가 아헌 때와 같이 한다. 잔은 7부쯤 부어서 올린다.
8. 첨작(添酌)
종헌이 끝나고 조금 있다가 제주가 다시 신위 앞으로 나아가 꿇어 앉으면 집사는 술 주전자를 들어 종헌 때 7부쯤 따라 올렸던 술잔에 세번 첨작하여 술잔을 가득 채운다.
9. 삽시정저(揷匙正箸)
첨작이 끝나면 주부가 밥그릇의 뚜껑을 열고 숟가락을 밥그릇의 중앙에 꽂는다. 젓가락을 고른 뒤 어적이나 육적 위에 가지런히 옮겨 놓는다. 숟가락은 바닥(안쪽)이 동쪽으로 가게 한다. 삽시정저가 끝나면 제주는 두번, 주부는 네번 절한다.
*유식(侑食) : 첨작과 삽시정저의 두 절차를 통틀어 유식이라 하는데 이는 진지를 권하는 의식이다.
10. 합문(闔門)
참사자가 모두 잠시 밖으로 나가 문을 닫고 기다린다. 대청마루에 제상을 차렸으면 뜰 아래로 내려가 읍(揖)한 자세로 잠시 기다린다. 단칸방의 경우에는 제자리에 옆드려 몇 분 동안 있다가 일어선다.
11. 계문(啓門)
닫았던 문을 여는 절차이다. 축관이 헛기침을 세 번하고 문을 열고 들어가면 참사자가 모두 뒤따라 들어간다.
12. 헌다(獻茶)
탕국을 내리고 숭늉을 올린뒤 밥 세술을 떠서 물에 말아 놓고 저를 고른다. 이때 참사자는 모두 머리를 숙이고 잠시동안 조용히 앉아 있다가 고개를 든다.
13. 철시복반(撤匙覆飯)
숭늉 그릇에 놓인 수저를 거두어 제자리에 놓고 밥 그릇의 뚜껑을 덮는다.
14. 사신(辭神)
고인의 영혼을 전송하는 절차로서 참사자가 신위 앞에 일제히 두번 절한 뒤, 지방과 축문을 불사른다. 지방은 축관이 모셔 내온다. 신주일 때는 사당으로 모신다. 이로써 제사를 올리는 의식절차는 모두 끝난다.
15. 철상(撤床)
제상 위의 모든 제수를 집사가 뒤쪽에서부터 차례로 물린다.
16. 음복(飮福)
참사자가 한자리에 앉아 제수를 나누어 먹는데 이를 음복이라 한다. 고례에는 '준'이라 하여 참사자 뿐만 아니라 가까운 이웃들에게 제사음식을 나누어 주고 이웃 어른들을 모셔다가 대접하기도 했다.
현대식 제례 진행순서
1. 신위 봉안(神位奉安)
제상 위에 흰 종이를 깔고 제수를 진설한 뒤, 지방을 써서 붙인다. 제주가 분향하고, 모사에 술을 부은 뒤 제주와 참사자가 일제히 신위 앞에 두 번 절한다.
2. 초헌(初獻)
고인에게 첫 번째 술잔을 올리는 절차이다. 술잔을 채워 두 손으로 받들고 향불 위를 거쳐 밥그릇과 국그릇 사이 앞쪽에 놓는다. 잔을 올린 뒤 두번 절한다.
3. 독축(讀祝)
초헌이 끝나면 제주는 축문을 읽고 두 번 절한다. 축문을 읽는 동안 다른 참사자들은 모두 꿇어 앉아 머리를 약간 숙이고 경건한 마음으로 듣는다.
4. 아헌(亞獻)
축문 읽기가 끝나면 주부가 두번째 술잔을 올리고 네번 절한다.
5. 종헌(終獻)
제주의 근친자가 세번째 술잔을 올리고 두 번 절한다.
6. 삽시(揷匙)
제수를 많이 드시라고 비는 의미로 숟가락을 밥에 꽂고 모든 참사자가 고개를 숙여 묵념한다.
7. 헌다(獻茶)
숭늉(혹은 냉수)을 국과 바꾸어 놓고, 수저로 밥을 조금씩 세번 떠서 물에 만 다음 수저를 물그릇에 가지런히 놓고 잠시 국궁하고 서 있다가 일어난다.
8. 사신(辭神)
참사자 일동이 일제히 신위 앞에 큰 절을 올린다. 안녕히 가시라는 작별의 인사를 드리는 것이다.
9. 철상(撤床)
지방을 거두어 축문과 함께 불사르고, 상을 물린다.
10. 음복(飮福)
참사자들이 제사 음식을 나누어 먹는다. 음복을 함으로써 조상님들의 복을 받는다는 속신(俗信)이 있다.
차례 진행순서
1. 재계(齋戒)
하루 전부터 집안밖을 청소하고 목욕재계하여 차례를 위한 마음의 준비를 한다.
2. 제상과 제구 준비
차례를 드릴 장소를 정하고, 미리 여러 제구를 깨끗이 닦아 준비한다.
3. 제수(祭需) 준비
주부 이하 모든 가족 구성원이 제수를 준비한다.
4. 제복입고 정렬하기
명절날 아침 일찍 일어나 제복을 입고, 제상 앞에 남자들은 오른편(東)에 여자들은 왼편(西)에, 제주와 주부는 앞에 대체로 연장자 순서대로 선다
5. 제상 차리기
먼저 식어도 상관없는 제수를 차린다.
6. 신위봉안
고조부모 이하 부모까지(물론 2대조, 3대조 등 가정에 따라 다름) 순서대로 신주나 지방을 모신다. 산소에서는 이 절차가 없다.
7. 강신(降神 : 신내리기)
주인이 읍하고 꿇어앉아 향을 세 번 사르고 강신의 예를 행한다.
그리고 집사가 잔반에 따라 주는 술을 모삿그릇에 세 번 나누어 붓고 재배한다.
산소에서는 땅바닥에 한다.
산소에서 차례를 올리는 경우에는 합동 참배를 먼저 한 후에 신내리기를 한다.
8. 참신(參神:합동참배)
주인 이하 모든 참사자들은 일제히 강림한 신에 대해 두 번 절하며 인사드린다.
9. 진찬(進饌 : 메, 국 올리기)
윗대 조상의 신위부터 차례로 올린다.
10. 헌작(獻酌:잔올리기)
제주가 고조부 이하 차례로 술을 가득 올린다. 주부는 차례로 숟가락을 떡국에 걸치고 젓가락을 골라 시접에 걸쳐 놓는다.
11. 유식(侑食:식사 권유)
주인이 주전자를 들어 각 신위의 잔에 첨작을 한 후 참례자 일동이 7~8분간 조용히 부복하거나 양편으로 비껴 시립(侍立)해 있는다.
12. 철시복반(撤匙覆飯:수저 걷기)
숭늉 그릇의 숟가락을 거두어 세 번 고른 다음 제자리에 놓는다. 메 그릇의 뚜껑을 덮는다.
13. 사신(辭神:합동 배례)
신위를 전송하는 절차이다. 참사자 전원은 재배한다.
14. 신주 들여 모시기
신위를 사당으로 모시는 절차이다. 지방을 사용한 경우에는 태워서 재를 향로에 담는다. 산소에서 제사를 올릴 경우에는 이 절차가 필요없다.
15. 철상(撤床:제상 정리)
제사 음식을 제상에서 내려 정리하고 제구와 제기를 잘 정비하여 보관한다.
16. 음복(飮福:음식나누기)
참사자 전원이 음식을 나누어 먹는다. 음복을 하면 조상들의 복을 받는다는 속신(俗信)이 있다.
차례의 유래/의미
차례(茶禮)는 간소한 약식 제사이다.
[가례]를 비롯한 예서에는 차례라는 것이 없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관습적으로 민속명절에 조상에게 올리는 제사를 차례라고 한다.
또 우리의 차례에서는 술을 올리고 차는 쓰지 않는데, 차례라는 이름은 중국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오늘날의 차례는 사당 제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 같다.
[가례]에 의하면 조상의 신주를 모신 사당에서는 정월 초하루, 동지, 매월 초하루와 보름에 참배하는 제사가 있다.
이들 중에서 매월 보름에는 술잔을 차리지 않고 찻잔만을 올리게 되어 있다.
제사 중에서 가장 간략한 이 보름의 사당 참배에서 '차(茶)를 올리는 예(禮)'라 하여 茶禮가 유래된 것으로 짐작된다.
결국 사당에 올리던 차례는 설, 동지, 매월 초하루와 보름, 그리고 각종 명절에 지내던 것을 합하면 1년에 무려 30여 회에 이른다.
근래에는 사당이 사라지게 되어 이 차례가 바로 명절의 제사로 남게 된 것이다. 명절의 차례도 옛날과는 달리 설과 추석 두 번만 남게 되었다.
따라서 오늘날 우리가 지내고 있는 차례는 사당예법의 유습이 정착된 것이라고 하겠다.
차례는 명절날 아침에 각 가정에서 조상의 신주나 지방 또는 사진을 모시고 기제사를 지내는 조상에게 지낸다.
차례도 물론 기제사를 지내는 장자손의 집에서 지내는 것이 원칙이지만 지방이나 가문의 전통에 따라 한식이나 추석에는 산소에서 지내기도 한다.
기제사와 차례의 차이점
•기제는 조상이 돌아가신 날에 지내고 차례는 명절에 지낸다.
•기제는 밤에 지내고 차례는 낮에 지낸다.
•기제는 그날 돌아가신 조상과 배우자만 지내고, 차례는 자기가 기제를 받드는 모든 조상에게 지낸다.
•기제는 장손의 집에서 지내고 차례는 사당이나 묘지에서 지낸다. (물론 집에서 지내는 경우도 있다.)
•기제는 메와 갱을 올리나 차례는 설에 떡국을, 한가위에는 송편을 올린다.
•기제는 술을 세 번 올리지만 차례는 한번만 올린다.
•기제는 첨작을 하지만 차례는 하지 않는다.
•기제는 합문과 계문을 하지만 차례는 하지 않는다.
•기제는 숭늉을 올리지만 차례는 하지 않는다.
•기제는 반드시 축문을 읽지만 차례는 읽지 않는다.
① 참신(參神): 신(神)께 뵙는 의식으로, 주인 이하 모두 신위를 향하여 2번 절한다. 부녀자는 4배(拜)가 항식(恒式)이다. 신주가 없어서 지방을 모실 때는 먼저 강신하고 뒤에 참선한다.
② 강신: 신을 강림하게 하는 의식이다. 주인이 앞으로 나아가 분향하고 조금 뒤로 물러나서 선다. 집사 한 사람이 주가 위의 강신 잔반(잔과 잔대)을 집어서 주인이 왼쪽에 서고, 또 한 사람이 술주전자를 잡고 오른쪽에 선다. 주인이 꿇어앉으면 잔반을 잡은 자도 꿇어앉아 잔반을 주인에게 준다. 주인이 이를 받으면, 주전자를 잡은 자도 꿇어앉아 잔에 술을 따른다. 주인은 왼손으로 잔대를 잡고 오른손으로 잔을 잡아 모사 그릇에 3번 기울여 붓는다. 몸을 굽혀 엎드렸다가 일어나서 재배하고 제자리로 돌아와 선다.
③ 진찬(進饌): 주인이 앞으로 나가면 주부(主婦)가 뒤를 따른다. 집사 한 사람은 반(盤)에 고기와 생선, 한 사람은 편과 면, 또 한 사람은 반(飯)과 갱(羹:국)을 받들고 따른다. 주인은 고기·생선·갱을, 주부는 편·면·반을 받들어서 제자리에 올려 놓는다. 진찬을 마치면 주인 이하 모두 제자리로 돌아와 선다.
④ 초헌(初獻): 처음으로 술을 드리는 의식이다. 주인이 신위 앞에 나아가 꿇어앉으면 오른쪽의 집사가 신위 앞에 놓인 잔반을 받들어 주인에게 주고 술주전자를 잡아 술을 잔에 따른다. 주인은 이것을 왼쪽 집사에게 주어 신위 앞에 엎드리게 한다. 오른쪽 집사가 다시 신위 앞의 잔반을 받들어 주인에게 주면 주인은 잔반을 받아 왼손으로 잔대를 잡고 오른손으로 잔을 잡아 모사 그릇에 3번 조금씩 기울여 따르고 잔반을 다시 집사에게 주어서 제자리에 놓게 한다. 몸을 굽혀 엎드렸다가 일어나 조금 뒤로 물러나 선다. 주인의 형제 가운데 한 사람이 육적(肉炙)을 받들어 신위 앞에 있는 시접 남쪽에 놓는다. 그리고 반개(飯蓋:밥그릇의 뚜껑)를 열어서 남쪽에 놓은 다음 물러나 제자리에 선다. 축관(祝官)이 축판(祝板)을 들고 주인의 왼편에 섰다가 동쪽을 향해 꿇어앉으면 주인 이하 모두 무릎을 꿇는다. 축문을 읽는다.
⑤ 아헌(亞獻): 주부가 잔을 올리는 의식으로, 절차는 초헌과 같으나 축을 읽지 않으며 적(炙)을 진설한 다음 주부가 4배하고 자리에 물러나 선다.
⑥ 종헌(終獻): 주인의 자질(子姪)들이 잔을 올리는 의식으로, 절차는 아헌과 같으며 적을 진설한 다음 헌자(獻者)는 재배하고 자리에 선다.
⑦ 유식(侑食): 영위에게 음식을 권하는 의식으로 집사자가 잔에 첨주한 다음 젯메에 숟가락을 꽂고 젓가락을 시접 위에 올려 놓되, 손잡이 부분이 서쪽으로 가게 한다.
⑧ 합문(闔門): 유식이 끝나면 주인 이하가 문 밖으로 나가 잠시 기다리는데 이것을 합문이라 한다.
⑨ 계문(啓門): 축이 3번 기침을 하고 문을 열면 주인 이하가 다시 들어가 자리에 서고, 집사자는 국을 물리고 숭늉을 진설한 후 숟가락과 젓가락으로 밥을 3번 떠서 물에 만다.
⑩ 사신(辭神): 의식이 끝나는 절차로 주인 이하가 꿇어앉으면 집사자가 숟가락과 젓가락을 내려 시접에 얹고 밥 뚜껑을 덮은 다음 일동이 재배한다. 축과 지방을 태우고, 신주일 경우는 독개(櫝蓋)를 덮은 다음 가묘로 환봉(還奉)하는데, 주인 이하가 따른다. 그 후 집사자는 진설한 제물을 물린다.
[출처] 제례의 의식절차 | 네이버 백과사전
제례의 절차
◎ 영신
먼저 대문을 열어 놓는다.
◎ 강신
영혼의 강림을 청하는 의식이다. 제주(祭主)가 신위 앞으로 나아가 꿇어 앉아 향로에 향을 피운다. 집사(執事)가 제상에서 잔을 들어 제주에게 건네주고 잔에 술을 조금 따른다. 제주는 두 손으로 잔을 들고 향불 위에서 세 번 돌린 다음, 모사 그릇에 조금씩 세 번 붓는다. 빈 잔을 집사에게 다시 건너 주고 일어나서 두 번 절한다. 집사는 빈 잔을 제자리에 놓는다. 향을 피우는 것은 하늘에 계신 신에게 알리기 위함이고, 모사에 술을 따르는 것은 땅아래 계신 신에게 알리기 위함이다.
◎ 참신
고인의 신위에 인사하는 절차로서 참사자(參祀者) 모두 신위를 향하여 두 번 절한다. 신주를 모시고 올리는 제사일 때는 참신을 먼저 하고 지방을 모셨을 경우에는 강신을 먼저 한다. 미리 제찬을 진설하지 않고 참신 뒤에 진찬(進饌)이라 하여 제찬을 올리기도 한다. 진찬때는 주인이 육(肉,고기) 어(魚,생선) 갱(羹,국)을 올리고 주부가 면(麵,국수) 편(餠,떡) 메(飯,밥)를 올린다.
◎ 초헌
제주가 첫번째 술잔을 올리는 의식이다. 제주는 오른손으로 잔을 들어 향불 위에 세 번 돌리고 모사 그릇에 조금씩 세 번 부은 다음 두 손으로 받들어 집사에게 준다. 집사는 잔을 받아서 메 그릇과 갱 그릇 사이의 앞쪽에 놓고 제물 위에 젓가락을 놓는다. 제주는 두 번 절한다. 잔은 합설(合設,고인의 내외분을 함께 모시는 것)인 경우 고위(考位,남자) 앞에 먼저 올리고 비위(여자) 앞에 올린다. 집안에 따라서는 술을 올린 뒤 메 그릇의 뚜껑을 연다.
◎ 독축
축문 읽는 것을 독축이라 한다. 초헌이 끝나고 참사자가 모두 꿇어 앉으면 축관은 제주 좌측에 앉아 천천히 정중하게 읽는다. 축문은 제주가 읽어도 무관하다. 독축이 끝나면 참사자 모두 일어나서 재배하는데 초헌의 끝이다. 과거에는 독축 뒤에 곡을 했다.
◎ 아헌
두번째 잔을 올리는 의식이다. 주부가 올리는 것이 관례이나 주부가 올리기 어려운 경우에는 제주의 다음가는 근친자인 남자가 초헌 때와 같은 순서에 따라 올리기도 한다. 이때 모사에는 술을 따르지 않는다. 주부는 네 번 절한다.
◎ 종헌
세번째 술잔을 올리는 의식이다. 아헌자 다음가는 근친자가 올리는 게 원칙이나 참가자 중 고인과의 정분을 고려하여 잔을 올리게 하기도 한다. 아헌 때와 같은 방법으로 한다. 잔은 7부쯤 부어서 올린다.
◎ 첨작
종헌이 끝나고 조금 있다가 제주가 신위 앞으로 나아가 꿇어 앉으면 집사는 술주전자를 들어 신위 앞의 술잔에 세 번 첨작하여 술잔을 가득 채운다. 집안에 따라서는 집사로부터 새로운 술잔에 술을 조금 따르게 한 다음 집사는 다시 이것을 받아, 신위 앞의 술잔에 세 번으로 나누어 첨작 하는 경우도 있다.
◎ 삽지정서
좌측부터 조부, 조모 순으로 메 그릇의 뚜껑을 열고 숟가락을 밥 위의 중앙에 꽂는 의식이다. 이때 수저 바닥(안쪽)이 동쪽으로 가게 한다. 젓가락은 시접 위에 손잡이가 왼쪽을 보게 놓는다. 제주는 두 번, 주부는 네 번 절한다.
◎ 합문
영위(靈位)께서 식사하는 시간을 갖게 하는 의식이다. 참사자가 모두 잠시 밖으로 나가고 문을 닫고 몇 분 동안 조용히 기다린다. 대청마루에 제상을 차렸으면 뜰 아래로 내려가 읍(揖,상견례때 하는 절)한 자세로 잠시 기다린다. 단칸방의 경우 제자리에 업드려서 몇 분 동안 있다가 일어선다.
◎ 계문
계문이란 문을 여는 것을 말한다. 축관(祝官)이 세 번 헛기침을 한 후 방문을 열며 들어 가면 참사자가 모두 뒤따라 들어간다.
◎ 헌다
헌다란 차를 올린다는 뜻이다. 갱(국그릇)을 내리고 숭늉을 올려 숟가락으로 메를 세 번 떠서 숭늉에 말고 수저를 숭늉 그릇에 놓는다. 이때 참사자 모두 읍한 자세로 잠시 동안 꿇어 앉아 있다가 제주의 기침소리를 따라 고개를 든다.
◎ 철시복반
숭늉그릇에 놓인 수저를 거두고 메 그릇의 뚜껑을 덮는 것을 말한다.
◎ 사신
고인의 영혼을 전송하는 절차로서 참사자가 신위 앞에 두 번 절한뒤 지방과 축문을 향로 위에서 불사른다. 지방은 축관이 모셔 내온다. 신주는 사당으로 모신다. 이로써 제사를 올리는 의식 절차는 모두 끝난다.
◎ 철상
제상위의 모든 제수를 집사가 물리는데 뒤에서부터 차례대로 한다.
◎ 음복
참사자가 한자리에 앉아 제수를 나누어 먹는데 이를 음복이라 한다. 음복을 끝내기 전에는 제복을 벗거나 담배를 피워서는 안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