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적 개성 테슬라와 '동행'
LG화학, 코스피 시총 5위로
삼성SDI, 장중 역대 최고가
에코프로비엠, 코스닥 8위로
솔브레인.후성 상승세 이어가
중소형 소재.부품株도 '주목'
중국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에도 2차전지 고나련주가 급등하며 연초 증시를 주도하고 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국내 10개 2차전지 관련주들은 올 들어 지난 13일까지 평균 21.2% 급등했다.
LG화학, 삼성SDI, SK이노베이션, 일진머티리얼즈, 솔브레인, 후성, 엘앤에프. 에코프로비엠,
파워로직스, 대주전자재료 등이다.
이는 같은 국내 증시 대장주 삼성전자 상승률(8.8%)을 훌쩍 뛰어넘는다.
2차전지를 생산하는 LG 화학고 삼성SDI가 특히 주목을 끈다.
13일 LG화학은 현대자동차를 제치고 유가증권시장 시가총액5위(삼성전자 우선주 제외)에 올랐다.
삼성SDI도 11일 장중 역대 최고가(35만1000억원)를 기록했다.
하이니켈계 양극제 제조업체인 에코프로비엠은 코스닥시장에서 시가총액 8위에 올랐다.
2차전지 테마주가 뜨거운 것은 세계전기차 산업을 이끄는 미국 테슬라의 실적 개선 및 주가 급등 영향이 크다.
작년 3분기부터 순이익이 흑자로 돌아선 테슬라는 올 들어서만 92.2% 급등했다.
문남중 대신증권 연구원은 '그동안 전기차와 2차전지는 비싼 배터리 가격으로 인해 수익성 문제를 안고 있었다'며
테슬라의 흑자 전환은 전기차의 2차전지 업종 주가를 억누르던 수익성 문제가 해소됐음을 알리는 계기가 됐다'고 분석했다.
증권업계는 LG화학 등 대형 2차전지업체가 선전하면서 중소형 소재.부품업체들도 수주 증가 혜택을 입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국경제TV 전문가인 김형철 파트너는 '포스코케미칼, 천보 등
최근 상승세를 탄 2차전지 소재주를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다만 단기간에 주가가 급등하면서 밸류에이션(실적 대비 주가 수준) 고평가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올 수익 20%...2차전지 투자 ETF도 고공행진
테슬라 등 담은 해외주식형 펀드
리튬 채굴시설 투자 ETF도 관심
글로벌 전기차 시장이 커지면서 2차전지 관련 기업에 투자하는 성장지수펀드(ETR) 및 펀드의 수익률도 고공행진 중이다.
ETF와 펀드는 전망이 밝은 업종에 투자하면서도 개별 종목의 리스크(위험)를 줄일 수 있는 게 장점이다.
한국거래소 등에 따르면 미래에셋자산운용의 'TIGER 2차전지 테마' ETF는 올 들어 20.5%(13일 기준)의 수익률을 거뒀다.
삼성자산운용의 'KODEX 2차전지 산업' ETF도 18.2%의 수익을 올렸다.
같은 기간 코스피지수가 1.6% 상승에 그친 것과 대조적이다.
이들 ETF는 각각 '와이즈 2차전지 테마지수'와 '에프앤가이드 2차전지 산업지수'를 기초지수로 추종한다.
TIGER 2차전지 테마는 ETF 내 포스코테미칼(구성 비중 10.99%)이 가장 비중이 높고 일진머티리얼즈(10.37%)
솔브레인(9.27%) 등 소재 관련주의 비중도 높은 편이다.
이에 비해 KODEX 2차전자산업은 국내 대형 2차전지 업체인 삼성SDI, LG화학, SK이노베이션의 비중이 48.4%에 달한다,
2차전지 종목에 투자하는 해외 주식형 펀드도 있다.
한국투자신탁운용의 '한국투자 글로벌 전기차&배터리'의 올해 수익률은 9.4%에 달한다.
세계 최대 리튬 생산업체인 미국 앨버말을 비롯해 삼성SDI, 애너시스(미국 배터리 업체), 테슬라 등의 종목을 담고 있다.
해외 ETF도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미국 뉴욕시장에 상장된 '글로벌 리튬& 배터리 테크(Global X Lithum & Bathery) Tech) ETF는 올해 17.8% 올랐다.
이 ETF도 맬버말, 테슬라 외에 아르헨티나에 리튬 패굴 시설을 둔 화학기업 리밴트 등을 편입하고 있다.
리튬은 2차전지(리튬배터리) 원료다.
2차전지 원료업체 비중이 94%에 잘하는 '앰플러파이 어드밴스트 배터리 메탈스 & 머티리얼즈
(Amplify Advanced Battery Metals and Materials)' ETF도 있다.
리튬, 니켈, 필라듐 등 채굴 가공업체로 구성돼 있다. 김동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