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댓글1. 이 참고문제가 기출(단측검정)과 양측검정을 비교하기 위한 목적이었는데요. 기출(단측검정)의 기각역과 참고문제(양측검정)의 기각역의 차이를 주목해주시면 됩니다. 왼쪽 끝 부분이 기출(단측검정)에서는 기각역에 안 속하고, 참고문제(양측검정)에서는 기각역에 속합니다.
2. 귀무가설과 대립가설의 결론부분은 아래처럼 생각하겠습니다. 평균값 근처부분일 수록 귀무가설을 채택하기 때문에 귀무가설을 채택하는 것이 정상가동이라고 판단합니다.
이 부분은 1번 답글의 양측, 단측의 판단과도 이어지는데요. 참고문제를 단측검정으로 보게 되면 다음같은 문제가 발생합니다. 참고문제를 단측검정(왼쪽 끝부분만 기각역)으로 본다면 평균값보다 한 참 큰 부분(오른쪽 끝 부분 영역)으로 가까울 때 정상가동이라는 판단을 하게 됩니다.
첫댓글 1. 이 참고문제가 기출(단측검정)과 양측검정을 비교하기 위한 목적이었는데요.
기출(단측검정)의 기각역과 참고문제(양측검정)의 기각역의 차이를 주목해주시면 됩니다.
왼쪽 끝 부분이 기출(단측검정)에서는 기각역에 안 속하고, 참고문제(양측검정)에서는 기각역에 속합니다.
2. 귀무가설과 대립가설의 결론부분은 아래처럼 생각하겠습니다.
평균값 근처부분일 수록 귀무가설을 채택하기 때문에 귀무가설을 채택하는 것이 정상가동이라고 판단합니다.
이 부분은 1번 답글의 양측, 단측의 판단과도 이어지는데요.
참고문제를 단측검정으로 보게 되면 다음같은 문제가 발생합니다.
참고문제를 단측검정(왼쪽 끝부분만 기각역)으로 본다면
평균값보다 한 참 큰 부분(오른쪽 끝 부분 영역)으로 가까울 때 정상가동이라는 판단을 하게 됩니다.
답변감사합니다. 그러면 교수님 2번 답변에 대해서 정리하면, (다)의 결론이 기계는 정상가동하고 있다 인거죠?
@대수가너무어려워ㅠㅠ 맞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