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년 10월
月 火 水 土
10/2 | 10/4 | E. Elgar: Enigma Variations Op. 36 연주와 발레 | 10/7 | Mozart: Sinfonia Concertants, K 364, 297b | ||||||
10/9 | 10/10 | Marie- Antoinette | 10/11 | 인형의 음악과 춤 1 | 10/14 | Mozart, Dvořák: Chamber Music | ||||
10/16 | La Source 2 / Magifique | 10/17 | 인형의 음악과 춤 1 | 10/18 | 인형의 음악과 춤 2 | 10/21 | 인형의 음악과 춤 1 | |||
10/23 | The Malandain Ballet Biarritz | 10/24 | 인형의 음악과 춤 2 | 10/25 | 인형의 음악과 춤 3 | 10/28 | 인형의 음악과 춤 2 | |||
10/30 | Marie- Antoinette | 10/31 | 인형의 음악과 춤 3 |
[베토벤 음악감상실 수요일 10/4]
E. Elgar: Enigma Variations Op. 36 연주와 발레
Enigma Variations Op. 36
작곡: Edward Elgar, 1857~1934); 1898년 10월~1899년 2월 20일
초연: 1899년 6월 18일 런던 세인트 제임스 홀, 한스 리히터 지휘
출판: 1899년 런던 노벨로 출판사
헌정:
제1변주 캐롤라인 앨리스 엘가
제2변주 휴 데이비드 스튜어트 파월
제3변주 리처드 백스터 타운센드
제4변주 윌리엄 미스 베이커
제5변주 리처드 펜로즈 아놀드
제6변주 이사벨 피튼
제7변주 아서 트로이트 그리피스
제8변주 위니프레드 노버리
제9변주 아우구스투스 요하네스 예거
제10변주 도라 페니
제11변주 조지 로버트슨 싱클레어
제12변주 바실 네빈슨
제13변주 매리 리건
제14변주 에드워드 엘가
편성: 플루트2, 오보에2, 클라리넷2, 바순2, 콘트라바순, 호른4, 트럼펫3, 트롬본3, 튜바, 팀파니, 트라이앵글, 스몰드럼, 심벌즈, 베이스드럼, 오르간, 현5부
엘가의〈수수께끼 변주곡〉은 그가 작곡한 가장 유명한 대규모 관현악곡으로, 음악뿐만 아니라 주제 속에 숨겨진 수수께끼로도 유명하다.
숨겨진 주제에 대한 14개의 변주곡
〈수수께끼 변주곡〉은 영국 작곡가 에드워드 엘가가 작곡한 가장 유명한 대규모 관현악곡이다. ‘숨겨진 주제’와 14개의 변주로 이루어진 이 곡은 그 음악뿐만 아니라 주제 속에 숨겨진 수수께끼로도 유명하다. 1899년 2월 20일에 완성되었고, 같은 해 6월 19일 런던에서 한스 리히터의 지휘로 세인트 제임스 홀에서 초연되었다. 그 후 마지막 변주곡을 수정하여 같은 해 9월 13일 ‘우스터 세 합창단 페스티벌’(Worcester Three Choirs Festival)에서 엘가의 지휘 하에 연주되었는데, 이 새로운 버전이 오늘날까지도 연주되고 있다.
작곡가가 그린 음악적 초상화
1898년 10월의 어느 날, 엘가는 피아노 앞에 앉아 공상에 잠겨 있던 중 떠오르는 선율을 연주하였다. 그러자 그의 아내는 그 선율이 마음에 든다며 한 번 더 연주해줄 것을 부탁했고, 엘가는 그 선율을 바탕으로 변주곡을 즉흥 연주하였다. 또한 엘가는 이 즉흥적 변주곡을 확대하여,〈수수께끼 변주곡〉이란 제목 아래 관현악곡으로 편곡하였다. 14개의 변주는 엘가와 가까운 이들에 대한 애정 어린 음악적 초상이라 할 수 있는데, 여기에는 엘가의 아내 앨리스, 친구인 아우구스투스 예거, 그리고 엘가 자신에 대한 것도 포함된다. 각 변주에는 엘가가 묘사하고 있는 이에 대한 힌트가 주어져 있다. 그리고 수수께끼에 대하여, 여러 음악인들이 가설을 제시했는데, 어떤 이는 그것이 선율이라고도 하고, 어떤 이는 상징 혹은 문학적인 주제라고도 했다. 하지만 엘가는 그의 생전에 그 수수께끼가 무엇인지 밝히지 않았다.〈수수께끼 변주곡〉은 작품 속에 묘사된 이들에게 헌정되었다.
주제(Enigma)
제1바이올린이 주제를 연주하며 시작된다. 주제는 두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1~6마디에서 제1바이올린이 연주하는 선율이 첫 번째 주제이다. 조성은 g단조이고 구슬프다. 이어 7~10마디에서 목관악기가 두 번째 주제를 연주하는데, 이 부분의 조성은 G장조이다. 11~16마디에서는 첫 번째 주제가 반주 부분만 약간 변형되어 한 번 더 등장한다. 휴지 없이 변주 1로 연결된다.
제1변주 C. A. E.
‘C. A. E.’는 엘가의 아내 캐롤라인 앨리스 엘가(Caroline Alice Elgar)를 가리킨다. 첫 번째 주제가 계속 반복되는데, 엘가는 “이 변주곡은 주제의 연장이다. 나는 주제를 낭만적이고 섬세하게 그려내기를 원했다. C. A. E.를 아는 사람이라면 이 음악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이해할 것인데, 이는 그녀가 낭만적이고 섬세한 영감을 주는 생을 살았기 때문이다”라고 이 음악을 설명했다.
제2변주 H. D. S. P.
‘H. D. S. P.’는 유명한 아마추어 피아니스트이자 실내악 연주자인 휴 데이비드 스튜어트 파월(Hew David Steuart Powell)을 가리킨다. 그는 연주를 시작하기 전에 여러 조성에서 온음계를 연주하는 버릇이 있었는데, 이 변주곡의 16분음표 음형들은 그 모습을 익살스럽게 묘사한 것이다.
제3변주 R. B. T.
옥스퍼드 대학의 교수이자 작가이며 아마추어 배우이기도 한 리처드 백스터 타운센드(Richard Baxter Townshead)가 극장에서 노인으로 분장한 모습을 음악으로 그린 것이다. 타운센드는 제4변주에서 묘사된 W. M. B.의 처남이기도 하다. 대조적인 두 부분이 교대로 등장하는데, 각각의 조성은 G장조와 F♯장조이다.
제4변주 W. M. B.
14개의 변주곡들 중 가장 짧고 강렬하다. 첫 번째 주제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이 변주는 시골의 지주 윌리엄 미스 베이커(William Meath Baker)를 묘사하고 있는데, 그는 자신을 다소 정열적으로 표현했던 사람이었다고 한다.
제5변주 R. P. A.
시인 매튜 아놀드(Matthew Arnold)의 아들이자 아마추어 피아니스트였던 리처드 펜로즈 아놀드(Richard Penrose Arnold)를 묘사한 음악이다. 구슬프고 진중한 c단조 부분과 밝고 경쾌한 C장조 부분이 교대로 나타나며, 휴지 없이 제6변주로 이어진다.
제6변주 ‘이사벨’(Ysobel)
엘가 경의 비올라 제자였던 이사벨 피튼(Isabel Fitton)을 묘사한 음악이다. 비올라가 3개의 음을 연주하며 시작되고, 마찬가지로 비올라가 3개의 음을 연주하며 끝나는데, 이것은 피튼이 활 긋는 연습을 하는 모습을 그린 것이라고 한다.
제7변주 ‘트로이트’(Troyte)
건축가 아서 트로이트 그리피스(Arthur Troyte Griffith)를 그린 음악이다. 그가 서툴지만 열정적으로 피아노를 연주하는 모습, 그리고 그리피스와 엘가가 산책을 하던 중 폭풍우를 만났던 일을 음악 속에 담고 있다. 두 사람은 노버리의 집으로 뛰어가 폭풍우를 피했다. 노버리는 다음 변주에서 등장하는 인물이다.
제8변주 W. N.
위니프레드 노버리(Winifred Norbury)는 엘가의 친구로, 느긋한 성격의 소유자였다고 한다. 또한 이 곡은 엘가가 좋아했던 노버리의 집을 묘사하기도 한다. G장조 목가풍의 매력적인 음악이다.
제9변주 ‘님로드’(Nimrod)
14개의 변주들 중 가장 잘 알려져 있으며, 개별적으로 연주되기도 하는 유명한 악장이다. 이 곡은 엘가의 친구인 아우구스투스 예거와 있었던 이야기를 그리고 있다. 님로드는 구약 성경 창세기 10장에 나오는 인물로, 함의 자손이며, 용감한 사냥꾼이었다. 예거(Jäger)란 이름 역시 독일어로 사냥꾼을 뜻하며 ‘님로드’란 제목은 여기에 착안한 것이다. 예거는 런던의 출판사 노벨로의 음악 편집자였는데, 엘가에게 조언을 아끼지 않았던 인물이다. 한번은 엘가가 무력감에 빠져 작곡을 포기하려 했을 때, 예거가 그를 찾아와서 계속 작곡을 하도록 격려하였다. 그는 많은 역경 속에서도 아름다운 음악을 작곡했던 베토벤을 언급하면서, 엘가가 해야 할 일도 바로 그러한 것이라고 말해주었던 것이다. 그 때 예거는 베토벤의 피아노 소나타 8번〈비창〉의 2악장 선율을 흥얼거렸는데, 후에 엘가는 이 변주곡의 첫 소절이〈비창〉2악장의 주제를 암시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제10변주 ‘도라벨라’(Dorabella)
후일《에드워드 엘가, 변주곡의 추억》(Edward Elgar, Memories of a Variation)의 저자인 도라 페니(Dora Penny)를 그린 변주곡이다. 엘가는 도라 페니를 ‘도라벨라’라는 모차르트의 오페라〈코지 판 투테〉의 여주인공 이름과 연관 지었다. 도라 페니에게는 말을 더듬는 버릇이 있었는데, 목관악기가 이를 묘사하고 있다.
제11변주 G. R. S.
헤리퍼드 성당의 열정적인 오르간 연주자였던 조지 로버트슨 싱클레어(George Robertson Sinclair)를 가리킨다. 하지만 엘가에 따르면, 이 변주곡은 오르간이나 성당, 혹은 싱클레어에 관한 것이 아니라, 싱클레어가 기르던 ‘댄’이라는 불독이 와이강으로 뛰어들어 헤엄을 치다가 뭍으로 올라와 기뻐하는 모습을 그린 것이다. 싱클레어는 엘가에게 그 모습을 음악으로 만들어보라고 말했고, 그 결과 탄생한 것이 바로 이 변주곡이다.
제12변주 B. G. N.
유명한 첼리스트 바실 G. 네빈슨(Basil G. Nevinson)을 의미한다. 네빈슨은 이후 엘가가 첼로 협주곡을 작곡하는 데 영감을 주었던 인물이다. g단조의 아름다운 이 변주곡은 첼로 솔로로 시작되고 끝나며, 휴지 없이 다음 변주곡으로 이어진다.
제13변주 * * *
이 곡에서 엘가는 그 대상을 명시하지 않고, “* * *”로 표기하였다. 그 대상이 누구인가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으나, 그 중 하나는 엘가 부부의 지인이었던 매리 리건(Mary Lygon)이라는 여성이라는 것이다. 엘가는 그녀에게 이니셜을 쓰는 것에 대한 허락을 받고자 편지를 보냈으나, 그녀는 가족과 함께 오스트레일리아로 떠나는 바람에 답장을 할 수가 없었다고 한다.
제14변주 E. D. U.
Edu는 엘가 자신을 의미하는 것으로, 엘가의 아내는 엘가를 Edu라 불렀다고 한다. Edu란 엘가의 독일식 이름 ‘에두아르드’(Eduard)에서 따온 것이다. 이 곡은 제9변주 ‘님로드’(Nimrod)와 제1변주 ‘C. A. E.’, 즉 아우구스투스 J. 예거와 엘가의 아내 앨리스의 주제를 연상케 한다. 엘가에 따르면, 이 두 사람은 엘가의 인생에 가장 큰 영향을 주었던 이들이다.
1 Theme (Enigma: Andante) 2:27
2 Variation I (L'istesso tempo) "C.A.E." 2:06
3 Variation II (Allegro) "H.D.S-P." 0:44
4 Variation III (Allegretto) "R.B.T." 1:29
5 Variation IV (Allegro di molto) "W.M.B." 0:33
6 Variation V (Moderato) "R.P.A." 2:01
7 Variation VI (Andantino) "Ysobel" 1:23
8 Variation VII (Presto) "Troyte" 0:56
9 Variation VIII (Allegretto) "W.N." 1:53
10 Variation IX (Adagio) "Nimrod" 3:41
11 Variation X (Intermezzo: Allegretto) "Dorabella" 2:42
12 Variation XI (Allegro di molto) "G.R.S." 0:58
13 Variation XII (Andante) "B.G.N." 2:42
14 Variation XIII (Romanza: Moderato) "* * *" 2:35
15 Variation XIV (Finale: Allegro) "E.D.U." 5:19
Sir Gerog Solti: London Philharmonic Orchestra
September 25, 1979; Royal Festival Hall, London
발레
해설 4:41
1 Opening 0:41
2 Edward Elgar (E.D.U.) 1:24
3 The Lady (C.A.E.) 1:52
4 Hew David Steuart-Powell (H.D.S-P.) 0:55
5 Richard Baxter Townshend (R.B.T) 1:35
6 William Meath Baker (W.M.B.) 0:58
7 Richard P. Arnold (R.P.A)
Isabel Fitton (Ysobel) - 1 2:19
8 Richard P. Arnold (R.P.A)
Isabel Fitton (Ysobel) - 2 1:24
9 Arthur Troyte Griffith (Troyte) 1:10
10 Windred Norbury (W.N.) 2:19
11 A.J. Jaeger (Nimrod) 3:29
12 Dora Penny (Dorabella) 2:53
13 George Robertson Sinclair (G.R.S.) 1:10
14 Basil G. Nevinson (B.G.N.) 2:33
15 Lady Mary Lygon (***) 3:04
16 Edward Elgar (E.D.U.) 4:23
17 Curtain Calls 2:49 [34:59]
Choreographer: Frederick Ashton
Designer: Julia Trevelyan Oman
Lighting Designer: John B. Read
Staging: Kevin O'Hare, Christopher Carr
Pavel Sorikin: Orchestra of the Royal Opera House
Royal Opera House, Covent Garden; October 28 and November 5, 2019
Edward Elgar (E.D.U.): Christopher Saunders
The Lady (C.A.E.): Laura Morera
Hew David Steuart-Powell (H.D.S-P.): Paul Kay
Richard Baxter Townshend (R.B.T.): Philip Mosley
William Meath Baker (W.M.B.): Calvin Richardson
Richard P. Arnold (R.P.A.): Reece Clarke
Isabel Fitton (Ysobel): Beatriz Stix-Brunell
Arthur Troyte Griffith (Troyte): Matthew Ball
Winifred Norbury (W.N.): Romany Pajdak
A.J. Jaeger (Nimrod): Bennet Gartside
Dora Penny (Dorabella): Francesca Hayward
George Robertson Sinclair (G.R.S.): Luca Acri
Basil G. Nevinson (B.G.N.): Enrico Montes
*** (Lady Mary Lygon): Itziar Mendizabal
Schoolgirl: Grace Blundell
Country girl: Ashley Dean
Country boy: Joshua Junker
Sailor girl: Isabella Gasparini
Sailor boy: Joseph Sissens
Housekeeper: Charlotte Tonkinson
Gardener: Giacomo Rovero
The carrier: Harris Bell
Country woman: Katharina Nikelski
Telegraph boy: Harry Churches
[미디어센터 화요일 10/17, 24, 31; 베토벤 음악감상실 수요일 10/11, 18, 25, 토요일 10/ 21, 28, 11/4]
인형의 음악과 춤
인형의 음악과 춤 1
☼ CD 감상
1 L. Jessel: Parade of the Wooden Soldier, Op.123 3:09
2 E. Poldini/F. Kreisler: Dancing Doll 2:23
정경화, violin + P. Moll, piano
3~4 C. Debussy: Children's Corner/Ⅲ Serenade for the Doll 2:17
Ⅵ Golliwogg's Cake-Walk Allegro Giusto 2:57
A. B. Michelangeli, piano [10:46]
Salzburger Marionettentheater
Anton Aicher(1859~1930) 교수가 1913년 창립,
아들 Hermann(1902~1977), 손녀 Gretl(1928~2012)이 이어받아 운영
2016년에는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됨
☼ W. A. Mozart
01 Die Entführung aus dem Serail/② No. 11 Aria: Martern aller Arten
어떤 종류의 고문이 나를 기다리고 있을지라도 9:10~13:15 [4:05]
Maria Stader, S + F. Fricsay: RIAS Symphony Orchester Berlin
02 Le Nozze di Figaro/② Voi che sapete che cosa e amor
사랑의 괴로움을 그대는 아나 0:46~3:39 [2:53]
Fiorenza Cossoto, MS + Carlo Maria Giulini: Philharmonia Orchestra
03 Don Giovanni/① Madamina, il catalogo è questo 아가씨, 여기 목록이 있습니다
Fernando Corena. B + Erich Leinsdorg: Wiener Philharmoniker 6:23~9:30 [3:07]
04 Così fan tutte/① Soave sia il vento 산들바람이여, 부드럽게 불어라
Pilar Lorenger, S + Teresa Berganza, MS + Tom Krause, B 14:03~16:59 [2:56]
Sir G. Solti: London Philharmonic Orchestra
05 Bastien und Bastienne/[No. 16 Terzetto] Kinder! Kinder!
[3중창] 얘들아, 얘들아, 비바람이 간 후, 햇빛 밝은 날이 왔다 3:32
Evmorfia Metaxaki, S + Bernhard Berchtold, T + Radu Cojocariu, B
Elisabeth Fuchs: Junge Philharmonie Salzburg
♪ G. F. Handel: Rinaldo/② Lascia ch'io pianga 울게 하소서 4:02
Marie Friederike Schöder, S + Wolfgang Katschner: Lautten Compagney Berlin
Compagnia Mationettistica Carlo Colla & Figli [Ludwigsburg Festival May 2014]
♪ Walt Disney Animation/ Pinocchio 中
Little Wooden Head 2:10
I've Got No Strings 2:55 [5:05]
♪ Rodgers & Hammerstein Ⅱ: The Sound of Music/ The Lonely Goatherd
Julie Andrews & Charmian Carr 등 3:14
♪ Robert B. & Richard M. Sherman: Chitty Chitty Bang Bang/
Doll on a Music Box 5:00
Sally Ann Howes & Dick Van Dyke [1968]
♪ J. Offenbach: Les Contes d'Hoffmann/① Les oiseaux dans la charmille
호프만의 이야기/ 작은 새들은 나무 그늘에 앉아 6:10/6:55/5:40 [18:45]
Natalie Dessay, S +
Jun Märkl: Orchester der Wiener Staasoper [1996]
Michel Plasson: Orchestre National du Capitole de Toulouse [2000]
Moira Shearer, dancer & Dorothy Bond, S [1951] 40:38~46:18
♪ G. Bizet (from Jeux D'Enfants): The Steadfast Tin Soldier 10:31
Choreography by George Balanchine
Patricia McBride ․ M. Baryshnikov
New York City Ballet
Robert Irving: New York City Ballet Orchestra
Recorded at Opryland Productions, Nashville, 1977
♪ D. Shostakovich: Piano Concerto No. 2 in F major, Op. 102/
Ⅰ Allegro (Fantasia 2000에서) 7:25
♪ P. I. Tchaikovsky: The Nutcracker Suite (Fantasia에서) 14:26 [1:35:47]
L. Jessel: Parade of the Wooden Soldier, Op.123 장난감 병정의 행진
Leon Jessel(1871~1942): 독일의 작곡가. Lübeck에서 ‘장난감 병정의 행진’과 같은 파퓰러한 작품을 작곡한 후
Berlin으로 옮겨 <Schwarzwaldmädel 슈바르츠발트의 아가씨> 등 많은 오페레타를 작곡했다.
E. Poldini/F. Kreisler: Dancing Doll 춤추는 인형
Ede Poldini(1869~1957): 부다페스트 태생의 헝가리 작곡가 겸 피아니스트.
헝가리에서 작곡한 많은 오페라로 유명했지만 Kreisler가 바이올린을 위해 편곡한 ‘춤추는 인형’으로 국제적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1908년 스위스에 정착하여 대표작인 오페라 <Vagabund und Prinzessin 방랑자와 공주(1903)> 과
<Hochzeit im Fasching 사육제에서의 결혼(1924)> 을 남겼다.
C. Debussy: Children's Corner/ VI. Golliwogg's Cake-Walk Allegro Giusto
어린이 차지/ 제 6곡 골리워그의 케이크워크
드뷔시는 1904년 전 부인과 이혼하고 새로운 애인과의 결혼생활에서 처음으로 귀여운 딸 클로드 엠마를 낳았는데 그
는 이 아이를 보통 슈슈라는 애칭으로 불렀다. 이 유명한 “어린이의 세계”라는 곡은 드뷔시가 자기의 딸을 위해
어버이의 마음을 피력한 音詩이다. 그래서 이 곡에 “내 사랑하는 슈슈에게………다음으로 계속되는 자에 대한
아버지의 감사를 가지고서”라고 기록되어 있다.
사교에 능하지 못했던 드뷔시는 파이프를 입에 물고 서재를 걸어 다니면서 몽상에 잠겨, 소년과 같이 상상의 세계를 즐겼는데 그
러한 소산의 이 작품은 유머와 품위 있는 익살을 보여준다.
제6곡: Golliwogg's Cake-Walk(골리웍의 케이크워크): 골리웍이란 검은 얼굴, 둥근 눈, 검은 머리의 기괴한 골격을 한 인형이며 케이크워크는 아메리카의 니그로의 춤인데 탬버린과 비슷한 악기를 두들기며 흔들어 추는 무용이다. 폭발하는 웃음과 상쾌한 즐거움을 잘 어울리지도 않게 건들거리며 다니는 인형의 모습에서 찾아볼 수 있다.
J. Offenbach: Les Contes d'Hoffmann/Ⅰ Les oiseaux dans la charmille
호프만의 이야기/ 작은 새들은 나무 그늘에 앉아
나무 숲 속의 새들(Les oiseaux dans la charmille)[제 1막 올림피아, S]
스팔란차니가 올림피아를 데리고 나와 자랑하면서 손님들에게 선보인다. 일동은 올림피아의 완벽한 모습에 탄성을 지른다.
그리고 마법 안경을 쓴 호프만에게 올림피아는 진짜 아름다운 처녀로 보인다. 이제 스팔란차니는 올림피아에게 노래를 불러보게 한다.
올림피아는 스팔란차니의 조작에 따라 ‘인형의 노래’라고 불리는 아리아 <작은 새들은 너무 그늘에 앉아 Les oiseaux dans la charmile>를 부른다. 이 노래는 유명한 초절 기교의 콜로라투라 아리아로서, 마치 정말 인형이 부르듯이 경직되고 기계적으로 부르게 된다. 중
간에 태엽이 다 떨어져서 다시 감아주게 하는 것도 재미있다. [박종호 저 <불멸의 오페라> 참조]
“나무 숲 속의 새들, 하늘의 태양, 모든 것이 아가씨에게 사랑을 말한다! 아, 모든 것이 사랑을 말한다!
아! 저건 올림피아의 아름다운 노래이다! 올림피아의 아! 아! … 모든 것이 노래하고 메아리치고 한숨지으며,
사랑으로 몸부림치는 가슴은 쉴 새 없이 움직인다! 아! 아! 모든 것이 사랑을 말한다!
아! 저건 올림피아의 우아한 노래이다. 올림피아의! 아! 아!”
The Steadfast Tin Soldier (충실한 양철병정)은 Hans Christian Andersen의 같은 이름의 동화(1838년)에 바탕을 두어
안무된 장난감 양철병정과 인형 발레리나 사이의 사랑을 그린 작품으로 1975년 7월 30일 사라토가 공연예술센터에서
뉴욕시티발레단의 Patricia McBride와 Peter Schaufuss에 의해 초연되었다.
G. 발란신은 1955년 G. 비제의 음악 <Jeux d' enfants 어린이의 유희>을 1955년에 처음 사용한 바 있는데
이 1975년 작품은 뉴욕시티발레단이 매년 공연하는 사라토가 공연예술센터의 위촉으로
비제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여 David Mitchell이 디자인한 세트와 의상을 사용하여 초연된 것이다.
뉴욕에서는 이듬해에 초연되었다.
Dmitry Shostakovich: Piano Concerto No. 2 in F major, Op. 102/Ⅰ Allegro
<뮤지컬로 보는 동화〉의 음악은《장난감 병정》(쇼스타코비치), 감독은 헨델 부토이이다.
차이코프스키의 ‘호두까기 인형 모음곡’: 자연의 네 계절을 환상적인 애니메이션 발레로 그린다.
작은 벌레가 꽃에서 꽃으로 뛰어 다니며 이슬이 반짝 빛나는 봄으로부터 시작하여 서리의 요정이
작은 시내 얼음 위를 활주하는 겨울에 이르기까지 대자연 네 계절의 판타지이다.
A. 별 사탕 요정의 춤: 디즈니는 이 곡을 ‘이슬의 요정’의 환상으로 그렸다. 요정들이 산들 바람을 타고
지상으로 내려와 잠들어있는 꽃봉오리들을 요술 봉으로 피워낸다. 막 기지개를 펴며 꽃잎들이 깨어난다.
B. 중국의 춤: 중국의 차(茶)의 요정이 추는 춤을 디즈니는 송이버섯 가족의 춤으로 표현 했는데
개구쟁이 꼬마 버섯이 그들 틈에 끼어 어쭙잖게 따라 춤을 춰 웃음을 자아내게 한다.
C. 갈대 피리의 춤: 이 음악에서 디즈니는 꽃이 피는 발레를 공상한다. 물 위에 떨어진 꽃잎들이
물의 흐름에 따라 몸을 맡긴 채 원무를 춘다.
D. 아라비아의 춤: 동양적인 선율로 노래하는, 이국정서가 넘치는 커피 요정의 춤을 신비스러운
깊은 연못 속의 금붕어들의 춤으로 묘사 물속에서의 발레로 그려 보인다.
E. 러시아의 춤 ‘트레팍’: 엉겅퀴 꽃의 소년과 나리꽃 소녀의 활기찬 두 박자 춤으로
다이내믹한 트레팍을 아름다운 환상으로 보여준다.
F. 꽃의 왈츠: 디즈니는 가을의 요정, 싸리의 발레, 서리의 요정, 눈의 요정으로 가을에서 겨울로의
쓸쓸한 꽃의 왈츠를 생각해 냈다. 자연의 순환이 춤으로 환원하며 악기의 특색이 회화적인 아름다움으로 되살아난다.
인형의 음악과 춤 2
♪ Barbie in the Nutcracker/
Waltz of the Snow Fairies - Magical Land of Parthenia 4:33
Waltz of the Flower Fairies 3:14
Prince Eric and the Sugarplum Princess - Pas de Deux 7:32 [15:19]
♪ P. I. Tchaikovsky: The Nutcracker/① 할레퀸의 춤 2:12 - 인형의 춤 1:15
전투 - 마리와 호두까기인형의 춤 12:45
② 마리와 왕자의 파드되 - 왕자의 바리아숑 - 마리의 바리아숑 -
왕자와 마리 코다 12:37
Nina Kaptsova + Artem Ovcharenko + The Bolshoi Ballet [2010] [28:49]
☼ P. I. Tchaikovsky: The Nutcracker
Part One
1 관객 입장 - 발레 시작 00:00
2 손님들의 도착 01:37
3 바람이 거세지다 04:20
4 아이들의 춤 05:46
5 눈싸움 08:11
6 드로셀마이어의 도착 10:26
7 파티의 시작 12:10
8 드로셀마이어가 클라라에게 호두까기인형을 선물 14:39
9 호두까기인형을 공격하는 생쥐 군대 19:39
10 왕자와의 춤 21:56
11 겨울의 숲 24:21
12 빙판 위에서의 춤 28:11
13 열기구 여행 31:32
Part Two
[공중에서 - 구름의 춤 - 열기구 착륙 - 인형의 나라에 도착 - 변신]
14 스페인 춤 36:10
15 아라비아 춤 38:30
16 중국 춤 41:38
17 러시아 춤 (트레팍) 43:42
18 갈대피리의 춤 45:18
19 전원곡 47:33
20 사탕요정의 춤 50:47
21 꽃의 왈츠 54:37
22 잠에서 깨어남 1:00:58~1:02:32
Salzburg Marionette Theatre
Ernest Ansermet: Swiss Romande Orchestra
Choreographer: Leonard Salaz
Stage Director: Klaus Gmeiner
Recorded in Salzburg Marionette Theatre, 2009 1:46:40
인형의 음악과 춤 3
☼ Engelbert Humperdinck: Hänsel und Gretel
1 서곡 ~6:36
Act 1 Scene 1
2 수지, 어여쁜 수지, 바스락 거리는 게 뭐지? ~8:05
3 아, 엄마가 빨리 집에 오셨으면! ~12:30
4 이리 와, 나랑 춤을 춰, 내 손을 잡아 ~16:17
Scene 2
5 아니, 애들아! - 엄마다! ~18:03
6 나가! 숲으로 가! ~20:22
Scene 3
7 랄라라라, 랄라라라 이봐, 여보 내가 왔어! ~25:46
8 곧 성대한 축하연이 열린다고 해, 축제에, 결혼식에, 기념식에... ~27:05
9 그런데 잠깐만, 아이들은 어딨소? ~28:51
10 애들이 숲에서 길을 잃어 별도 달도 없는 밤에 헤맨다면! ~30:27
11 그 숲에는 아주 늙은 마녀가 살아 ~33:09
Act 2
12 마녀의 비행 ~37:27
Scene 1
13 자주색 코트를 입은 아이 하나가 ~38:58
14 엄마가 헨젤을 칭찬할 거야! ~40:41
15 뻐-꾹, 뻐-꾹, 알 도둑! ~44:16
16 그레텔, 길을 잃은 것 같아! ~48:27
Scene 2
17 나는 작은 모래 요정, 쉿! 나를 무서워하지 마, 쉿! ~51:15
18 밤이면 잠자러 갈 때 열네 명의 천사가 저를 둘러쌉니다 ~54:08
Scene 3
19 꿈의 판토마임 ~59:31
Act 3
20 관현악 전주곡 “생강 빵의 집” ~1:00:24
Scene 1
21 나는 작은 이슬요정, 해님과 함께 동에서 서로 움직이면서 ~1:01:51
22 여기가 어디지? 이게 꿈이야, 생시야? ~1:07:05
Scene 2
23 가만히 있어 봐! ~1:07:42
24 향기로운 냄새가 나, 오, 이것 좀 봐! ~1:09:34
25 아무 소리가 안 나, 아무도 없나 봐! ~1:11:18
Scene 3
26 사각사각 쥐새끼마냥 누가 내 집을 뜯어먹는 거냐? ~1:14:42
27 나는 건포도를 좋아한단다, 인정 많고, 배려심 많고 ~1:18:45
28 멈춰라! 호쿠스 포쿠스 마법의 주문! ~1:22:27
29 자, 예쁜아, 넌 이제 다시 그 통통한 다리를 움직일 수 있다! ~1:25:30
30 날아라, 출발, 날아라, 빗자루야 ~1:27:04
31 자, 일어나거라, 얘야 ~1:31:02
32 이야! 이제 마녀가 죽었다, 쥐처럼 죽었어, 어쩔 수 없었어! ~1:33:29
Scene 4
33 얘들이 왜 여기 있지? ~1:38:00
Scene 5
34 아빠, 엄마! - 애들아! 드디어 너희들을 찾았구나! ~1:40:03
35 End Credits ~1:40:36
Hansel: Kristina Naudé, S / Elfriede Grill (puppeteer)
Gretel: Annette Dasch, S / Heide Hölzl (puppeteer)
The Witch: Giedré Povilaityté (vocals) / Pavel Tikhonov (puppeteer)
Father: Jörg Gottschick, Br / Vladimir Fediakov (puppeteer)
Mutter: Martina Hamberg-Möbius, S / Philippe Brunner (puppeteer)
Sandman: Akiko Hayashida, S / Pierre Droin (puppeteer)
Dew Fairy: Bini Lee, S / Vladimir Fediakov (puppeteer)
Inboccallupo Children’s Choir
Andreas Schüller: Inboccallupo Orchestra
Stage Director, Set and Costume Designer: Hinrich Horstkotte
Recorded at the Salzburg Marionette Theatre, November 23, 2007
[베토벤 음악감상실 토요일 10/7]
Mozart: Sinfonia Concertants, K 364, 297b
Sinfonia Concertante in Eb major, K.364 (320d) [32:49]
Ⅰ Allegro maestoso [14:00] Ⅱ Andante [9:55]
Ⅲ Presto [6:53] ♪ Credits [1:58]
Gidon Kremer + Ula Ulijona
Kremerata Baltica [31 Jan. & 2 Feb. 2002]
Sinfonia Concertante for Oboe, Clarinet, Horn, Bassoon & Orchestra in Eb major, K.297b [31:11]
Ⅰ Allegro [13:33] Ⅱ Adagio [7:53]
Ⅲ Andantino con variazioni [9:44]
Patrick Beaugiraud, oboe + François Gillardot, clarinet +
Aligi Voltan, bassoon + Jorge Renteria, horn
Christopher Rousset: Les Talens Lyriques [2004]
Sinfonia Concertante in Eb major, K.364 (320d)
작곡: 1779년 여름~초가을
악기편성: 독주악기: 바이올린, 비올라; 오보 2, 혼 2, 현 5부
바이올린과 비올라의 선율을 기막히게 조화시켜 명곡으로 만든 모차르트의 신포니아 콘체르단테다. 모차르트가 22세 때 만하임․파리 여행에서 돌아와 결실을 맺은 곡이기도 하다. 모차르트가 인간적, 예술적 경지에 도달한 기록으로도 인상 깊은 곡이다. 모차르트는 자신을 바이올린의 귀재로도 평가했다. 바이올린과 비올라를 독주악기로 적절히 사용해 폭과 깊이를 느끼게 한다. 이런 두개의 독주악기는 정서적 분위기를 더욱 고조시키면서 심화시킨다. 듣는 이로 하여금 감동의 세계를 넘어 활기차고 우아한 햇살 속으로 들어가게 한다.
바이올린과 비올라의 선율이 이중창을 부르듯 절묘한 하모니로 어우러지는 신포니아 콘체르탄테로 비올라를 독주 악기로 내세운 작품으로는 가장 널리 알려진 작품이기도 하다. 이례적으로 바이올린과 동등한 위치에서 풍부한 멜로디의 향연이 돋보이는 신포니아 콘체르탄테는 형식적으로는 바로크 시대의 합주 협주곡을 이어받은 협주 교향곡 형식으로 꾸며진 보기 드문 작품이다.
제1악장 Allegro maestoso
모차르트의 전 작품 가운데 가장 독특한 작품으로 평가되는 신포니아 콘테르탄테는 18세기 후반과 19세기 초 파리를 중심으로 유행했던 2개 이상의 독주 악기를 동반하는 협주곡 양식으로 작곡되었다. 그 당시에는 독주와 관현악의 대비 등 협주곡에 가까운 면모를 보여 주었으나 20세기 초에 와서는 교향곡에 근접해 가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협주적 교향곡이라는 음악 양식은 모차르트가 살았던 18세기 후반 유럽 음악계에서 잠시 유행했다가 사라진 양식이었다고 할 수 있겠다. 1778년부터 1779년 사이에 파리와 만하임을 여행하고 고향으로 돌아온 모차르트는 이러한 형식의 작품을 5곡이나 쓰기 시작했는데 그 가운데 2곡은 끝내 완성되지 못했고 플루트와 하프를 위한 작품은 플루트와 하프를 위한 협주곡이라는 타이틀로 완성되었다.
제2악장 Andante
1779년 여름에서 가을 사이에 작곡된 신포니아 콘체르탄테는 이 장르에 속하는 작품으로는 최고이자 마지막 작품이다. 신포니아 콘체르탄테를 쓸 무렵의 모차르트는 22살의 청년으로 성장하여 이미 신동이라는 이미지는 사라진지 오래였다. 어머니는 그가 파리에 있을 동안 병으로 세상을 떠났으며 그토록 사랑했던 알로이지아 베버로부터는 실연의 아픔을 겪는 등 상당한 시련을 겪고 있었다. 게다가 고향으로 돌아가기를 원하지 않았지만 경제적인 문제 때문에 하는 수 없이 귀향한 상태라서 마음이 편하지도 않았던 지경이었다. 이러한 점을 알고 밝고 명랑하고 경쾌한 1악장을 듣게 되면 다소 의아해지기 마련이나 가슴에 사무치도록 애달프다는 평을 많이 듣는 2악장을 듣게 되면 당시 모차르트 특유의 우울한 음영이 짇게 드리워져 있음을 느끼게 된다.
제3악장 Presto
제2악장은 음영으로 드리워진 표정이 인상적으로 느껴지며 못다 한 사랑을 추억하는 듯한 우아한 우수의 선율과는 달리 1악장과 3악장의 선율이 의외일 정도로 달콤하고 경쾌한 것은 바로 작곡 직전에 파리여행에서 받은 감흥이 굉장히 큰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다. 바이올린과 비올라의 아름다운 대화, 혼과 오보에의 서정적인 대화, 관과 현의 어울림은 제1악장과 3악장에서 단호한 성격이 강하며 비올라는 반음을 올려서 조현하는데 현의 장력을 강하게 하면 그만큼 은빛갈이 화려해지는 결과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신포니아 콘체르탄테는 독주 악기와 오케스트라의 어울림, 세밀한 화성과 극적 효과를 드높이는 대조 등이 주목할 만한데 특히 바이올린과 비올라의 앙상블은 튼튼한 구성과 용솟음치는 활기로 한층 화려한 피날레로 이끄는 부분은 이 곡의 압권이다.
Sinfonia Concertante for Oboe, Clarinet, Horn, Bassoon & Orchestra in Eb major, K.297b
1778년 4월 5일~20일 사이에 파리에서 작곡. 악식적으로는 교향곡 형식에 따르고 있으나, 음악 내용은 합주협주곡에 가깝다.
제1악장 Allegro Eb장조, 4/4. 현악기가 유니즌을 연주하는 힘찬 제1주제로 개시되며, 이것이 전 악장을 지배하는 기본 주제로 되어 다양하게 전개된다. 우아하고 천진한 제2주제는 가요적인 성격을 띠고 나타나는데, 이것이 前奏 제시부에서는 제1바이올린에 의해서, 협주 제시부에서는 독주 오보의 主奏, 재현부에서는 독주 혼으로 연주된다.
제2악장 Adagio (Eb 장조 4/4)가 제1악장과 같은 조를 유지하는 것은 바로크 시대의 모음곡에 있어 조 관계를 고수한 듯. 먼저 현과 오보로 4마디의 도입에 의해 개시되며, 이하 4개의 독주 관악기는 독주, 혹은 음형 반주를 덧붙여 문답을 주고받으며 쫓고 쫓기 우며 뒤엉키고 관현악 반주에 의한 부드러운 화성적 배경과 더불어 발전한다.
제3악장 Andantino con variazioni의 변주 악장으로 독주 오보의 主奏로 Andantino의 주제가 제시된다. 그것은 16마디로 된 두도막 형식의 주제인데 다시 8마디의 관현악 後奏가 연주되어 전부 24마디의 주제를 구성한다. 이 주제에 이어 10가지 변주가 행해지며 마지막에 Allegro 6/8박자의 발랄한 종곡으로 완결된다. 이 종곡은 변주 11에 해당하며 변주가 거듭될 때마다 음형이나 리듬을 바꾸고 4가지 독주악기는 뒤엉키고 서로 도와 합주협주의 묘를 유감없이 발휘한다. 10개의 변주와 종곡은 모두 Eb 장조 2/4박자를 고수하는데, 마지막에 짧은 Adagio의 에피소드를 끼고 6/8의 Allegro 종곡이 연주되므로, 종결은 한층 더 청신한 맛을 준다.
[베토벤 음악감상실 토요일 10/14]
Mozart, Dvořák: Chamber Music
W. A. Mozart: Quintet for Clarinet and String Quartet in A major, K.581
Ⅰ Allegro 9:52
Ⅱ Larghetto 6:47
Ⅲ Menuetto - Trio Ⅰ - Trio Ⅱ 7:21
Ⅳ Allegretto con Variazioni Var. 1~4 - Adagio - Allegro 12:26 [36:28]
Sabine Mayer, clarinet
Hagen Quartett [Lukas Hagen, Rainer Schmidt, Veronika Hagen, Clemens Hagen]
Recorded live at the Mozarteum (Großer Saal), Salzburg 26 January 2000
A. Dvořák: String Quartet in F major, Op. 96 "American"
Ⅰ Allegro ma non troppo 7:16
Ⅱ Lento 8:10
Ⅲ Molto vivace 4:33
Ⅳ Finale: vivace ma non troppo 5:44 [25:43]
Takács Quartet [27 September 2019]
Edward Dusinberre, first violin / Harumi Rhodes, second violin
Geraldine Walther, viola / András Fejér, cello
W. A. Mozart: Quintet for Clarinet and String Quartet in A major, K.581
작곡: 1789년 9월 29일 완성, 빈
독주자 안톤 슈타틀러의 연주력을 계기로 작곡되었다. 클라리넷은 악기 개량을 통해서 18세기 중반 이후 훌륭한 음색을 지니게 되었다. 모차르트는 클라리넷을 교향곡에서는 제한적으로 사용하였지만 오페라에서는 효과적으로 자주 사용했다.
초연: 1789년 12월 22일, 부르크 극장, 빈, 안톤 슈타틀러 (클라리넷)
악기 편성: 클라리넷, 바이올린 2, 비올라, 첼로
제1악장 Allegro, A장조 4/4박자, 소나타 형식
제1주제는 클라리넷이 연주한다. 경과구를 지나 제2주제는 E장조로 바이올린이 제시하고 이후 E단조로 변화된 뒤 코데타로 이어진다. 발전부는 제1주제의 후반부를 전개하고 재현부는 제2주제의 클라리넷 선율을 중심으로 연주되며 코다로 넘어간다.
제2악장 Larghetto, D장조 3/4박자, 발전부 형식의 중간부를 지닌 3부 형식(A-B-A)
클라리넷이 주제를 연주하면 대구적으로 제1바이올린이 진행한다. 제2부는 딸림조로 변경하면서 발전부 처럼 이어진다. 제3부는 제1부를 재현한다.
제3악장 Menuetto, A장조 3/4박자
A단조(트리오 I)와 A장조(트리오 II)인 2개의 트리오를 지닌다. 트리오 I은 현악기, 트리오 II는 클라리넷을 중심으로 진행한다.
제4악장 Allegretto con variazioni, A장조 2/2박자, 주제와 6개의 변주로 구성
주제는 A-A'-B-A' 형식으로 구성된다. 제1변주는 현악기가 주제를 연주하고 제2변주는 현악기로만 연주한다. 제3변주는 바이올린과 비올라가 진행하고 제4변주는 클라리넷을 중심으로 전개하며 제5변주까지 이어지고 제6변주는 코다로 구성된다.
모차르트는 특정 악기를 위한 실내악곡이나 협주곡을 두 명의 연주자를 위해 작곡했다. 이는 두 명의 연주자의 기법을 잘 알고 그 연주자가 자신의 역량을 충분히 발휘하며 자신만의 기교를 마음껏 부릴 수 있도록 작곡했다는 것이다. 클라리넷 5중주는 당시의 클라리넷 명 연주자 안톤 슈타틀러를 위해 작곡했다. 그래서 모차르트는 그의 편지에서 이 5중주곡을슈타틀러 5중주곡이라고까지 불렀다. 슈타틀러와 모차르트는 두터운 친교를 맺고 있었으며 클라리넷이란 악기의 개량에 많은 공헌을 하기도 했다. 모차르트는 클라리넷의 음색에 반해 여러 가지 작품에서 이 악기를 사용하는데 특히 오페라에서 감정표출의 수단으로 많이 사용했다. 5중주곡에서 모차르트는 바이올린 2개와 비올라 ․ 첼로 각 1개를 배치했는데 클라리넷을 우월적 위치에 두기도 하지만 때로는 현과의 대화를 주고받는 식으로도 꾸며, 보다 음악이 내면적이고 서로 어울리는 관계로 정립했다.
모차르트의 이 5중주곡은 브람스의 곡과 더불어 걸작 중의 걸작으로 꼽히며 모차르트나 브람스 모두 단 한 곡만을 작곡하여 유일한 작품으로 남았다.
A. Dvořák: String Quartet in F major, Op. 96 "American"
작곡: 1893년 6월 8일~6월 23일 완성 / 뉴욕
출판: 1894년 베를린의 짐로크 출판사
미국에 도착한 후 새로운 음악적 체험을 통해서, 교향곡 9번에 이어서 이 곡과 현악 5중주 3번 E장조 Op. 97까지 작곡했다.
초연: 1894년 1월 1일 / 보스턴 / 크나이젤(Kneisel) 현악 4중주단
제1악장 Allegro ma non troppo, F장조 4/4박자, 일반적인 소나타 형식
바이올린의 트레몰로와 첼로의 긴 오르겔풍크트 반주 위에 비올라가 제1주제를 제시한다. 제1바이올린의 트릴 이후 A단조로 바뀌며 제2주제는 단7도로 제시됨. 코데타는 다시 A장조로 바뀌면서 진행한다.
제2악장 Lento, D단조 6/8박자
흑인 영가의 선율이 반영된 악장으로, 제1주제는 다른 현악기들의 반주 위에 제1바이올린이 제시하며, 이어서 첼로의 연주가 대구적으로 진행함. 중간부에서는 체코의 민요적인 형식이 등장한다.
제3악장 Molto vivace, F장조 3/4박자, A - B - A - B 형태의 스케르초 악장
제4악장 Finale : vivace ma non troppo, F장조 2/4박자, 자유로운 론도 형식
론도 주제에 이어서 제1삽입구는 Ab장조로 구성되었으며, 체코 민요의 특징적인 6도와 3도 화음을 사용한다. 중간부에 위치한 제2삽입구는 전후 부분과 대조적인 코랄 형태의 주제로 진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