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산(175m)갓등산(269m)제물산(198m)골안산(190m)골안산[2](180m)큰산(119m)수월산(142m)수월산[2](131m)안산[2](81m)말두산(101m)감나무골산(84m)/경남의령
산행일자; 2025년 4월 5일 (토요일). 날씨; 맑음. 산행거리;약 12.3km 산행시간; 3시간 27분(11;39~15;07)
교통편; 안내산악회 아리솔
참가비;50,000 솔(하산 후 막걸리와 현지식당 식사제공비용포함)
산행코스: 신기정류장(경남의령군지정면봉곡리 988-4)→안산(175m) → 갓등산(259m) → 제물산(198m) → 골안산(190m) →골안산[2](180m) → 큰 산(119m) 왕복 → 수월산(142m) → 수월산[2](131m) → 안산[2](81m) → 말두산(101m) → 감나무골산(84m) → 당성곡정류장 (경남 의령군 지정면 봉곡리)
■ "안산(175m) 갓등산(269m) 제물산(198m) 골안산(190m) 골안산[2](180m) 큰 산(119m) 수월산(142m) 수월산[2](131m) 안산[2](81m) 말두산(101m) 감나무골산(84m)"은 경상남도 의령군 지정면 봉곡리에 소재한 산이다. 국립지리원 지도상 무명봉이나, 오룩스맵 Korea지도, 다음 네이버, 영진지도에 그 이름이 나오기도 한 산들이다. 등로는 양호하고 평탄한 편이어서 거리대비 시간이 많이 소요되지 않은 고즈넉한 산길이다.
■지정면(芝正面)은 대한민국 경상남도 의령군의 면이다. 군청 소재지에서 동부 쪽 26km 떨어지고 낙동강과 남강이 합류하는 지점에 있는 면이다. 따라서 두 강을 끼고 창녕, 함안과 접하고 강변평야는 근래 수리시설 완비로 농사가 잘된다. 채소와 수박 농사는 유명하나 아직도 산간 농촌이라 할 수 있다.
■의령군(宜寧郡)은 대한민국 경상남도 중앙부에 있는 군이다. 경상남도 중앙 내륙에 위치해 있으며 동쪽으로 창녕군과 함안군, 서쪽으로 산청군과 합천군, 남쪽으로는 진주시, 북쪽은 합천군과 접해있으며 그 사이에 낙동강, 남강이 흐르고 있다. 행정구역은 1읍 12면으로 되어 있으며, 군청 소재지는 의령읍 중동리이다.
현재의 의령군은 고려 시대에 신번현과 인근의 지역 일부를 합하여 형성되었다. 석기시대의 유적은 확인되지 않았다. 그러나 인근 지역에서는 어느 정도 확인이 되고 있으므로 석기시 대인들의 거주 가능성은 있다. 청동기 시대의 유적이 많이 확인되는데 대표적인 유적으로는 정곡면 오방리 · 석곡리지석묘군, 화정면 상정리 지석묘군, 가례면 수성리 지석묘군, 칠곡면 신포리 입석 군 등이 있다. 학술 발굴 조사가 실시된 석곡리지석묘군의 조사에 의하면 조성 연대는 대략 기원전 5 ~ 4세기로 추정된다. 삼국시대에 임례국(稔禮國)이 자리 잡았다. 임례국은 대가야 시대에 남가야의 중핵이었던 안라국의 옆에 있어서 안라국의 영향력 하에 있었던 듯하다. 임례국은 남가야가 559년 신라에 합병되면서 같이 흡수되었다. 이 시대의 유적으로 다수의 고분군이 산재하고 특히 운곡리고분군 및 경산리고분군은 국내에서 유일하게 일본과의 교류를 보여주는 무덤 형태가 발견되어 주목을 받고 있다. 신라는 옛 임례국의 영역에 노함현(奴(獐)含縣)을 설치하였고 757년 경덕왕 16년에 행정명칭 개혁으로 의령현(宜寧縣)으로 개명되어 함안군의 영현이 되었다.
고려시대인 1018년 현종 9년 의춘(宜春)으로 일시 개명해 진주목의 속현이 되었다. 1390년 공양왕 2년 감무가 설치되었다. 1391년 공양왕 3년 신빈현을 합병했다. 조선시대 1413년 의령현이 되었고, 1592년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곽재우 휘하의 의병이 의령과 창녕 일대에서 일본군과 항전했다.
낙동강의 본류와 지류인 남강이 합류하는 지대에 위치하고 있어 강을 접한 남쪽은 비옥한 토지로 광야가 펼쳐지고 있으며, 산간 지대에도 곳곳에 분지가 발달하여 생활환경이 좋은 곳이다. 동서가 길고 남북이 짧은 타원형으로 서북부에 해발 897m의 자굴산이 우뚝하게 섰고 동북부는 688m의 국사봉이 자리 잡고 있다. 남부는 남강을 사이에 두고 함안군, 진주시와 경계를 이루며 동부는 낙동강을 경계로 창녕군과 접하고 서부는 산청군, 서북부는 합천군과 맞닿아 있다.
의령군은 산간 내륙지방의 기후 성격을 띠고 있어 겨울에는 대륙의 영향을 많이 받아 기온의 일교차와 연교차가 크고 강수량이 적은 대륙성기후를 나타내고 여름에는 그와 반대로 바다의 영향을 많이 받는 해양성기후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2025.04.05(토요일)( 07;05) 시논현역 8번 출구에서 아리솔마운틴 클럽 대원 고속버스에 탑승합니다. 강남, 양재, 복정역을 거처 고속도로죽전 간이정류장, 신갈 간이정류장에서 대원들 탑승하니 22명입니다. 한식날 고속도로 정체되어 (09;30) 화서휴게소에서 휴게시간 약 10분(09;30~09;4) 갖고 칠서면 청게 IC 빠져나와 (11;39) 산행들머리로 잡은 "경상남도 의령군 지정면 봉곡리 988-4"신기마을 버스정류장 도착 바로 산행시작합니다.
0km 0분[신기마을 버스정류장](11;39)
경상남도 의령군 지정면 봉곡리 988-4"신기마을 버스정류장"건너편 갓길에서 마을도로 따라 산행시작한다.
(11;39) 신기마을 버스정류장입니다.
(11;39) 타고 온 산악회버스입니다.
(11;40) 신기교를 건넙니다.
(11;42) 마을도로 따르다가 우측 임도길로 진행합니다
(11;43) 신기경로당입니다.
(11;44) 임도길 초입은 비닐끈 금줄이 쳐있습니다. 산불이 심하니 경각심 금줄인 듯싶습니다
(11;45) 임도길오르막길입니다
(11;46) 대원들 계속임도길 따릅니다
(11;51) 임도 고갯마루에서 임도길 버리고 산길 진입 오름길 올라서면 안산(175m)입니다.
1.1km 21분[안산](175m)(12;00)
삼각점(남지 432) 있고, 선답자님들 표지기 많이 걸린 안산(175m) 정상이다. 갓등산 가는 길은 90도 좌향 급경사 내리막길이다.
(12;00) 안산(175m) 정상입니다.
(12;00) 안산(175m) 정상 인증사진입니다.
(12;00) 안산(175m) 정상 삼각점(남지 432)입니다.
(12;00) 안산(175m) 정상 삼각점(남지 432) 설명판입니다.
(12;03) 안산정상에서 90도 좌향 급경사 내리막길 내려 갓등산 가는 임도길로 내려섭니다
(12;03) 임도길입니다
(12;03) 임도길이 부드럽고 평탄합니다
(12;08) 임도길에서 조망입니다
(12;22) 임도길 2번째 곡각지점 임도 고갯마루에서 좌측능선을 타고 오름길 오릅니다
(12;24) 진달래꽃 만발한 등로 오름길입니다
2.8km 46분 [갓등산](259m)(12;25)
선답자님들 표지기 많이 걸린 갓등산(259m) 정상이다.
(12;25) 갓등산(259m) 정상입니다.
(12;25) 갓등산(259m) 정상
(12;33) 등로는 부드럽고 잘 정비되어 있습니다.
4.0km 65분 [제물산](198m)(12;44)
오룩스맵 Korea지도상 제물산 (198m) 정상이다. 표지기"제물산 198m 배창랑과 그 일행=山君들"건다. 선답자님들 표지기기가 옮겨진 건지 잘못 부착한 건지 약 100m 앞 이정표, 공터 빨랫줄에 매여 있다.
(12;44) 제물산 (198m) 정상입니다.
(12;44) 제물산 (198m)정상 인증사진입니다.
(12;45) 오룩스맵 Korea지도상 정상이 아닌 이정표 공터 빨랫줄에 많은 선답자님들 표지기 걸려있어 표지기 한 장을 겁니다. 공터 관리자분이 떼서 옮긴 듯싶습니다
4.3km 71분 [골안산](190m)(12;50)
오룩스맵 Korea지도상 골안산(190m)정상이다..신상호님표지기옆에 표지기 건다.
(12;50) 오룩스맵 Korea지도상 골안산(190m) 정상입니다
(12;50) 오룩스맵Korea지도상 골안산(190m)정상 인증사진입니다
4.7km 76분 [골안산(2)](180m)(12;55)
영진지도상 골안산(180m) 정상이다.
(12;55) 영진지도상 골안산(180m) 정상입니다.
(12;55) 영진지도상 골안산(180m)정상 인증사진입니다.
(13;02) 큰 산(119m)을 왕복합니다.
5.3km 85분[큰 산](119m)(13;04)
대구 김명근 님 표지기 걸린 큰 산(119m) 정상이다.
(13;04) 큰산(119m) 정상입니다.
(13;04) 큰산(119m) 정상 인증사진입니다.
5.9km 99분 [수월산](142m)(13;18)
철인부부님 표지기 걸린 수월산(142m) 정상이다.
(13;18) 수월산(142m) 정상입니다
(13;18) 수월산(142m) 정상 인증사진입니다
6.3km [수월산(2)](131m)(13;23)
산아래 수월마을에서 따온 이름인 듯싶다. 오룩스맵과영진지도상 차이에서 온 수월산 (1).(2) 다. 신상호 님 표지기가 진행방향 반대로 걸려있다. 귀찮아 수선하지 않고 그대로 둔다.
(13;23) 영진 지도상 수월산[2](131m) 정상입니다.
(13;23) 영진 지도상 수월산[2](131m) 정상 인증사진입니다.
6.5km 107분 [수월산(3)](131m)(13;26)
산이 조치요님 권도현 님 영진지도 수월산정상에 잘못 위치 선정 부착한 수월산[3](131m) 정상이다.
(13;26) 수월산[3](131m) 정상 인증사진입니다.
(13;39) 수월마을길로 하산합니다
(13;40) 수월마을회관입니다
7.5km 123분 [봉곡천교](13;42)
건너야 할 다리가 간격이 멀다.
(13;42) 우측으로 봉곡천 다리를 건넙니다.
(13;42) 봉곡천교 모습입니다
(13;42) 봉곡천 교에서 바라본 몽곡천입니다.
(13;45) 봉곡천 둑길 따릅니다
(14;06) 안산 오름길 복숭아밭 과수원 안으로 난 복사꽃 핀 임도길 따라 오릅니다.
9.4km 151분 [안산](81m)((14;10)
많은 선답자님들 표직기 걸린 안산 (81m) 정상이다.
(14;10) 안산 (81m) 정상입니다.
(14;10)안산 (81m) 정상 인증사진입니다.
(14;11) 우측능선으로 내려서는 길에 만난 청송심 씨와 그의 2부인 묘지입니다
10.5km 175분 [말두산](101m)(14;34)
여러 선답자님들 표지기 걸린 정상이다.
(14;34) 말두산(101m) 정상입니다
(14;34) 말두산(101m) 정상 인증사진입니다
(14;38) 감나무골산 가는 길입니다
(14;38) 좋아진 임도길 따르다가 거친 길로 감나무골산을 향합니다
11.6km 194분 [감나무골산](84m)(14;53)
산이 조치요님 표지기 걸린 감나무골산(84m) 정상이다.
(14;53) 감나무골산(84m) 정상입니다.
(14;53)감나무골산(84m) 정상 인증사진입니다.
(15;03)"함의로 2길"로 내려서 도로 따릅니다
(13;05) 당성곡버스정류장 3거리입니다.
(13;06) 당성곡버스정류장입니다
(13;06) 구 길가에 기다리고 있는 산악회 버스입니다.
12.3km [당성곡 버스정류장 근처 공터](15;07)
산행종료한다. 경남 의령군 지정면 봉곡리 123-3 근처다. 등로가 좋은 탓 산악회 허용시간 (17;00)까지 기준 약 2시간 일찍 산행 종료한 셈이다.
(15;07~16;05)[59분] 아리솔 마운틴 클럽 제공한 막걸리 신상호 님이 냉장고에서 꺼내 따라주신 덕분에 누리님과 건배 무사산행을 마무리합니다.막걸리1병 비우고 다른 1병더 3인 신상호님.누리님.배창랑 건배 비웁니다.배려해주신 신상호님 감사합니다. 대충 배낭 정리하고 가림막치고 차 안에서 수건에 물 져서 닦아내고 땀에 졌은 옷 새 옷으로 환복 합니다.
길이 좋아 후미들도 약 1시간 일찍 도착되어 (16;05) 날머리 당성곡버스정류장 출발 약 5분 거리 산악회가 예약한 지정 진주식당에서 즐거운 식사 약 45분(16;10~16;55) 갖고 고향산에 왔다고 유준 님이 산 아이스크림 후식으로 먹으면서 (16;55) 식당 출발 중간 문의청남대 휴게소에서 휴게시간 약 10분(19;10~19;20) 갖고 (20;55) 양재역 도착합니다. 3/9호선으로(21;25) 가양역 도착 (21;45) 귀가합니다.
명품 여성대장 장재기대장님이 선두에서 바다지 깔면서도 언제 수확한 것인지 두릅을 누리님 통해 주시 시어 제가 소량 수확한 두릅과 합쳐 물 끓여 소금 넣고 데쳐 아침식탁이 풍요로웠습니다. 맛나게 잘 먹었습니다. 올해 첫 두릅맛이 감미로웠습니다. 감사합니다.
로커스트랙지도
산행기록표 1
산행기록표 2
오룩스맵 Korea 트랙지도
e-동아트랙지도
실트랙
첫댓글 이번에는 의령 안산, 수월산 등 산군입니다.
계절의 전령인 봄꽃 향연으로 즐거운 산행이셨으리라 생각됩니다.
산하와 동요되시는 멋진 모습입니다.
늘 강건하시구요.
수고많으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