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소 부정확할 수 있습니다. 개인경험 및 주변보고 말씀드리는거라..
1) 관사가 1인1실이 많다.
=> 전국에 각 지방청을 "지원"이라고 부릅니다. 경기지원, 충북지원, 경남지원 등등이요.. 제가 있는 지원은 관사가 전부 1인1실입니다. 다만 가끔 6개월에서 길게는 1년정도 관사가 공실이 생기기를 기다려야 할 수도 있습니다. 비연고지자는 어지간해선 대기 안탑니다.
2) 원산지 단속을 제외하고는 시료채취 업무가 많다. 자차 있는 것이 좋다.
=> GAP, 친환경, 안전성, 유기자재 전부 시료채취 업무가 많습니다.
단, 안전성은 시료채취할게 사무소마다 다르지만 최소 150개~400개 사이로 많습니다. 8~11월엔 정말 매일 나가서 시료를 뗍니다. 농가와 약속도 잡아야하구요
문제는 농가들이 별로 안 좋아하는 조사라는 겁니다. 부적합 시 과태료, 직불금 감액 등 처분이 나가거든요
그래서 불응하려고 하는 농가들이 있습니다. 짜증도 내는 사람도 있구요
뭐.. 그래도 불응은 할 수 없죠 천만원 이하 과태료에 직불금 전액을 수령 못할 수도 있거든요
다행히도 GAP,친환경,안전성의 과태료 등 행정처분 및 인허가는 대부분 민간인증기관이랑 지자체가 해줍니다.
대신에 출하금지 같은 것은 농관원이 하는데 농민들이 화를 엄청 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운전은 필수구요(임용 후 6개월정도는 배려해 줄 수 있음) 자차 있는게 좋은게 관차가 2-3명당 1대라고 해도 뭔가 일정이 꼬이면 내차타고 나가야할 때가 있습니다.
3) 원산지 단속은 지역마다 다르나 남자분들이 더 맞는듯합니다.
물론 원산지 단속은 제가 몇 번 지켜본 것밖에 없지만 듣는소리에 따르면 나름 딱 떨어지는 업무라 남자직원들은 선호하는 편이라고 합니다. 기본적으로 사법경찰관신분으로 가는 것이기 때문에 악성민원이 좀 덜할 수는 있다고는 하지만 막상 유통업체나 정육점가면 칼갈고 있는 사장님도 있다고 합니다..
근데 여직원분들은 원산지 할바에 경리안전성을 하겠다는 분들도 꽤 되구요 (농관원 사무소 가장 헬조합이 경리+안전성)
4) 출장이 많은 업무와 적은 업무가 나뉘지만 보통 많다.
=> 안전성은 여름-초가을에 매일나간다고 보면 되구요, 친환경은 일주일에 2-3번 정도, GAP는 한달에 2-3번정도 나갑니다.(사무소마다 다름), 원산지도 자주나가고, 국가직직불은 부정수급 조사 빼곤 현장 잘 안나가긴 합니다. 경영체도 일주일에 2-3번정도 나가는 것 같구요
5) 전국에 사무소가 많아 이사 잘 안다녀도 된다.
=> 충북지원, 전북지원 같은 경우 특정 사무소 제외하고는 청주와 전주에서 출퇴근에 가능합니다. 그래서 국가직인데도 지방직같이 어느정도 한곳에서 머무를 수 있습니다. 검역본부, 종자원 같은 경우 권역이 넓거나 도를 넘나듭니다.
6) 지방직처럼 민원이 많지 않고 업무 질적으로는 나은 것 같다.
가족 중에 몇 분이 지방직이고 친구도 지방직 농업직이고 업무협의할때도 지방직 농업부서와 많이하지만
지방직은 공무원이 면사무소 직불같은경우 최일선에서 민원을 다 받지만 그래도 농관원은 직불업무같은 경우 이행점검총괄이라 기간제 뽑아서 그분들이 현장과 민원을 대부분 수행합니다. 물론 부정수급조사는 공무원이 하구요.. 민원인이 이행점검 결과에 거세게 항의할때는 같이 민원을 받을 때가 있습니다.
농업경영체도 개인농민은 주로 공무직이, 법인은 공무원이 합니다. 문제점은 악성민원인은 개인이라도 그 땐 공무원이 맡는다는 겁니다.
농업경영체를 제외하고는 한달에 민원업무 전화 1-3건 올까말까입니다. 기본적으로 규제 및 갑의 업무가 많습니다.(근데 민원인의 저항도 만만치는 않습니다.. 다만 지방직처럼 누구 군의원이니 이딴거 눈치 안보긴합니다. 규정대로 하는 경우가 많음(그러다 욕도 먹고..))
7) 진급은 본부<본원<지원<사무소 순으로 빠르다. 그리고 9>8급 1년, 8>7급 5년-6년, 7>6급 10년-13년정도 걸립니다.
농식품부 세종본부가 가장 빠르고 그다음에 김천본원, 다음에 각 지방청의 본부격인 "지원"이 빠릅니다. 사무소가 가장 느립니다. 그리고 지원은 일반적으로 어지간히 일을 한다는 평판이 있어야 올 수 있습니다. 물론 본인이 원하면 사무소에만 있을 수 있습니다. 업무량 기준 기피업무(막내)인 서무+안전성 조합을 하더라도 여름-초가을 시즌만 아니라면 하루 2-4시간이면 업무할 수 있습니다. 대신 바쁜시즌이면 5-7시간정도 일하겠죠.. 그래도 근무시간안에는 업무 다 끝냅니다.
8) 저는 타 중앙행정기관에서 농관원으로 넘어왔습니다 참고로.. 근데 느끼는 점은 어디나 장단점은 있는 것 같습니다.. 지금 다시 농관원과 전기관 중에서 선택하라고 한다면 그래도 농관원을 택하겠지만 어디든.. 다 장단점이 공존하는 듯합니다. 뇌를 아예 뺴고 널널하게 지내려면 전 기관이 나았으나.. 대신에 인격자체를 모독당하는 공직생활을 내내 했겠죠..
첫댓글 혹시 다른 사무소로 발령날때 며칠전쯤 알려주는지 알 수 있을까요..?🥹
3-7일전에요..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5.01.08 22:08
가능합니다. 본인이 희망하지 않는이상 타 지원은 가지 않습니다.
연고지 근처 사무소 2-3곳을 돌고 만약 연고지 근처가 도시사무소들이다.. 그러면 3번 중에 한번은 좀 더 멀리있는 시골사무소로 갈 수 있습니다.
@삼색고양이 감사합니다!
@삼색고양이 혹시 2-3곳 돌때 몇년 주기로 옮기나요??
@농이9 제가 알기론 2-3년이고요 7,6급 진급할때는 멀리 튕길 수도 있는데 이땐 1-2년만에 연고지 돌아오는게 가능합니다.
혹시 관사에 외부인(친구나 가족)은 출입금지인가요?(1인 1실의 경우)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5.01.09 10:52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5.01.09 09:54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5.01.09 09:57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5.01.09 09:58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5.01.09 10:15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5.01.09 10:27
혹시 발령은 몇년에 한번씩 날까요..?
20년 넘게 일하신 6급 정도 되시는 분들도 계속 순환근무 하나요?
궁금한게 생겨서 계속 답글을 남기게 되네요ㅠㅠ
2-3년에 한번씩이구요 20년넘게일해도 순환은합니다.
집근처돌아요 그래두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5.01.16 01:55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5.01.16 09:18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5.01.21 22:53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5.01.21 22:55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5.01.21 23:07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5.01.21 23:16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5.01.21 23:28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5.01.21 23:32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5.01.21 23:33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5.01.21 23:34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5.01.21 23:37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5.01.21 23:44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5.01.21 23:44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5.01.21 23:50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5.01.21 23:52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5.01.21 23:52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5.01.21 23:55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5.01.24 16:56
행정직이랑 농업직이랑 하는 일 같아요 원래
그래도 행정직은 서무나 회계 맡으려고 하면 더 잘맡는 것 같기두 하고...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5.01.24 16:56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5.01.24 16:53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5.01.24 16:55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5.01.24 16:57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5.01.24 16:58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5.01.24 17:10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5.01.24 17:14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5.02.14 09: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