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ttps://namu.wiki/w/%EA%B0%9C%EC%9D%B8%EC%A0%95%EB%B3%B4%20%EC%9C%A0%EC%B6%9C%EC%82%AC%ED%83%9C

2006~2008년 하나로텔레콤
2008년 옥션
2008년 9월 GS칼텍스
2010년 3월 25개 업체
2011년 4월 플레이스테이션 네트워크
2011년 7월 네이트 싸이월드
2011년 11월 넥슨 메이플스토리
2012년 7월 KT
2012년 8월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2013년
2013년 2월 액토즈소프트
2013년 10월 어도비
2014년
2014년 1월 국민카드, NH농협카드, 롯데카드
2014년 1월 네이버
2014년 3월 KT, 티몬, 올레뮤직
2014년 3월 SKT, LG U+
2014년 3월 국민카드, 농협카드, 신한카드, 시티카드
2014년 4월 하트블리드 사태
2014년 4월 천재교육
2014년 4월 스킨푸드
2014년 5월 서울시 공공서비스 예약 홈페이지
2014년 5월 토니모리
2014년 5월 이베이
2014년 6월 샵메일
2014년 7월 아프리카TV
2014년 7월 능률교육
2014년 8월~9월 아이클라우드
2015년 3월 아이핀
2015년 9월 뽐뿌
여기 기록된 사건만이 전부가 아니다. 인터넷 언론에만 보도된 사건도 많다는 점을 기억할 것.
대한민국 기업들의 보안 인식 수준과 개인정보 취급 수준이 얼마나 시궁창인지 알 수 있는 사례들의 모음집...인줄 알았는데 일본에서 사례가 하나 생겨서 세계구 항목으로 바꾼다. 다만 해외 사이트의 경우 주민등록번호같은 민감한 정보는 애초에 요구하지도 않으므로 한국의 유출 사건보다 임팩트가 미미하며, 비밀 번호/카드 번호만 완전히 새걸로 바꿔주면 다시 안전해진다.
잊을 만 하면 크게 한건씩 터져서 분명히 '개인정보를 잘 관리하겠다'고 적어놓은 약관에 동의한 소비자들을 엿먹이고 있다. 더군다나 집단소송이 걸려도 가입자들이 보상을 받는 경우는 거의 없다. 게다가 개인정보 유출 당한것을 모른다거나 돈을주고 해커를 입막음 하기도 하며 알면서도 언론에 숨기는 건수까지 생각하면... 이쯤되면 개인정보가 아니라 공공정보
첫댓글 08년 GS칼텍스인가 소송참여했는데 변호사 배만 불려주고 끝 ㅋㅋ멍청했...
대한민국 개인정보는 뭐 전세계적 공유재 아닙니까 ㅋ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