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tGPT 방에 들어가 두 번째 질문 해 봤다. 첫 번째는 한국 봄에 대한 대표적인 시(詩)를 알려달라고 해서 답을 받았다.
2023, 02, 20 ‘챗GPT를 설치하고’ 제호로 본카페에 게재한 바 있다. 먼저 ‘독도는 어느 나라에 속하느냐’ 물어봤다.
한국에 속한다고 나온다. 다만 일본과 다툼의 소지가 있다고 한다. 영문으로 똑같이 물어보면 똑같은 대답이 영문으로 나올
것이다. 세계 어느 곳에서도 독도는 한국 땅이라고 할 것이다. 그래서 다툼의 소지를 없애는 방책이 무엇이 있느냐 물어봤다.
방책에 대해서는 명확하고 확실한 방안이 안 나오고 두리뭉실한 대답이 나왔다. 일본하고 협력, 협의 어쩌고 한다.
이 문제에 관하여 일본과 협의할 것이 무엇이 있으며 또 협의가 되겠는가? 저의 개인적인 생각과 마음은 - 역사적으로
한국 땅이 분명 하니 세계인이 압력을 넣어서 일본이 깨끗하게 잊고 포기하는 것이 최선의 방안이라 나왔으면 얼마나 좋았을까.
불만족하게 나왔다. 참고하시기 바란다.
독도는 어느 나라의 땅인가 알려줘
ChatGPT
독도는 한국에 속해 있습니다. 독도는 동해에 위치한 작은 섬으로, 일본에서는 "Takeshima"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하지만
독도는 한국의 통치 아래에 있었던 역사적인 증거와 지리적 사실에 근거하여 한국의 영토로 인정되고 있습니다. 한국 정부는
독도를 한국의 일부로 여기고, 경찰서를 설치하고 관리하며, 한국인들의 입도와 어업 활동을 허용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독도에 대한 주권 문제는 한일 양국 사이에서 여전히 논쟁의 소지가 있는 문제입니다.
역사적인 근거를 좀 더 구체적으로 알려줘
ChatGPT
독도가 한국에 속해 있다는 역사적인 근거는 여러 가지 요소로 구성됩니다. 다음은 그중 일부입니다.
역사적인 기록: 512년부터 1454년까지의 기간 동안, 한반도와 독도를 통치한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의
1. 역사적 기록에 독도의 소유권이 기재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기록들은 독도가 한국의 영토로 여겨졌던 오랜 역사를 나타냅니다.
2. 한국 왕조의 통치: 고려와 조선 왕조는 독도를 통제하고 지배했습니다. 예를 들어, 조선시대의 16세기에 편집된 지리서인
"동국여지승람"에는 독도가 한국의 영토로 기재되어 있습니다.
3. 한일 조약: 1905년에 체결된 한일 강제병합 조약인 '한일병합조약'은 일본이 한국을 식민지로 만들기 시작한 시기입니다.
이 조약에는 독도가 한국에 속한다는 기재가 있습니다. 또한, 1910년에 체결된 '한일병합조약' 역시 독도가 한국에 속해 있다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4. 국제사회의 인정: 제2차 세계대전 이후에 독도는 일본의 식민지 지배에서 벗어나 한국에 복귀했습니다. 이후 국제사회에서도
한국의 주장을 지지하는 입장이 많았습니다. 예를 들어, 1951년에 체결된 '국제통상기구 협약'과 1965년에 체결된 '한일청구권협정'에서는 독도를 한국의 영토로 인정하는 내용이 담겨 있습니다.
이러한 역사적인 근거들은 독도가 한국의 영토로 여겨져 왔으며, 한국 정부와 일본 정부 사이에서 주권 문제로 계속해서 논쟁의
소지가 되고 있습니다.
일본 정부와 논쟁의 소지를 없게 할 수 있는 방책에 대하여 알려줘
ChatGPT
독도에 대한 한일 간의 논쟁을 해결하고 논쟁의 소지를 없애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책들이 고려될 수 있습니다:
1. 국제 조정: 독도 논쟁을 중재할 수 있는 중립적인 국제 기구나 조직을 찾아 협상과 조정을 시도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양국
사이의 분쟁을 외부 중재로 해결하고 공정한 해법을 찾을 수 있습니다.
2. 역사적인 조사와 공유: 독도와 관련된 역사적인 기록과 자료들을 공유하고 조사하는 공동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역사학자, 학자, 전문가들의 협력을 통해 객관적이고 합의된 사실을 근거로 하여 독도에 대한 이해와 인식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3. 평화적인 교류 및 협력: 한일 양국의 관계를 개선하고 상호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평화적인 교류 및 협력을 증진시킬 수 있습니다. 문화, 경제, 교육, 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국제 교류, 학술 협력, 문화 교류, 학생 교류 등을 활발히 추진함으로써 상호 신뢰와
협력을 증진시킬 수 있습니다.
4. 지역 협력과 협의: 독도를 포함한 동해 지역의 안보와 자원 관리, 환경 보호 등의 문제에 대해 한일 양국과 주변 국가들이 협력하고 협의할 수 있는 지역적인 협력 구조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지역 안보 협력체나 환경 보호 기구 등을 통해 동해의 안정과 발전을 위한 공동노력을 추진할 수 있습니다.
5. 공동 연구 및 자원 공유: 독도 주변 해역의 자원 관리와 보전을 위한 공동 연구 및 자원 공유 계획을 추진할 수 있습니다.
양국의 학계와 연구 기관들이 함께 연구를 수행하고 자원 공유 협정을 체결하여 상호 혜택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안들은 독도 논쟁의 해결을 위한 다양한 접근법을 제시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