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작품에 나타난 봄
(1) 문학
정학유(丁學游)의 작품으로 알려진 <농가월령가>에서는 봄의 계절적인 변화와 농촌에서의 할 일 등을 가사체로 노래하고 있다. 먼저 1월에 관해서는 “졍월은 츈이라 립츈 우슈 졀긔로다”라고 절기를 말한 뒤에, 1월이 한 해의 시작이며 그 시작은 봄이라는 계절의 새로운 빛으로 이루어짐을 묘사하였다. 2월 부분에서는 봄이 바야흐로 무르녹는 모습을 풀빛이나 개구리 또는 묏비둘기 등의 동식물을 통하여 그려내고 아울러 봄농사가 시작되는 것을 말하고 있다. 이어 3월에 대해서는 꽃과 새를 통하여 봄의 화창하고 생동하는 계절 감각을 노래하고 있다. 봄철의 모습이나 느낌을 나타내기 위하여 꽃과 새를 소재로 하는 것은 우리 문학에 있어 매우 보편적인 현상이다. 이 밖에도 봄철을 나타내는 보편적인 소재로 봄바람·봄비 같은 자연현상이라든가 풀이나 개구리 같은 동식물이 등장하기도 한다.
그런가 하면, 세시풍속을 소재로 해서 봄의 계절감을 나타내기도 하고, 별다른 소재 없이 봄 그 자체를 생동감이나 화창함 또는 소생의 의미로 상징화해서 표현하기도 한다. 구체적인 소재를 통해서든지, 아니면 봄 그 자체를 상징으로 하든지, 봄에 대하여 주어지는 의미는 봄이라는 계절의 속성이라 할 수 있는 ‘새로움·시작·생명력·순환’ 등이 주류를 이룬다. 그런데 봄에 대한 정서적 반응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볼 수 있다. 하나는 봄의 온화하고 화창한 경물(景物)에 접해서 느끼게 되는 흥겨움이다. 이 흥겨움을 가리켜 흥취라고도 하고, 이 흥취는 자연에 묻혀서 즐기는 풍류라는 것으로 발전하기도 한다. 그런가 하면 봄이 가지는 화창함이나 순환성에 비하여 괴로움 많고 유한한 인생이라는 대비에서 오는 비애감도 봄에 대한 정서적 반응의 또 다른 한 측면을 이루고 있다. 고전 작품에 나타난 것을 보면, 먼저 신라 때 화랑 득오(得烏)가 지은 <모죽지랑가 慕竹旨郎歌>에서 “간봄 그리매 모든 것 우리 시름……”(양주동 해독에 의함.)이라는 표현이 나온다. 이는 가버린 봄, 즉 지나가 버린 세월이라는 뜻에서 돌이킬 수 없으므로 아쉽다는 정서를 나타내고 있다. 고려 시대의 노래 <동동 動動>은 월령체의 노래로서 계절의 감각을 풍성하게 보여주고 있다. “정월(正月)ㅅ 나릿므른 아으 어져녹져 논 누릿 가온 나곤 몸하 올로 녈셔……”라 함으로써 1월은 얼음이 녹는 계절이므로 시작이라는 의미를 환기시키고 있다. 또한 자연의 이법은 그러한데 인간인 나는 홀로 지내고 있음을 드러내어 자연에 상반하는 인간사의 비애를 노래하였다. 2·3월의 노래에서는 “이월ㅅ보로매 아으 노피 현 등(燈)ㅅ불 다호라 만인(萬人) 비취실 즈 샷다……”로 현등(懸燈)의 세시풍속을 통하여 봄을 노래하였고, “삼월나며 개(開) 아으 만춘(滿春) 욋고지여 브롤 즈 디녀 나샷다……”라고 해서 꽃을 통한 계절감을 노래하였다. 역시 고려 때 노래인 <만전춘별사 滿殿春別詞>에서는 “경경(耿耿) 고침상(孤枕上)애 어느 오리오 셔창(西窓)을 여러(發)두다 도화 시름업서 쇼츈풍(笑春風)다 쇼츈풍 다.”라고 하여 복숭아꽃의 아름다움에 비하여 상반되는 인간의 고독을 상대적으로 드러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