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R 4판을 생각하지 말고 통합서지용 KORMARC 형식의 범위에서 아래 형식의 범위를 확인하세요
① 형식의 범위
통합서지용 KORMARC형식은 인쇄 또는 필사된 도서, 계속자료, 전자자료, 지도자료, 녹음자료, 시청각자료, 고서, 복합자료의 서지정보를 담을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서지데이터에는 공통으로 자료의 표제, 저자명, 판사항, 발행사항, 형태사항, 주제, 주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자료의 형태에 따른 서지형식은 다음과 같다.
유형구분 | 세부 유형 |
도서(BK) | 단행자료의 특성을 가지고 있는 인쇄물, 필사본, 마이크로자료 |
계속자료(CR) | 종간을 예정하지 않고 시간적 간격을 두고 발행되는 서지적 자료, 연속간행물과 계속갱신자료 |
전자자료(ER) | 컴퓨터 소프트웨어, 수치데이터, 컴퓨터 의존형 멀티미디어, 온라인시스템 또는 온라인 서비스 등 부호화된 전자 정보원 |
지도자료(MP) | 인쇄, 필사 또는 마이크로자료 등 모든 형태의 지도로서 책자지도, 낱장 지도, 구체 등 |
음악/녹음자료(MU) | 인쇄, 필사 또는 마이크로자료 등 모든 형태의 음악자료와 음악 이외 녹음자료 |
시청각자료(VM) | 평면영사자료, 평면비영사자료, 입체자료, 실물자료, 키트 |
고서(RB) | 대한제국(1910) 이전에 간인되거나 필사된 동장본 |
복합자료(MX) | 주로 여러 형태가 혼합되어 수집된 문서나 필사자료 |
첫댓글 감사합니다. 이렇게 이해하면 될 것 같습니다.
원래 기출문제는 "별도 종류의 레코드'로' 구분하지 않는다" 라고 되어있네요. 사소한 오타이지만 다음에 개정하실때 수정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책 오타를 어디에 신고할수 있는지 몰라서 하나 더 남깁니다.
자료조직론 핵심정리편 307페이지 36번 문제 네모표에서
산행'과' →산행'은' 으로 수정해야 할 것 같습니다.
네 내년에 반영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