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역사 7월25일
2009년 7월25일...의정부 경전철 구조물 붕괴 사고
2009년 7월 25일 오후 의정부 경전철 제2공구 공사현장에서
대형 철골구조물 이 무너져 김모씨 등 한국인 인부 3명과
베트남 출신 외국인노동자 2명이 숨지고,
한국인 5명, 중국동포 1명, 베트남인 2명 등 인부 8명이 부상했다.
이 사고로 죽거나 다친 인부들은 그동안 공사현장 인근에
컨테이너 박스를 개조해 만든 숙소에 머물며
월 120만~200만원 안팎을 받고 밤낮없이 일했다.
이날 오후 7시20분쯤 의정부시 신곡동 드림밸리아파트와 부용천
사이에 건설 중이던 12m 높이의 교각에서 대형 철골구조물이 내려앉았다.
◈ 오늘의역사(1900년대)7월25일◈
🌲20년 오상순 염상섭 변영로 등, '폐허' 창간
🌲21년 안용도가 지휘하는 의용대가 흥원군을 습격 하여
일본군과 교전 : 일경 2명 사살함.
🌲22년 전국 기자연맹 결성
🌲39년 경춘선(성동-춘천) 철도개통
🌲44년 신임 총독에 아베 노부유키 임명됨.
🌲46년 좌우합작위원회발족(김규식·안재홍·여운형 등)
🌲54년 이승만 대통령 미국방문(∼8월13일) 한국군 20개 사단 증강 요청
🌲55년 美 극동지상군 사령관 및 8군 사령부 서울로 이전 결정,
美 사령관에 화이트 대장
🌲64년 한국 최초의 국악 관현악단 설립
🌲68년 문화공보부 정식 개청
🌲69년 박정희 대통령, 7.25담화 발표(개헌 표결로 신임 묻겠다)
🌲69년 닉슨 미대통령, 아시아 국가 부담을 강조한 '괌 독트린' 발표
🌲70년 한ㆍ미, M16소총 공장건설 차관 합의
🌲70년 남산 어린이회관 개관
🌲77년 브라운 미국 국방장관, 박정희 대통령에 카터 대통령의 친서 전달
🌲77년 노조탄압 항의 집회중인 동일방직 여성 노동자들,
작업복을 벗고 알몸으로 경찰의 강제 해산에 항거.
🌲81년 니혼케이자이신문(일본경제신문),
한국이 60억 달러의 차관을 일본에 요청했다고 보도
🌲81년 경제기획원, 외국기업의 국내 투자문호를 확대.
427개 업종에 외국인 투자를 허용
🌲84년 대낮 러브호텔 투숙 급증-재미교포가 고발 투고
🌲84년 박종규 대한사격연맹 회장, IOC위원에 피선
🌲85년 정부·여당, 폭력·좌경화에 제도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학원안정법 제정을 추진하기로 결의
🌲85년 경찰, 자유실천문인협의회 기관지 월간 '민족문학 5' 압수
🌲86년 경주 용강동 고분에서 국내 최초로 토용 발굴
🌲89년 평민당, 서경원 의원의 밀입북시 김대중 총재의 대북 친서
전달설에 항의,- 무기한농성에 들어가
🌲89년 영 호남에 집중 폭우-태풍 주디 상륙 인명피해 113명 이재민 5만2000명 발생
🌲89년 서문여고 교장 요청으로 고교 첫 경찰투입, 전교조 가입교사 18명 연행
🌲90년 정원식문교부장관, 부산대학교 방문,
부산대생 150여명의 출입구 봉쇄로 4시간 10분 동안 갇혀.
🌲90년 정부, '군비통제기획단'을 대통령 외교안보 보좌관 지휘 아래 두기로 확정.
🌲90년 한국은행, 아시아 신흥공업국(NIES)들이 빠른 속도로
우리나라를 추격하고 있다고 분석.
🌳91년 한.미, 유사시 한국에 파견될 미군 증원군 군수 지원 사항을 담은
전시 접수국 지원협정안에 가서명
🌲91년 건대, 부정입학 사건-성균관대 이대, 이사장 총장 교수 쇠고랑
🌲91년 동력자원부, 2001년까지 전국에 원자력 발전소를 포함,
모두 60기의 발전소를 건설키로.
🌲91년 춘천 과 포천 등지에 최고 308.5mm까지의 폭우가 쏟아져 1
1명이 숨지고 9명이 실종.
🌲92년 교차로 3중 추돌 참사-경남 산청 산청읍 승용차- 관광버스-트럭
🌲92년 서울에 도착했던 북한 김달현 부총리는 6박 7일간의
일정을 마치고 판문점을 거쳐 평양으로 귀환.
🌲92년 한국대표선수단 319명(선수 272명.임원47명) 스페인 바르셀로나
제25회 하계올림픽에 참가.
🌲95년 서울지검, 삼풍백화점 붕괴사고는 설계.시공 및 유지관리상의
결함이 복합적으로 작용-수사결과 발표
🌲95년 정부, 연변에서 선교활동 중 안승운 목사 (여의도 순복음교회) 납북 발표
🌲96년 신한국당, 해외동포 및 자녀들의 한국방문과 현지 문화행사 등 지원
`해외동포재단'을 설립키로
🌲96년 공노명 외무장관, 첸치천 중국 외교부장과의 회담(자카르타)
🌲96년 북한, 미국에 대해 남북한 경계선에서의 충돌을 방지할
협정체결 촉진 위해 군사접촉 채널 구축을 제의
🌲98년 군당국, 북한이 남침용 땅굴 21개를 군사 분계선 남쪽을 향해 파고 있으며
7개는 위치를 파악 시추중
~~~~~~~~~~~~~~~~~
왼쪽부터 후세인 요르단 국왕, 라빈 이스라엘 총리, 클리턴 미국 대통령.
▶1994년 이스라엘-요르단, 46년간 적대관계 청산 선언
이츠하크 라빈 이스라엘 총리와 후세인 요르단 국왕이 1994년 7월 25일
워싱턴에서 양국 정상간 사상 첫 공식회담을 갖고
지난 46년간 지속된 해묵은 적대관계의 청산을 선언하는 공동선언에 서명했다
~~~~~~~~~~~~~~~~~
1974년 7월25일우리나라 추상화의 선구자 김환기 사망
~~~~~~~~~~~~~~~~~
▶1992년 제25회 바르셀로나올림픽 개막
~~~~~~~~~~~~~~~~~
1920년 7월25일..오상순 염상섭 변영로 등, '폐허' 창간
한국문학은 20세기 현대사의 구조적 모순을 비유와 상징의 언어로 표현한 결과물이다.
사실, 해방공간을 견뎌 낸 한국문인들의 창작(創作)과 절절한 체험은
세계문학사에 유례가 없는 일이다. 국권(國權)을 잃었고 말과 글,
이념과 풍속의 갈등을 겪었으며 해방 후 동족상잔(同族相殘)과 전쟁,
여기다 가난과 독재, 산업화와 민주화의 세례를 압축적으로 체득(體得)해야 했다.
지금은 폐간된 옛 잡지를 펼쳐보면 시대를 풍미한 당대
문인들의 이야기가 여전히 살아 숨을 쉬고 있다.
때론 궁벽하고 구차하며 의뭉스럽지만 현대사를 버텨 낸 ‘민얼굴’이 아닐 수 없다.
비록 지금은 기억조차 바랬지만, 시간의 먼지를 탈탈
털어내 문인들의 실화(實話)를 발굴해 소개한다.
~~~~~~~~~~~~~~~~~
2001년 7월 25일 프랑스 소장 외규장각 도서 297권을
국내 고문서와 맞교환 하기로 합의
2000년 11월 9일 덕수궁 앞에서 연세대 조하현교수(왼쪽)를 비롯한
대학생들이 프랑스의 외규장각 도서반환을 요구하는 항의집회를 벌이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