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컵 기간 중국 내 한국 유학생들과 중국 학생들 간 갈등이 심화됐던 것으로 밝혀졌다. 베이징 차오양구의 제2외국어대학에서는 지난달 25일 한국-독일전이 끝난 뒤 외국인 기숙사 앞에서 중국 학생들이 한국 학생들에게 욕설을 퍼붓고, 붉은 악마 티셔츠를 불태우려 했다고 현지 유학생들이 전했다. 당시 중국 학생 300여명은 응원 뒤풀이를 위해 2호 기숙사 앞에 모인 한국 유학생 50여명에게 '대~한민국 XX', '미친 X들' 등 욕설을 퍼붓고 자신들이 구해온 붉은 악마 티셔츠를 나무막대에 걸고 흔들며 불태우려다 학교 경비원의 제지를 받았다는 것이다.
일부 중국 학생들은 한국 연예인 김희선의 포스터 사진에 'TO DIE'라는 글귀를 써넣어 흔들기도 했다고 목격자들은 말했다. 인근 중국 학생 기숙사에서는 한국 학생들을 향해 빈 물병과 오물을 투척하기도 했다.
이튿날 한국 학생회는 학교 외사처장과 중국 학생회 간부들을 만나 이 사태를 항의했으나 중국 학생회측은 '주동자가 이 학교 학생이 아닌 외부인'이라고 변명했다고 한국 학생들은 전했다.
한국 유학생 Y모씨는 '중국 학생들은 자신들이 숭배하는 이탈리아, 스페인 축구팀이 한국에 패하자 흥분했다고 해명하지만 그들의 심리를 이해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일부 한국 여학생들은 월드컵 경기가 끝난 뒤에도 혼자 기숙사를 나서거나 중국 학생 만나기를 꺼리고 있다.
중국 최고의 명문이라는 베이징대에서도 중국 학생들이 대학 인터넷 홈페이지에 '대한민국'을 '대한견국(大韓犬國)'으로 표기하고 '더러운 한국'이라는 과격한 표현을 구사하는 등 한국을 비방하는 글들이 폭주했다. 한 중국 학생은 한국과 포르투갈전에서 한국팀을 응원하는 글을 띄웠다가 '매국노'로 매도됐다고 현지 유학생들이 전했다. 베이징 최대 번화가인 왕푸징(王府井)에서도 월드컵 기간 중 한국 학생들과 중국 젊은이들 사이에 충돌이 일어난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 학생들이 이처럼 반한(反韓) 감정을 갖게 된 것은 CCTV 등 중국 언론들의 한국 비방에 큰 영향을 받은 것으로 재중(在中) 한국인들은 분석하고 있다. 일부 중국 언론들은 한국과 이탈리아전을 보도하면서 '한국이 심판의 편파판정으로 승리한 것은 세계 축구사의 치욕'이라는 과격한 표현을 동원하기도 했다. 재중 한국인회 간부를 역임한 한 한국 기업인은 '중국 젊은이들의 반응이 이해가 되지 않지만 양국 관계를 위해 더 이상 문제가 악화되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 베이징=여시동 조선일보 특파원 sdyeo@chosun.com>
*** 사실 이 전부터 이런 기사를 월드컵 기간동안 접해지만 이정도로 심각한지는 몰랐다. 진짜 뭐 얌전히 있는 사람 몰매맞은 기분이랄까?
중국사람들이 언제 이렇게 쫀쫀해져나 그리고 사리분별이 없나 싶다.
나이지리아가 돌풍을 이르키며 아프리카의 여러국가들이 월드컵에서 강호들과 만날수 있는 좋은 경험의 기회가 많아지게 되었다.
히딩크가 한국에 와서의 한국팀의 진단은 우리들 상식과 다른 것이었다.
무엇보다 아시아의 강호라는 우리들이 세계무대에서 지는 이유는 기술력부족이라는 식이였지만 무엇보다 히딩크 감독은 예선전에서 유럽처럼 강팀을 만나지 못함으로서 경기력을 향상시킬수 없었고 그러다 보니 막상 강팀을 만나면 그때서야 보이지 않던 취약점이 무더기로 노출되는 것이라고. 그러면서 히딩크는 초기 오대영이라는 오명의 닉네임을 달아고 우리는 과연 월드컵을 제대로 치룰수 있을까 하는 약몽과 쇼커에 시달렸다. 그러나 진정한 성장은 현실의 자신에 대한 뼈아픈 성찰과 상대에 대한 존중 속에서 이루어 짐을 히딩크는 우리에게 보여 주었고 그렇게 우리는 오대영의 팀에서 강팀에게 주둑 들지 않는 자신감있는 팀으로 그렇게 팀 뿐 아니라 온국민이 한단계 성장했다고 확신한다.
예전에 우리가 강팀을 한번 불러 볼라면 굽신굽신에 높은 돈을 지급해지만 이제는 우리가 당당해질수 있게 되었다.
한국의 성장은 비단 한 국가의 승리가 아니라 한중일 아시아의 성장을 가져 올것이며 한국과 경기를 그래도 쉽게 가질수 있는 중국에게는 더큰 밑거름이 됨은 자명하다. 물론 우리의 이런 성장에는 일본의 자극이 촉매임을 한국인은 너무도 잘 알고 있다.
중국 언론을 보면 잘은 모르지만 너무 오버가 많고 기자들의 자위적 기사들이 많은 것을 볼수 있다. 물론 우리 나라도 그렇지만 국가와 국민이 바르게 성장하기 위해서는 현대의 언론은 너무도 중요하며 중국의 cctv는 과연 양국간에 무엇이 도움이 될수 있는지 다시금 생각해 보아야 할것이다. 지금까지 좋았던 양국의 우애가 이런 생각지도 않는 곳에서 터지는 것을 보면 안타깝고 씁씁해 진다.
Pride Asian라은 붉은악마의 카드섹선이 다시금 상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