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계 |
갈래 |
발제 예시 |
1단계 관심 트기
판짜 마당 |
흥미유발 |
훈민정음이 창제되지 않았다면 오늘날 어떻게 되었을지 가상 이야기의 줄거리를 써보자. |
제목연상 |
문자혁명으로 볼 수 있는 근거 세 가지를 네 문장 이내로 써보자. | |
활동제안 |
훈민정음 발전 공로자 28명을 뽑아 보자. | |
미리조사 |
28자는 무엇이며 오늘날은 왜 24자가 되었는지 없어진 글자를 조사해 보자. | |
2단계 이해 트기
또렷 마당 |
낱말문장 |
“이제 한글의 주인은 한국인이 아니라 인류여야 한다.(238쪽)”라는 문장이 뜻하는 바는 무엇인가? |
특정 내용 |
조선시대 훈민정음 보급의 1 등 공로자로 왕실 여성들을 뽑은 이유는 무엇인가? | |
전체 내용 |
각 장마다 핵심 주제를 한 문장으로 줄여 보자. | |
저자생각 |
왜 훈민정음을 조화의 문자라고 했을까? | |
3단계 생각 트기
토론 마당 |
토론주제 |
3장 최만리와 세종의 토론에서 누가 더 옳은가? |
내용기준 따져보기 |
최만리 언어관에 대해 사회적인 측면과 국가적인 측면에서 논의해 보자. | |
입장별로 따져보기 |
최만리 언어관에 대해 그 당시 다양한 양반(사대부)들 입장에서 생각해 보자. | |
다른 글과 견줘보기 |
다음 두 책과 이 책을 비교해 보자. 이정명(2006). 뿌리 깊은 나무 1․2. 들녘. 배유안(2007). 초정리 편지. 창작과비평사. | |
4단계삶터 트기
실천 마당 |
도움찾기 |
이 책을 읽고 가장 많은 도움을 받은 것은 무엇인가? |
문제찾기 |
이 책의 문제는 무엇인가? | |
실제적용 |
세종이라면 영어 몰입교육에 대해 어떻게 생각할까? | |
쓰기 종합 |
3단계 토론이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천 자 칼럼을 써 보자. 4단계를 종합하여 서평을 다섯 단락으로 써 보자. |
◑ 알차고 재미 있는 또물또 독서활동(고나혜)
[1] 세 가지 기준을 세워 각기 다른 방식으로 밑줄을 그어 보자.
예) 재미있는 곳/영원히 기억하고 싶은 곳/비판하고 싶은 곳/애인에게 들려주고 싶은 곳…
갈래 |
기준 |
실제 보기 |
#1 |
중요한 것(파란색으로 밑줄) |
훈민정음은 언어학자이고 여러 학문에 능통했던 세종이 만든 문자이다.(135쪽) |
#2 |
교사가 되어 학생들에게 알려주고 싶은 것(빨간색으로 밑줄) |
훈민정음은 그 시대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문자였을 뿐 아니라 시대를 뛰어넘는 더욱 중요한 문자로 자리매김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인지 훈민정음을 아는 외국 전문가들은 최고의 찬사를 퍼붓고 있다.(134쪽) |
#3 |
궁금한 것(초록색으로 밑줄) |
정초와 함께 대통력을 개정하고 칠정산내편을 저술하는 등 역법을 정비하는 등 문화사업을 주도하였다.(173쪽) |
[2] 어디다 붙뗄쪽지(포스트잇,붙임쪽지)를 붙일지 기준을 세워보자.(세 가지 기준)
갈래 |
기준 |
실제 보기 |
#1 |
훈민정음과 관련된 중요한 필기 =>노란색 |
ㆍ음성, 음운을 체계적으로 정리해 훈민정음 만든 것은 근대적 ㆍ소리의 차이를 인식해서 훈민정음 만든 것은 탈근대적 ⇒ 세종은 근대와 탈근대적 사유를 넘나들었다. 훈민정음은 통합문학의 꽃. (167쪽에 필기해서 붙이기) |
#2 |
용어 설명 =>하얀색 |
다층적 : 최소한의 문자로 그것을 확장하여 만듦. (197쪽 모음자 입체 구조도 옆에 필기해서 붙이기) |
#3 |
암기해야 할 부분 => 분홍색 |
우리말 표기에 쓰인 실제 자음은 34자이다. (197쪽 자음자의 구성도 옆에 필기해서 붙이기) |
[3] 딴죽걸기
1. 각 장마다 한 구절이나 한 문장, 한 단락 가운데 자유롭게 한 군데씩 골라 딴죽을 걸어보자.
차례 |
딴죽 걸곳(쪽수 밝힘) |
딴죽걸기 까닭 |
1장 문자의 새벽 |
양반지배층들은 우리나라를 ‘작은 중국(소중화)’으로 여겼으므로 이러한 한문 쓰는 능력을 그들만의 특권으로 여겨왔고 적극적으로 우리 입말에 맞는 글말을 만들 생각을 하지 않았다. (140쪽) |
특권으로 여겼다고 해도 말과 글이 다른 이중적인 언어생활로 많이 불편했을텐데 전혀 글말을 만들 생각을 하지 않았을까. |
2장 훈민정음 창제 목표 달성의 배경 |
세종이 훈민정음 창제에 성공한 것은 근본적으로 음악에 대한 조예가 있었기에 가능했다. (159쪽) |
훈민정음 창제 성공을 음악에 대한 조예 때문만이라고 말할 수 있을까. 음악에 대한 조예 때문이라고 단정 짓기보다는 다른 이유도 생각해 봐야할 듯하다. |
3장 훈민정음 창제와 완성을 도운 사람들 |
이렇게 보면 훈민정음 해례본 세종과 8명의 공동 저술이고 이것이 객관적으로 드러나 역사의 진실이다. (169쪽) |
8명만을 공동저술자로 보고 있는데, 그 외에 도움을 준 사람은 없을까? 과연 이 8명뿐일까? |
4장 훈민정음 만든 원리와 풀이 |
이용준은 이 서재에서 이 책을 발견하과 전형필님에게 넘겨 세상에 공개된 것이다. 어쨌든 이 귀중한 책이 발견된 것은 한문에 밝은 이용준의 공이다. (180쪽) |
훈민정음 해례본을 일부러 손상시켜 팔았다고 볼 수도 있는데 과연 이용준의 행동을 긍정적으로만 볼 수 있을까. |
5장 훈민정음 보급과 발전 |
흔히 한자는 뜻글자, 일본의 음절 문자, 영어의 음소 문자를 훈민정음과 함께 소리문자라고 묶는다. 이는 소리에 대한 모독 이다. (185쪽) |
음절, 음소도 소리와 관계된 것인데 소리에 대한 모독이라고 단정지어 말할 수 있는 것인가. |
에필로그: 모든 알파벳의 꿈, 훈민정음 |
고문법 제본 교재에는 없는 내용입니다. |
|
[3] 내삶걸기(조별 활동)
딴죽 걸기 가운데 한 문제를 골라 걸판지게 토론해 보자.
4장의 딴죽걸기에서 이용준의 행동을 긍정적으로만 볼 수 있는 것인지를 토론하고 싶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