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의 종류(갈래)
: 첫째줄 2칸부터 글의 종류를 쓴다. 글의 종류는 우리가 알고 있는 글의 갈래를 말하며 <동시>, <설명문>, <논설문>, <독서감상문>, <기행문>, <수필> 등이 있다.
- 제목
: 첫 줄 비우고 둘째 줄 가운데에 쓴다.
1) 제목이 짧을 때 → 한 칸씩 띄어 써도 좋다.
2) 독서감상문을 쓸 때 → 느낀 제목과 책제목을 따로 쓸 때가 있다. 2) 이럴 때는 책제목을 느낀 제목 아랫줄의 중간에 오도록 쓰고 양 끝에 줄표를 한다.
|
< |
독 |
서 |
감 |
상 |
문 |
> |
|
|
|
|
|
|
|
|
|
|
|
|
|
|
|
|
|
|
내 |
가 |
|
깨 |
달 |
은 |
|
행 |
복 |
|
|
|
|
|
|
|
|
- |
' |
아 |
홉 |
살 |
|
인 |
생 |
' |
을 |
|
읽 |
고 |
- |
|
|
|
- 소속(학교 · 학 반)
: 제목 밑줄에 오른쪽에서 세 칸 비우고 쓴다(소속은 제목 아래 한 행을 띄우고 다음 두 행에 쓰는 것이 원칙이나, 제목 바로 다음 행부터 오른쪽으로 두 칸 정도 비우고 쓰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비 |
|
오 |
는 |
|
창 |
문 |
|
|
|
|
|
|
|
|
|
|
|
|
|
|
|
|
○ |
○ |
|
초 |
등 |
학 |
교 |
|
|
|
|
|
|
|
|
|
|
|
|
|
|
6 |
학 |
년 |
|
4 |
반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름
: 소속 밑에 오른쪽에서 두 칸 비우고 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시 |
골 |
에 |
서 |
|
보 |
낸 |
|
휴 |
일 |
|
|
|
|
|
|
|
|
|
|
|
|
|
|
|
○ |
○ |
|
초 |
등 |
학 |
교 |
|
|
|
|
|
|
|
|
|
|
|
|
|
|
6 |
학 |
년 |
|
4 |
반 |
|
|
|
|
|
|
|
|
|
|
|
|
|
|
|
|
|
|
이 |
수 |
현 |
|
|
|
|
|
|
|
|
|
|
|
|
|
|
|
|
|
|
|
|
|
|
- 본문 쓰기
: 이름 밑줄을 비우고 쓰되 첫 칸은 비우고 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전 |
학 |
|
온 |
|
영 |
은 |
이 |
|
|
|
|
|
|
|
|
|
|
|
|
|
|
|
|
○ |
○ |
|
초 |
등 |
학 |
교 |
|
|
|
|
|
|
|
|
|
|
|
|
|
|
4 |
학 |
년 |
|
2 |
반 |
|
|
|
|
|
|
|
|
|
|
|
|
|
|
|
|
|
|
조 |
수 |
민 |
|
|
|
|
|
|
|
|
|
|
|
|
|
|
|
|
|
|
|
|
|
|
|
지 |
난 |
|
5 |
월 |
초 |
였 |
다 |
. |
우 |
리 |
반 |
에 |
' |
이 |
영 |
은 |
' |
이 |
라 |
는 |
|
친 |
구 |
가 |
|
전 |
학 |
을 |
|
왔 |
다 |
. |
|
|
|
|
|
|
|
우 |
리 |
가 |
|
자 |
율 |
학 |
습 |
을 |
|
막 |
|
시 |
작 |
하 |
려 |
고 |
|
할 |
때 |
|
교 |
실 |
|
앞 |
문 |
이 |
|
드 |
르 |
륵 |
|
열 |
리 |
며 |
|
웬 |
|
여 |
자 |
|
아 |
이 |
|
하 |
나 |
가 |
|
들 |
어 |
선 |
|
것 |
이 |
다 |
. |
|
|
| 1) 오른쪽 끝에서 낱말과 낱말 사이를 띄워야 할지라도 왼쪽 첫 칸은 절대 비워서는 안 된다. 1)(문단이 바뀔 때만 첫 칸을 비움)
|
숙 |
제 |
하 |
고 |
|
있 |
는 |
데 |
, |
2 |
층 |
에 |
서 |
|
쿵 |
쿵 |
거 |
리 |
는 |
소 |
리 |
가 |
|
났 |
다 |
. |
|
|
|
|
|
|
|
|
|
|
|
|
| ※ 잘못 쓴 보기
|
숙 |
제 |
하 |
고 |
|
있 |
는 |
데 |
, |
2 |
층 |
에 |
서 |
|
쿵 |
쿵 |
거 |
리 |
는 |
|
소 |
리 |
가 |
|
났 |
다 |
. |
|
|
|
|
|
|
|
|
|
|
|
| 2) 큰따옴표와 작은따옴표가 있는 문장은 따옴표가 끝날 때까지 왼쪽 첫 칸은 모두 비운다.
|
' |
나 |
도 |
|
짝 |
이 |
|
있 |
으 |
면 |
|
좋 |
겠 |
어 |
. |
지 |
현 |
이 |
가 |
|
이 |
사 |
간 |
|
뒤 |
로 |
는 |
|
조 |
금 |
|
쓸 |
쓸 |
해 |
. ' |
|
|
|
|
|
' |
내 |
가 |
|
너 |
의 |
|
친 |
구 |
가 |
|
되 |
어 |
줄 |
게 |
. ' |
|
|
| 3) 동시 쓰기 : 따옴표와 마찬가지로 동시가 끝날 때까지 왼쪽 첫 칸은 모두 비운다. 1)(연과 연 사이도 한 줄 비움)
|
구 |
름 |
같 |
은 |
|
솜 |
사 |
탕 |
이 |
|
|
|
|
|
|
|
|
|
|
|
다 |
른 |
|
아 |
이 |
들 |
의 |
|
|
|
|
|
|
|
|
|
|
|
|
|
입 |
속 |
에 |
서 |
|
녹 |
고 |
|
있 |
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나 |
는 |
|
돈 |
이 |
|
없 |
어 |
|
|
|
|
|
|
|
|
|
|
|
|
마 |
음 |
|
속 |
으 |
로 |
만 |
|
|
|
|
|
|
|
|
|
|
|
|
|
달 |
콤 |
하 |
게 |
|
솜 |
사 |
탕 |
을 |
|
먹 |
고 |
|
있 |
다 |
. |
|
|
| 4) 원고지 오른쪽 끝에서
의 유의점
다음의 경우는 다음 줄 첫 칸에 쓴다.
|
착 |
한 |
|
희 |
주 |
가 |
|
어 |
쩌 |
다 |
|
저 |
렇 |
게 |
|
되 |
었 |
을 |
까 |
? |
|
|
|
|
|
|
|
|
|
|
|
|
|
|
|
|
|
|
|
|
다음의 경우는 작은따옴표가 있기 때문에 첫 칸을 모두 비우고 쓴다. |
(큰따옴표도 마찬가지) |
|
' |
우 |
리 |
|
희 |
주 |
|
어 |
쩌 |
다 |
|
저 |
렇 |
게 |
|
되 |
었 |
을 |
까 |
|
? |
' |
|
|
|
|
|
|
|
|
|
|
|
|
|
|
|
|
|
다음의 경우는 다음 줄 첫 칸에 쓴다.
|
꾸 |
러 |
기 |
|
이 |
|
놈 |
, |
이 |
마 |
에 |
|
땀 |
방 |
울 |
|
좀 |
|
봐 |
! |
|
|
|
|
|
|
|
|
|
|
|
|
|
|
|
|
|
|
|
|
이 |
러 |
다 |
|
너 |
|
학 |
교 |
에 |
|
늦 |
을 |
지 |
도 |
|
모 |
르 |
겠 |
다. |
|
시 |
험 |
칠 |
|
때 |
|
문 |
제 |
를 |
|
모 |
두 |
|
풀 |
고 |
|
난 |
|
후, |
다 |
시 |
|
한 |
번 |
|
살 |
펴 |
보 |
기 |
로 |
|
했 |
다 |
. |
|
|
|
|
|
- 더 알아보기
1) 큰따옴표(“ ”), 작은따옴표(' ') → 글이 온점(.)으로 끝날 때는 온점(.)과 따옴표를 한 칸에 쓴다.
|
“ |
자 |
, |
이 |
제 |
|
그 |
만 |
하 |
고 |
|
집 |
으 |
로 |
|
가 |
자 |
. ” |
|
|
‘ |
하 |
늘 |
이 |
|
무 |
너 |
져 |
도 |
|
솟 |
아 |
날 |
|
구 |
멍 |
이 |
|
있 |
|
다 |
. ’ |
|
|
|
|
|
|
|
|
|
|
|
|
|
|
|
|
| 2) 큰따옴표 : 대화글에서 사용한다. 2) 작은따옴표 : ☞ 마음속으로 한 말이나 생각할 때 2) 작은따옴표 : ☞ 따온 말 가운데 다시 따온 말과 문장 속에 제목을 따다 넣을 때 쓴다.
3) 줄임표(……) : 점을 6개 찍고, 한 칸에 3개씩 두 칸에 찍으며 3) 줄임표(……) : 줄임표 끝에 끝났음을 알리는 온점을 반드시 찍는다.
4) 가운뎃점( · ) : 한 칸의 한 가운데에 쓴다.
5) 묶음표[( )] : 한 칸에 한 개씩 쓰되 숫자와 같이 쓸 때는 숫자와 묶음표를 한 칸에 같이 쓴다.
6) ‘ 제목 ’ 에는 마침표(.)를 찍지 않는다. 6) 달님은 알지요 6) 전쟁을 반대한다 6)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7) 로마 숫자, 알파벳 대문자, 낱자로 된 아라비아 숫자와 알파벳 소문자는 한 칸에 한 자씩 쓴다.
1 |
과 |
|
2 |
의 |
|
예 |
에 |
서 |
|
나 |
타 |
나 |
는 |
|
것 |
은 |
|
|
|
8) 두 자 이상의 아라비아 숫자와 알파벳 소문자는 한 칸에 두 자씩 쓴다.
9) 숫자와 알파벳을 함께 쓸 경우에는 따로 적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 교정부호
































|
첫댓글 선생님 한 번씩 들러서 선생님께서 올려주신 자료들 보고 많은 것을 배우고 갑니다.
엑박이네요,,
쌤~ 안녕하세여^^ 처음으로 들리네영^^그..근데.. 좀(마니)엑박이네요^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