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국내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낙석방지울타리는 H형강을 지주로 와이어로프와 철망을 부착시키는 형식이 사용되고 있다. 지주는 상단부가 도로 쪽으로 휘어 있는 곡주식 형태가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신장 능력이 뛰어난 와이어로프와 철망이 부착되므로 낙석 발생시 지주, 와이어 로프 그리고 철망이 일체가 되어 낙석의 에너지를 흡수한다. |
| | |
 |
낙석방지시설에 사용되는 중간지주는 150×75×5×7㎜ 단위규격이상의 단면계수를 갖는 H형강으로 직선부가 2.5m이상의 연장을 가지며 상단의 곡선부가 0.5m 이상의 연장을 가지는 것을 이용한다. 지주의 간격은 2~3m 간격으로 설치하며 단부 지주를 매 60~100m마다 설치한다. 단부 지주는 150×150×7/10 단위 규격의 H형강이나 150×150×4.5 단위 규격의 □형강을 주로 사용하며 필요에 따라 다른 규격을 사용할 수 있다. 아래에 있는 표는 낙석방지울타리에서 사용가능한 지주의 규격이다. H200×100×8×5.5인 H형강을 지주로 사용하여 3m의 지주간격으로 설치할 경우 흡수 가능 에너지가 증가하며 따라서 성능 강화의 목적으로 이러한 형식을 사용할 수 있다. |
| |
 |
와이어로프는 지름 18㎜의 케이블을 표준으로 사용하며 울타리 지주의 직선부에 30㎝간격으로 설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그러나 낙석방지울타리의 성능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20㎝ 간격으로 좁혀 설치할 수 있다. 와이어로프는 각 지주에 구멍을 뚫어 와이어로프를 통과시키고 단부 지주에서 인장을 주어 고정시키는 방법과 표준도의 와이어 고정구를 사용하는 방법 그리고 M 12㎜ 이상의 U형 볼트를 사용하여 와이어로프를 지주에 고정시키는 방법(그림 참고)이 있으며, U형볼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U형 볼트는 H형강의 중앙부에 설치할 수 없으므로 좌·우측을 번갈아 배치한다. |
| |
 |
철망은 마름모꼴 모양으로 망 눈의 치수는 50×50㎜ 이상이고 PVC로 코팅된 망을 사용한다. 철망과 와이어로프는 경간 길이의 20% 이상 결속해 주어야 한다. |
|
 |
U형 볼트 예 |
낙석방지울타리의 지주 규격 |
와이어 로프
|
중 간 지 주
|
단 부
|
흡수 가능 에너지(kJ) |
지름
|
간격(㎜)
|
단면치수(㎜)
|
매입길이(㎜)
|
표준간격(㎜) |
Φ18
|
200~300
|
H150×75×5×7
|
700이상
|
2000~3000
|
H150×150×7/10 □150×4.5
|
48 |
Φ18
|
200~300
|
H200×100×5.5×8
|
700이상
|
2000~3000
|
H175×175×7.5/11 □175×5.0
|
56 |
Φ18
|
200~300
|
H200×100×5.5×8
|
700이상
|
2000~3000
|
H200×200×8/12 □175×5.0
|
61
| |
(주) 1. 단부의 지주와 버팀재는 같은 규격을 사용한다 2.흡수 가능 에너지 계산은 지주간격 2.0m, 와이어로프 간격 30㎝를 기준으로 하였다 | |
| |
 |
낙석방지울타리에 사용되는 재료와 규격은 다음과 같다. |
| | |
 |
1. 낙석방지울타리의 지주에 사용되는 재질은 KS D 3503(일반구조용 압연강재)에 제시된 종류 중 SS 400을 사용한다. 재질의 인장 강도는 400~510N/㎟ 항복점은 245N/㎟ 이상이어야 하며 연신율은 17%이상이어야 한다. 2. 아연부착량은 600g/㎡ 이상이어야 한다. |
| |
 |
와이어로프의 외접원직경은 18mm 이상으로 절단하중은 157kN이상이어야 한다. 아연도금 부착량은 소선에 대해230g/㎡ 이상이어야 하며 기타 규격은 KS D 3514(와이어로프)를 따라야 한다. |
| |
 |
낙석방지울타리에서 사용하는 철망은 낙석방지망에서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제품으로 KS D 7036(염화비닐 피복 철선)과 KS D7018(체인링크 철망)에 적합하여야 한다. 철망에서 사용되는 심선의 지름은 3.20~4.00mm으로 아연도금 후 P.V.C 코팅한 선의 지름은 4.0~5.0mm이며 망눈의 치수는 50×50mm 이상의 것을 사용한다. 이때 아연 부착량은 국내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SWMV-GS2종을 기준으로 할 때 심선직경 3.2mm는 30g/㎡, 심선직경 4.0mm는 35g/㎡ 이상이어야 한다, 피복의 색은 녹색 계통의 색을 사용한다. |
|
낙석방지시설 관련 한국산업 규격 |
종류
|
구조
|
관련규정 |
낙석방지망
|
와이어로프
|
KS D3514 (와이어로프)G종과 A종 |
철망
|
KS D7036 (염화비닐 피복 철선) SWMV-GS 2종 KS D7018 (체인링크 철망) V종 |
지주
|
KS D3503 (일반구조용 압연강재) SS400 KS D3504 (철근 콘크리트용 봉강) SD 30A
|
결속선
|
KS D7036 (염화비닐 피복 철선)SWMV-GS 2종 KS D7018 (체인링크 철망) V종 |
조립구 |
KS D3503 (일반구조용 압연강재) SS400 |
낙석방지 울타리 |
지주 |
KS D3503 (일반구조용 압연강재) SS400 |
와이어로프 |
KS D3514 (와이어로프) G종과 A종 |
철망 |
KS D7036 (염화비닐 피복 철선) SWMV-GS 2종 KS D7018 (체인링크 철망) V종 | | |
| |
 |
|
 |
① 경시 |
정확한 경계선 또는 구획선을 숙지해야한다.
굴곡지점 또는 경계선이 유동적일 수 있는 지점에는 공시완료시까지 보존 가능 한 표식주를 설치하여야 한다.
설치한 경시선은 자연현상에 의거 임의 변동이 되지 않도록 명확하게 표시되어 야 한다. | |
② 벌개제근 및 지면 고르기 |
공사규모에 따라 최소한의 벌개 제근 및 지면 고르기만 실시한다. | |
③ 터파기 |
터파기의 크기는 설계도에 따르고 토질,깊이,면적,주위상황에 따라 가장 합리 적인 크기를 결정한다.
울타리의 기초 깊이는 일반적으로 1m이내로서 수직파기를 원칙으로 하며 넓이 는 거푸집의 설치 및 제거에 지장이 없도록 설정한다. | |
④ 거푸집의 설치 |
거푸집은 설계도에 표시된 콘크리트 부재의 위치 및 치수에 맞추고 견고하게 제작해야 한다.
거푸집은 구멍이나 조립부분의 틀,기타의 흠이 없는 것으로 하고 콘크리트에 접하는 부분은 매끈하게 마감되어야 한다. | |
⑤ 콘크리트 공사 |
콘크리트의 요구되는 강도,내구성,수밀성 등이 적합하여야 한다.
콘크리트 재령은 4주 강도(28일)로 하며,압축강도는 150kg/㎠ 이상이어야 한 다.
콘크리트 타설 전 타설장소를 청소하고 각종 이물질을 제거하며 거푸집은 충분 히 물적시기를 해야 한다.
콘크리트 타설 준비 완료시 감독관의 검사를 득한 후,콘크리트 타설을 하도록 한다.
콘크리트 타설시는 주입간 다집봉으로 충분히 다져서 면처리가 깨끗이 되도록 한다.
영하 이하로 기온 강하시에는 콘크리트 타설 작업을 중지한다. | |
⑥ 거푸집의 제거 |
거푸집은 콘크리트가 충분히 양생될 때까지 존치기간을 준수하여야 한다.
거푸집을 제거할때는 구조물에 충격이나 진동을 주지 않도록 해야한다.
거푸집을 제거 후 콘크리트의 불량한 면이 발생하면 보수해야한다. | |
⑦ 되메우기 |
구조물을 세운 뒤 그 주위를 흙으로 되메우기할 때에는 구조물에 유해한 불순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되메우기 작업시에는 완전한 배수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되메운 곳은 원 지반과 비슷한 밀도가 될 때까지 다져야 한다.
되메우기 작업시 구조물에 편압이나 손상을 주지 않도록 주의해야한다. | |
⑧ 잔토처리 |
잔토는 제자리 부설을 원칙으로 한다. | |
⑨ 주주 설치 |
주주는 수직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가능한 직선상에 설치한다.
주주는 기초 콘크리트의 중심부에 배치하며,철망 설치시 지면과의 공간이 생기 지 않도록 높이를 조정한다.
주주상의 각종 볼트 설치구멍의 방향과 높이가 같도록 설치한다.
파손,도금 불량등 하자가 있는 제품은 설치해서는 안된다(전제품 공통)
원심력 콘크리트 기둥은 좁은 단면쪽이 외곽방향으로 설치한다.
기초파기의 제한으로 위치가 변경될 시 좌,위측의 기둥 위치도 일부조정하여 1스탠(span)당간격을 비슷하게 조정한다. | |
⑩ 철망,철조망,앵글,볼트,너트 조립 |
앵글,볼트,너트등은 주주에 사전 결속처리한다.
철망이나 철조망은 느슨하지 않도록 단단히 당겨서 설치하고 고정볼트를 완전 히 조여서 유동이 없도록 해야한다.
유자철조망은 완전히 펴서 일직선이 되게 하고 윤형철조망은 원형이 일정한 간 격이 되도록 펴야하며,유자철조망은 윤형철조망은 1팬스당 4-6개소에 이탈되지 않도록 결속해야한다.
원심력 콘크리트에 사용되는 볼트에는 와셔를 이용하여 볼트,너트가 빠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
모든 볼트는 너트가 울타리 내부쪽에 오도록 한다. | |
⑪ 최종검시 및 체크리스트 |
| |
 |
| |
 |
 |
| |
 |
본 네트 공법은 완전히 들어난 마사토 또는 퐁화암 절개지에 J.S COIR NET를 설치 J.S 잔디 씨 살포로 녹화 시키는 공법이다.
코코넛을 원료로한 100% 천연식물성 섬유질로서 공해가 없다.
비탈면 공사시 토양침식을 방지해주며 생명토 역할을 해 씨앗의 발아 및 발근, 또한 성장에 촉진제 역할을 한다.
토사와 장시간 접하는 과정에서 자연적으로 썩어 양질의 비료역할을 한다. |
|
|
|
|
|
 |
1. 우드화이바 : Seed Spray 시공시 물과 혼합하여 사용하며, 혼합 즉시 용해되어 시공이 간편하다. 2. 색소(Malachite Green) : 녹색의 착색재로 Seed Spray 시공후, 시공 유,무를 구별하기 쉬우며, 씨앗이 발아하기까지 시공면을 푸르게 보이게 하여 미관을 좋게 한다. 3. 침식방지 토양안정제(C.M.C) : |
|
|
Seed Spray 시공후 살포된 씨앗이 시공면에 활착되어 우천이나 바람의 영향으로 유실되는것을 방지하며 수용성이 뛰어나다. |
| |
 |
1) 위치선정 -필요시 배수 처리가 되어 있거나 원지반의 붕괴 우려가 없는 풍화암 및 마사토 비탈면 선정 2) 1차 잔디씨 살포시공 -향토조목류 + 양잔디 혼합시공 3) COIR NET 설치 - 네트를 사면 규격에 맞게 덮는다. 이 때 앙카핀으로 흘러 내리지 않도록 고정 설치한다. 4) 2차 잔디씨 살포시공 -J.S COIR NET를 앙카핀으로 흘러 내리지 않도록 단단히 고정시킨후 2차 J.S 잔디씨 살포로 마감한다. |
 |
|
|
 |
1. 인력으로 사면정지 작업을 먼저하고 정지된 사면에 향토 초목류 + 양잔디 복합비료, 화이바 접착제,색소등을 혼합하여 고르게 1차 SEED - SPRAY 한다. 2. 준비된 코아 -네트를 사면상단에서 하단으로 고르게 펼친후 ( 상,하단은 30 ㎝정도 묻는다.) 앙카봉으로 거적상단을 1 M 마다 묶어 고정시키고 횡,종으로 앙카봉을 고정시킨다. ( 앙카봉 : 10 ㎜, L 30~ 50㎝) 3. 사면표토에 1차 SEED - SPRAY 및 덮기가 끝나면 “ 2 ” 항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2차 SEED - SPRAY 를 시행하고 고르게 살포되었는지 최종확인후 마무리 한다. |
| |
 |
코아테이프(COIR TAPE) : 겨울철 해충 잠복소 및 지주목 사용시 수피보호를 위한 수목의 줄기부분을 감싸는데 사용하는 제품으로 천연야자섬유 재질로서 환경에 무해하다. 특징 : 통풍이 잘되고, 보습력이 뛰어나다. 설치후 주위 경관과 잘 어울린다. 코아테이프에 골이 있어 줄기부의 밀착성을 증대시켜 작업효율이 높다. |
 |
|
코아로프(COIR ROPE) : 코코넛에서 추출한 식물성 천연섬유를 로프형으로 제작하여, 수목의 뿌리부분에 사용하여, 수목보호와 유지관리 및 경비 절감 효과를 볼 수 있다. 특징 : 통기성, 보온성, 보습성이 우수하다. 인장강도가 새끼줄보다 강하다. 가식 후 재굴취시 분상태의 안정성으로 굴취작업의 비용이 절감된다. 복사열을 감소시키며, 미관이 좋다. |
 |
|
쥬트테이프(JUTE TAPE) : 겨울철 수목보호와 지속적인 유지관리를 위해 수목의 줄기와 뿌리부분에 사용하는 제품으로 천연 식물성 섬유인 황마로 제작되어 환경에 무해하다. 특징 : 통기성, 흡수성, 보온성, 부식성이 우수하다. 사용이 간편하다. 환경친화적인 자연재로서 미관이 수려하다. |
 |
|
쥬트로프(JUTE ROPE) : 수목의 줄기 및 뿌리에 사용하는 제품으로 겨울철 수목 보호와 지속적인 유지관리를 위해 사용하는 제품으로 천연 식물성 섬유인 황마로 제작되 환경에 무해하다. 특징 : 인장강도가 새끼줄의 5배이다. 가식후 재굴취시 분상태가 양호하다. |
 |
|
볏짚거적 : 천연소재인 볏짚을 사용하여 발 형태로 제작한 제품으로 내구성, 인장강도는 약하나 저렴한 가격과 간편한 시공이 가능한 제품이다. 특징: 국내 환경과 토양에 친화적이다. 볏짚의 유연성으로 흙과 밀착되어 경사면 보호가 용이하다. 보습, 보온성이 좋아 씨앗의 발아를 촉진시키고 녹화 후 빠르게 부식되어 유기질 비료가 된다. 경사면의 침식, 유실을 방지하고 초기녹화를 증대시킨다. |
|
| | |
 |
 |
도로개설 및 택지개발 등으로 인해 발생되는 경암, 연암, 풍화암 또는 기타 절개지역 등 식물생육이 거의 불가능한 건조척박지에 부착망을 피고 앙카핀등으로 고정시킨 후 그위에 보비력, 보습력, 통기성이 강한 복합 유기질로 구성된 녹생토를 양잔디와 초목본류를 혼합하여 살포함으로써 법면 유실 및 낙석방지를 겸한 이상적인 식생기반을 조성함과 아울러 식물의 조기정착과 녹화를 유도하여 훼손된 경관을 자연상태로 재생시키는 공법임. | |
 |
지금까지 녹화할 수 없었던 암절개면을 자연상태로 녹화하는 공법!! · 다년간의 시공결과 낙석방지효과가 높으며 폭우에 의한 법면유실방지. · 보습성, 보비성이 뛰어나며 식물생육에 이상적인 식생기반을 암반위에 조성. · 혼합종자의 조기발아로 푸른 경관복구가 빠름. · 시공지반 및 기후조건에 따라 알맞은 종자선택으로 주변과 조화된 자연스러운 경관조성. · 지표면 약 30Cm 깊이 이내에서 발생되는 SLIDING은 본 공법으로 방지할 수 있음. |
| |
 |
· 도로개설 및 확장지역(고속도로, 국도, 지방도 등....) · 택지조성, 주택개발지역 · 산업 및 공공시설 개발지역 · 골프장 조성 및 산지개발지역 |
| |
 |
식생기반 조성을 위한 녹생토 취부두께 또는 사용할 망은 암절취면의 구배, 토질등에 따라 구분 적용한다. · T = 15Cm(철망) : 구배 1:0.5 내외의 경암 및 보통암 지역 · T = 10Cm(철망) : 구배 1:0.7 내외의 연암 및 풍화암 지역 · T = 7Cm(철망) : 구배 1:1 내외의 리핑암 지역 · T = 3Cm(망 없음) : 구배 1:1 이하의 경질토 지역 |
| |
 |
녹생토의 주재료는 산업폐기물이며 자연섬유인 볏짚, 잡초 등을 짧게 썰어 혼합하거나 코코넛 껍질(coconut husk) 분쇄물을 혼합.개선하므로써 균열로 인한 건조방지와 시공 후 식생의 성장을 위한 보습력과 응집력의 효과를 얻는다. 녹생토의 주재료인 산업폐기물 중 연탄재는 대량수집이 곤란하여 제지 공장에서 폐기물로 발생하고 있는 제지 슬러지(pulp sludge)를 대폭 증량시키고 화강풍화토, 제지 슬러지, 제지슬러지 소각재, 화력발전소에서 발생하는 비회와 저회를 새로운 재료료 구성하고 토탄과 하수 슬러지는 그양을 조절하여 구성하고 이를 발효시켜 녹생토 재료를 제조한다. 그리고 보습력과 응집력을 높이고 균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볏집, 잡초, 코코넛 껍질 등의 자연섬유를 혼합한다. 녹생토의 재료구성비와 각 재료의 일반적 특성은 아래 표에 나타난 바와 같다. |
녹생토 재료 체적 구성비(%) |
 |
토탄
|
하수슬러지 |
제지슬러지 |
화강풍화토
|
제지슬러지 연소제
|
비회와 저회
|
자연섬유 |
녹생토
|
15-25
|
20-30
|
30-40
|
10-15
|
3-5
|
3-5
|
8-15
| |
| |
 |
· 광물질의 이용으로 이화학적 작용이 우수하다. · 풍부한 유기물 함유로 지력증진과 미생물 증식을 촉진. · 효과가 지속적인 무공해 토양개량제임. · 보비력, 보수력, 통기성이 매우 우수하여 한발, 한해에 강함. · 특수방법의 살균, 살충 처리로 병충해의 피해방지. · Biochemical을 적용시켜 부숙시킴으로 부작용이 없이 모든 식물에 시비가능. · 토양의 입단화 작용촉진, 토양산도의 안정, 연작 피해방지. · 암절개면 및 건조척박지에 우수한 식생기반 제공. |
| |
 |
재료의 종류
|
재료의 특성 |
가. 토탄(Peal)
|
- 보수성, 통기성 풍부 - 염기, 치환용량이 크고 영양분이 높음 - 거의 무균적이며 잡초 종자 등을 포함하지 않음 - 2차발효를 하지 않으며 화학적 특성이 장기간 보존됨 - pH가 낮음 - 간극비가 높음 |
나. 하수 슬러지
|
- 점착성이 있음 - 보수력이 있음 - 약알카리성임 - 유기물과 전질소 함량이 높음 - 환경폐기물을 재활용 |
다. 제지 슬러지
|
- 플라이 매쉬와 펄프연소제로 악취제거 능력이 있음 - 페기물 재활용 - 미생물을 첨가하여 투숙시켜 양질의 식생기반 조성 |
라. 화강 중화토
|
- 모래, 점토가 적정하게 함유되어 플리성 조절에 적합 |
마. 제지슬러지의 소각재
|
- 점착성이 있음 - 저온 상승효과가 있음 - 보수성이 있음 - 알카리성이 있음 - 유효인산 함량이 높음 - 악취제거 효과가 있음 |
바. 비회 또는 저회 (Ply ash or bottcan ash)
|
- 점착성이 없음 - 일반토양이나 암석의 밀도보다 낮음 - 저온상승효과가 있음 - 알카리성이고 탄소함량이 높음 - 유효인산 함량이 높음 - 악취제거 효과가 있음 |
사. 자연섬유
|
- 균열의 발생을 줄임 - 점착력 강화 | |
| |
 |
녹생토공법은 암반사면녹화시에 다른 사면보호공에 비하여 여러 장점이 있으나, 반면에 단점도 있기 때문에 이 장점을 유지하기 위한 최적의 설계.시공을 위해서는 단점에 유의하여 사용하여야한다. |
(1) 장점 |
가. 도로절개면을 녹화하여 사면보호를 하기 때문에 경관이 좋으며 환경적으로 친밀하다. 나. 산업폐기물을 재활용한다. 다. 녹생토의 재료가 암반에 대한 부착력과 보습력이 좋다. 라. 녹생토 뿌리기를 기계화하여 작업능률이 좋다. 마. 자연 상태에서 식생도입이 어려운 지역에 자연경관 복구가 가능하다. (생태학적 복원) | | |
 |
(2) 단점 |
가. 암반사면의 경사가 매우 급한 경우에는 녹생토의 수분이 부족하게 되어 식물 생장이 잘 안된다. 나. 암반사면의 경우 요철경사가 자주 발생하기 때문에 역비탈이 된 경우에는 식물이 자라기 힘들다. 다. 녹생토 저부에서 발생하는 파괴에는 저항력이 없다. | | | |
|
 |
 |
|
 |
①.시 공 전 |
|
②망 포 설 |
 |
|
 |
③앙카핀 및 착지핀 설치 |
|
④취 부 |
 |
|
 |
④취 부 |
|
⑤준공 |
 |
|
|
⑥준공후 | | |
건 식
 |
믹서에서 조·세골재 시멘트 및 급결제를 미리 혼합하고 뿜어 붙이기 작업시 노즐에서 물과 재료를 혼합 | |
 |
①지반과의 부착력, 전단력에 의한 저항 -지반과의 부착 및 자체 전단 저항효과로 숏크리트에 작용하는 회력을 지반에 분산시키고, 터널 주변의 붕락 하기 쉬운 암괴를 지지하며, 굴착면 가까이에 지반아치가 형성될수 있도록 한다.
②휨압축 또는 축력에 의한 저항 -지보재에 의해 지반변위가 구속되는 현상으로 인해 굴착면에 내압을 가함으로써, 굴착면 주변지반을 3축 응 력 상태로 유지시켜 지반 강도 저하를 방지한다. 연암이나 토사지반 등에 작용 효과가 크다. 비교적 두꺼운 숏크리트가 한 개의 부재로서 원지반을 지지하기 때문에 될 수 있으면 빨리 링으로 폐합하는 것이 바람직하 다.
③지반 응력의 배분 효과 -강지보재 또는 록볼트에 지반압을 전달하는 기능을 발휘한다.
④약층의 보강 -굴착된 지반의 굴곡부를 메우고 절리면 사이를 접착시킴으로써 응력집중현상을 피하도록 하고 약층을 보강하 는 효과가 있다.
⑤피복효과 -굴착면을 피복하여 풍화 방지, 지수, 세립자 유출 방지 등의 피복 효과가 있다.
|
| |
 |
①시공경험이 풍부하여, 장비 가격이 저렴하고 국내 보유대수 많음. ②시공 중 분진이 과대 발생하고, 시공두께 불균일 등 정밀시공 곤란. ③시멘트 및 급결제의 비산으로 진폐병등 유발원인이 되며, 작업조건 열악. ④작업인원이 과다 소요되며, 고기능의 숙련된 기능공 확보가 곤란하고 시공 중 안전사고 위험성 내포. ⑤노즐 또는 운반호스의 중간에서 작업원이 인력으로 물과 건비빔 재료와 물의 양을 조정하여 혼합하므로 품질 관리가 곤란하고 콘크리트 품질 불균일. ⑥탈락율(Rebound)이 많이 발생되어 재료손실(35%~45%)이 과다 하므로 비경제적. |
| |
 |
|
 |
구 분 |
습 식 |
건 식 |
개요 및 품질
|
물을 포함 각 재료를 미리 정확히 계량하여 충분히 혼합할 수 있어 품질관리가 용이함
|
재료가 노즐에서 분사되면서 혼합되므로 품질이 작업원의 숙련도 및 능력에 좌우됨 |
작 업 성
|
재료 공급의 제약을 받는다 (간이 배치플랜트 설치 필요)
|
건조한 재료를 공급하므로 공급작업의 제약이 적다 (운반시간 등) |
압 송 거 리 |
작업거리가 제한됨 (배합에 따라 100m이상까지 가능) |
작업거리를 비교적 멀리할 수 있음 (300~500m까지 가능하나 150m~200m정도가 바람직함) |
작 업 환 경 |
분진이 적음 (10㎎/㎠) |
분진이 많음(30~40㎎/㎠) |
시 공 능 력 |
10~15㎥/hr |
5~7㎥/hr |
반 발 율 |
비교적 적음 (20~30%) |
비교적 많음 (30~40%) |
타설기계의 크기 |
대 형 |
중·소형 |
청소, 보수 |
호스가 막힐 경우 청소 곤란 |
보수 및 청소가 용이 |
시 공 성 |
·Consistency 관리가 중요 ·기계화 시공으로 시공성 향상 (Robot타설장비 사용) ·대단면 연속 시공시 적합함 ·균질한 품질확보 ·작업종료후 또는 중단시 기계의 청소를 필요로 함 |
·세골재의 표면수 관리가 중요 ·품질관리가 어려움 ·비교적 소단면으로 분할시공시 적합함 |
|
|
 |
-약간 취약한 암반 : 2㎝ -약간 파괴되기 쉬운 암반 : 3㎝ -파괴되기 쉬운 암반 : 5㎝ -매우 파괴되기 쉬운 암반 : 7㎝(철망병용) -팽창성의 암반 : 15㎝(보강재와 철망병용) | |
|
 |
-시멘트 : KSL 5201 기준에 적합한 포틀랜트 시멘트 -세골재 : 세골재는 0.1m/m 이하의 세골재를 포함하지 않는 깨끗한 모래이어야 하며, 아래 입도를 표준으로 한다 |
|
입도규격(m/m)
|
5
|
2.5
|
1.2
|
0.6
|
0.3
|
비 고 |
통과량(%) |
95~100 |
85~95
|
50~75 |
30~50
|
12~20
|
| |
-조골재 : 조골재는 최대 직경이 15m/m 이하의 깨끗한 골재이어야 하며, 아래 입도를 표준으로 한다. |
입도규격(m/m)
|
15
|
10
|
5
|
2.5
|
비 고 |
통과량(%) |
100 |
55~70
|
10~25
|
0
|
| |
-골재의 혼합률 : 약 60:40의 중량비율로 혼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현장 배합 시험에 의거 조정할 수 있다. |
-급결재 : 급결재는 뿜어 붙이기 콘크리트의 조기 강도를 낼 수 있는 제품으로서, 시멘트량의 4.5%를 기준으 로 하며, 용수가 있는 곳은 공사감독의 승인을 얻어 증량하여 사용한다. | |
|
 |
강도기준 :
|
조기 응결시간 - 최소90초 최대 5분 최종 응결시간 - 최소12분 최대20분 압축강도 - δ8hr : 55kg/㎠이상 δ72hr : 140kg/㎠이상 28일 : 200kg/㎠이상 | |
|
 |
시 멘 트
|
모 래
|
자 갈
|
급 결 재
|
비 고 |
450kg
|
1.350kg |
450kg
|
17.8kg
|
중량 배합 |
|
|
 |
 |
믹서에서 조·세골재 시멘트 및 급결제를 미리 혼합하고 뿜어 붙이기 작업시 노즐에서 물과 재료를 혼합 | |
 |
①지반과의 부착력, 전단력에 의한 저항 -지반과의 부착 및 자체 전단 저항효과로 숏크리트에 작용하는 회력을 지반에 분산시키고, 터널 주변의 붕락 하기 쉬운 암괴를 지지하며, 굴착면 가까이에 지반아치가 형성될수 있도록 한다.
②휨압축 또는 축력에 의한 저항 -지보재에 의해 지반변위가 구속되는 현상으로 인해 굴착면에 내압을 가함으로써, 굴착면 주변지반을 3축 응 력 상태로 유지시켜 지반 강도 저하를 방지한다. 연암이나 토사지반 등에 작용 효과가 크다. 비교적 두꺼운 숏크리트가 한 개의 부재로서 원지반을 지지하기 때문에 될 수 있으면 빨리 링으로 폐합하는 것이 바람직하 다.
③지반 응력의 배분 효과 -강지보재 또는 록볼트에 지반압을 전달하는 기능을 발휘한다.
④약층의 보강 -굴착된 지반의 굴곡부를 메우고 절리면 사이를 접착시킴으로써 응력집중현상을 피하도록 하고 약층을 보강하 는 효과가 있다.
⑤피복효과 -굴착면을 피복하여 풍화 방지, 지수, 세립자 유출 방지 등의 피복 효과가 있다.
|
| |
 |
①시공경험이 부족하고, 시공장비가 고가이며 국내 보유대수 적음. ②시공 중 분진발생이 적어 작업 환경이 개선되고, 작업을 위한 시거 확보가 용이하므로 기계화 시공 및 정밀시 공 가능. ③작업환경 개선으로 공사관리 원활. ④전 작업의 기계시공이 가능하므로 소수의 인원으로 작업이 가능하고 공사중 안전성 증가 및 품질관리가 확실 하여 경제적 시공가능. ⑤콘크리트 생산시 정확한 계량에 의하여 충분히 혼합하므로 품질관리 용이. ⑥탈락율(Rebound)이 적게되어(10~15%)가 절감이 가능하고 경제적인 시공가능. |
| |
 |
|
 |
구 분 |
습 식 |
건 식 |
개요 및 품질
|
물을 포함 각 재료를 미리 정확히 계량하여 충분히 혼합할 수 있어 품질관리가 용이함
|
재료가 노즐에서 분사되면서 혼합되므로 품질이 작업원의 숙련도 및 능력에 좌우됨 |
작 업 성
|
재료 공급의 제약을 받는다 (간이 배치플랜트 설치 필요)
|
건조한 재료를 공급하므로 공급작업의 제약이 적다 (운반시간 등) |
압 송 거 리 |
작업거리가 제한됨 (배합에 따라 100m이상까지 가능) |
작업거리를 비교적 멀리할 수 있음 (300~500m까지 가능하나 150m~200m정도가 바람직함) |
작 업 환 경 |
분진이 적음 (10㎎/㎠) |
분진이 많음 (30~40㎎/㎠) |
시 공 능 력 |
10~15㎥/hr |
5~7㎥/hr |
반 발 율 |
비교적 적음 (20~30%) |
비교적 많음 (30~40%) |
타설기계의 크기 |
대 형 |
중·소형 |
청소, 보수 |
호스가 막힐 경우 청소 곤란 |
보수 및 청소가 용이 |
시 공 성 |
·Consistency 관리가 중요 ·기계화 시공으로 시공성 향상 (Robot타설장비 사용) ·대단면 연속 시공시 적합함 ·균질한 품질확보 ·작업종료후 또는 중단시 기계의 청소를 필요로 함 |
·세골재의 표면수 관리가 중요 ·품질관리가 어려움 ·비교적 소단면으로 분할시공시 적합함 |
|
|
 |
-약간 취약한 암반 : 2㎝ -약간 파괴되기 쉬운 암반 : 3㎝ -파괴되기 쉬운 암반 : 5㎝ -매우 파괴되기 쉬운 암반 : 7㎝(철망병용) -팽창성의 암반 : 15㎝(보강재와 철망병용) | |
|
 |
-시멘트 : KSL 5201 기준에 적합한 포틀랜트 시멘트 -세골재 : 세골재는 0.1m/m 이하의 세골재를 포함하지 않는 깨끗한 모래이어야 하며, 아래 입도를 표준으로 한다 |
|
입도규격(m/m)
|
5
|
2.5
|
1.2
|
0.6
|
0.3
|
비 고 |
통과량(%) |
95~100 |
85~95
|
50~75 |
30~50
|
12~20
|
| |
-조골재 : 조골재는 최대 직경이 15m/m 이하의 깨끗한 골재이어야 하며, 아래 입도를 표준으로 한다. |
입도규격(m/m)
|
15
|
10
|
5
|
2.5
|
비 고 |
통과량(%) |
100 |
55~70
|
10~25
|
0
|
| |
-골재의 혼합률 : 약 60:40의 중량비율로 혼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현장 배합 시험에 의거 조정할 수 있다. |
-급결재 : 급결재는 뿜어 붙이기 콘크리트의 조기 강도를 낼 수 있는 제품으로서, 시멘트량의 4.5%를 기준으 로 하며, 용수가 있는 곳은 공사감독의 승인을 얻어 증량하여 사용한다. | |
|
 |
강도기준 :
|
조기 응결시간 - 최소90초 최대 5분 최종 응결시간 - 최소12분 최대20분 압축강도 - δ8hr : 55kg/㎠이상 δ72hr : 140kg/㎠이상 28일 : 200kg/㎠이상 | |
|
 |
시 멘 트
|
모 래
|
자 갈
|
급 결 재
|
비 고 |
450kg
|
1.350kg |
450kg
|
17.8kg
|
중량 배합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