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에 보면 “aux”라는 표시의 구멍이 있습니다
그 곳에 cable 등을 꽂기도 하는데요
이 auxiliary 의 어원이 우리말로 “억지로”로 생각했던 적이 있습니다
“잘 맞지 않는 전자부품들을 억지로 연결해 주는 기구” 정도로요
그래서 과연 이 말이 맞을까? 라는 궁금증으로
세계의 언어들을 찾아서 확인 작업을 했습니다
시도했다가 놔두기를 얼마나 반복했는지 모릅니다
아무리 생각해도 제 생각이 틀리다는 생각을 지울 수가 없었습니다
그러다가 헝가리어어인 “kisegito (발음: 키셰기퇴)”가 힌트가 되었습니다
“(콘센트를) 끼워서 갔대”로 보였으니까요
“전자제품을 끼우는 곳”이 어쩌면 맞을 것 같아서
전부 ㅇ(ㅎ)을 ㄱ으로 바꾸니 어감이 맞아 떨어지네요
“콘센트를 끼워주라 했어”, “끼워삐”, “알아서 보면서 넣어”,
“콘센트를 끼웠습니다”, “끼워줄바떼끼”, “같이 묶었다”,
“보조를 쓰실래요?”, “콘센트를 끼웠담시” 등으로 나옵니다
2254. auxiliary (억지리어리, 보조의, 예비의):
1. (콘센트를) 끼워주라하리, 끼워줘라 (* c, k 탈락 현상 적용 시)
2. 억지로가 어원, 억지로 연결시키는 것,
3. 보조로, (* ㅁ ⇋ ㅂ 호환 관계 적용 시)
* 라틴어 auxiliares ((콘센트를) 끼워주라했어)
* 남아프리카, 네덜란드: hulp (끼워삐) (* ㅎ ⇋ ㄱ 호환 관계 적용 시)
* 카탈루냐어: auxiliar (끼워주라)
* 중국어: 補
* 크로아티아, 체코: pomocni ((보조는 일을) 보면서 넣어)
* 덴마크, 스웨덴, 베트남: auxiliary (끼워줘라)
* 핀란드어: apu (끼워삐) (* c, k 탈락 현상 적용 시)
* 프랑스어: auxiliaire (끼워줄라(고))
* 독일어: hilfsmittel (끼워삤습니다)
* 헝가리어: kisegito (발음: 키셰기퇴) ((안되는 것을) 끼워서 갔다)
* 아이슬란드어: hjalpartæki (끼워줄 바떼끼 ⇒ 끼워줄 수밖에의 경상도 사투리)
* 인도네시아어: bantu ((같이) 묶었다) (* ㅁ ⇋ ㅂ 호환 관계 적용 시)
* 아일랜드어: cunta (끼운다)
* 이탈리아어: susiliario ((보조를) 쓰실래요)
* 한국어: 보조의
* 일본어: 補助的
* 말레이시아어: pembantu ((보조일은) 보면 돼) (* ㅁ ⇋ ㅂ 호환 관계 적용 시)
* 노르웨이어: hjelpe (끼워줘삐) (* c, k 탈락 현상 적용 시)
* 폴란드어: pomocniczy (발음: 포모츠니치) ((보조는 일을) 보면서 넣지)
* 포르투갈, 스페인: auxiliar ((콘센트를, 보조를) 끼워줄래)
* 터키어: yardimci (발음: 야르듬즈) ((콘센트를) 끼웠담시 ⇒ 끼웠다면서)
![](https://t1.daumcdn.net/cfile/cafe/99A140385CCD356920)
auxiliary = kauiliary = 보조의 = 끼워주라 하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