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명상의 개념
명상의 어원은 기원전 5세기 붓다 이전부터 전해오던 빨리어 jhana(자나), 범어 dhyana(드야나)로 ‘의식의 작용이 한결같이 집중된 상태’를 의미. 중국어 禪那로 음역, 중국에서 禪 또는 定, 합하여 ‘마음을 고요히 하여 진리를 직관’한다는 ‘禪定, 靜慮’로 정착. 이를 최근 명상으로 부르기 시작, 명(冥, 暝, 瞑:어둡다, 그윽하다, 눈을 감다)과 상(想:생각)의 합성어로 ‘눈을 감고 그윽하게 생각한다’는 의미. 수행 측면에서 명상은 ‘생각을 하는 것이 아니라, 생각을 알아차리고, 지켜보는 것, 생각 없는 고요한 마음, 무심에 도달하는 것’으로, 빨리어 ‘bhavana(바와나: 정신을 경작/계발하다)’와 가깝다. 영어 meditation은 라틴어 meditare(치료)에서 유래, ‘특정 대상에 주의를 고정하고 유지하는 것’으로 풀이.
2. 명상의 분류
수행방법에 따라 ‘단일 대상에 주의를 집중시키고 주변의 다른 자극을 무시하는 집중명상’, ‘특정 대상이 아닌 내외부 모든 자극에 비판단적으로 주의를 기울이면서도 지금 이 순간 일어나는 것을 자각하여 온전히 깨어 있는 알아차림 명상’으로 구분.
▶ 초월명상: 초월적 존재, 신이나 자비로운 존재에게 마음을 열고 내 맡기는 수행. 짧은 산스크리트어 真言(oum, mantra 등)을 마음속으로 집중하여 반복 암송함으로써 일어나는 생각을 멈추고, 마음을 고요하게 하여 깊은 차원의 의식 세계를 발견한다.
▶ 집중명상: 호흡, 화두, 염불, 진언 등 특정 대상에만 주의를 집중, 삼매samadhi에 들기 위한 수행. 삼매에 들면 주관적 생각, 언어 개념에서 벗어나 고요한 상태로 마음이 열리고 자각되면서 있는 그대로 통찰이 이루어진다. 호흡삼매, 염불삼매, 진언삼매가 있다.
▶ 알아차림(마음챙김) 명상: 의식을 특정 대상(호흡, 만트라 등)에 집중하면서도 내외부에서 일어나는 모든 자극을 억제 또는 회피하지 않고, ‘비판단적으로 수용’하여 알아차리고 다시 원래의 대상(호흡 등)에 집중하는 수행. 초기 불교의 八正道 중 7번째 正念 수행으로, 念(지금今+마음心)은 ‘지금 마음을 바로 알아차린다는 sati’를 번역한 것. 지금 여기에 온전히 깨어 있게 하는데 중점.
▶ 사마타(samatha, 止) 명상: 마음의 고요함을 유지함으로써 바른 통찰, 즉 무명을 제거함이 목적. 어원은 ‘√sam고요해지다’로 “지혜로써 육근에 접촉하는 바깥 경계의 상을 깨뜨려 경계상이 그치니 분별할 바가 없기 때문에 止라는 것”(원효의 대승기신론소). 육근이 더 이상 밖의 경계에 분별을 일으키지 않음으로써 마음의 고요와 평정을 찾는다.
▶ 위빠사나(vipassana, 觀)명상: sati와 samatha의 연장선에 있는 초기불교 핵심 수행법. ‘vi 분리+passana 통찰’, 즉 생각을 분리하여 ‘있는 것을 있는 그대로 본다’는 의미. 모든 존재는 변하며(無常), 그로 인해 괴로움이 생기며(苦), 나라고 하는 실체가 없다(無我)는 것을 깨쳐, 괴로움을 수용하고 자신에 얽매인 고정관념을 놓음으로써 생사를 벗어난 열반에 이른다.
▶ 조사선과 간화선: 조사선은 중국에서 달마대사 이후 정착. 不立文字, 敎外別傳으로 부처님 깨달음의 본래정신 회복이 목적. 분석과 판단의 마음을 내지 않는 그대로의 본성, 즉 마음을 따라가지 않고 마음을 보아서 마음으로부터 자유로워 질 것을 강조(금강경). 간화선은 “배고픈 아이가 어머니를 찾듯...” 화두 참구를 통해 본래성품을 바로보고자(直指人心 見性成佛)하는 수행.
▶ 자애 명상: 자신과 세상에 대해 수용하여, 마음속 악의나 분노를 다스리는 수행. 자애경을 반복 암송함으로써 자아의식에서 벗어나 自利利他의 경지에 들어 무아의 사랑을 실천한다.
▶ 이밖에 몸의 동작을 주의 깊게 관찰하는 ‘동작명상(걷기, 음악, 요가, 춤, 쿤달리니)’, 현대인의 ‘고통 완화 및 경감’, 즉 생리/심리학적 건강에 초점을 맞춘 ‘과학적 명상’, 스트레칭이나 요가로 몸의 감각에 주의를 집중하여 신체의 이완을 통해 마음의 평화를 얻고자 하는 ‘이완명상’, 고갈된 몸과 마음을 단순한 환경에서 휴식을 통해 에너지를 보충하는 ‘휴식명상’이 있다.
"나마스테~" 바람24 합장
첫댓글 바람님, 과제 #1 개념에서부터 분류까지, 요약하여 잘 정리해 주었습니다.
***점 차 명상을 수행하면서, 여려명상방법 수행에 참고 하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