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현경 ~ 보자기 위에 열매나 솔방울등을 올려 협동으로 제기차기

김철수 ~ 나무에 인공새집과 나무가지위에는 까치집이 함께 있네요.
아래에는 찰흙을 붙여 풀이 있는 숲을 표현했다 하고
점토로 까치알도 만들어주는 센스 ~~


박승화 ~ 루페와 곤충채집한것을 세밀히 관찰하고 꽃술 살펴보기

유관종 ~ 나무木, 수풀 林, 숲삼 森, 한자를 이용해 숲의 천이를 이해시킨다.

최평자 ~ 확대경 거울과 망원경 - 망원경은 조류관찰에 쓰임이 많은 도구이지요.

문봉균 ~ 화초샵과 갈퀴등 - 흙속생물 교육에 꼭 필요한 도구이지요.
아는만큼 보인다고 숲속 생물들이 보이기 시작 한다는 말씀이 공감이 갑니다.

고민선 ~ 양파망과 철사옷걸이를 이용해 채집망 만들기
기후변화에 대응하려면 재활용을 해야지요.

최만식 ~ 재활용통을 이용한 곤충 채집기, 소형비닐봉지,
무당벌레를 채집해 오시고 친환경 농법도 설명해 주셨지요.
참고로 28점박이 무당벌레는 해충이랍니다.

윤향희 ~ 소원돌에 소망을 적어 돌탑쌓기
여름에 계곡에서 돌을 주워 곤충이나 나뭇잎맥 그려보기도 하면 신이 나지요.

박연숙 ~ 손수건으로 바나나 만들기, 보자기소꼽상만들기,
그런데 순서가 꽃만들기하고 똑 같네요.
기회가 되면 손수건으로 꽃과, 다람쥐, 새,를 접어보는 마술을 보여드리겠습니다.

남기율 ~ 액자틀을 이용한 자연물 관찰하기
꼼꼼하고 세심한 여러가지 모양틀을 준비하셨습니다.

숲해설가라면 요긴하게 쓰이는 교구라고 말씀하시네요.

정연화 ~ 노끈에 아무렇게나 낙엽을 꿰어도 작품 같지요.
아래는 생강나무의 각기 다른모양의 잎으로 가위,바위,보게임을 할수 있답니다.
아이디어가 참신하지요.


정영인 ~ 마분지로 팔레트 모양을 만들어 식물도감을 만들어 보아요.

김용기 ~ 이동식 칠판 - 분리수거 할때 구하셨다는데 재활용도 하시고
아주 생각이 기발 하십니다.

정선영 ~ 모루와 철사옷걸이를 이용한 거미줄 만들기
자연에서는 나무가지와 지끈만 있으면 만들수 있겠네요.
거미줄타는 거미도 만들어주시고 센스가 돋보입니다.

박동진 ~ 방형구 - 어떤 테두리 안의 식물군락 표본으로 식물군락의 소밀·종류 및 조성,
각 구성종의 군락 내에서의 상태·생산량 등 구성에 관한 성질을 연구할 경우에 일정한 면적의 테두리를 사용하는데,
이 테두리 안의 군락 표본을 말한다.
책갈피를 연결 해서 나무모양, 액자틀, 별모양등을 자유자재로 표현해 볼수 있어요.
소나무류등, 친척을 이루는 식물도감을 만들어도 좋겠네요.

김종권 ~ 사진으로 실제모습과 사진아래 설명을 넣고
뒤쪽엔 유사한 시를 적어 해설도 하고 시도 읊어본다.
두마리 토끼를 잡으시는 역시 사진가다운 교구이십니다.


나만의 식물도감이 탄생하는거지요.

육혜숙 ~ 휴지심과 빨대를 이용한 곤충경만들기,
언제 한번 만들기를 해보면 좋겠지요.

최영란 ~ 목련꽃잎에 손톱으로 그림그리기 ( 내마음 표현하기)
자화상을 그려보면 각각의 표현이 아주 재미나겠네요.
이것을 다시모아서 꽃을 만들어 봅니다. 순발력의 대가로 인정합니다.


윤영옥 ~ 나자식물 씨앗통 이름표를 새로 달았답니다.

숲해설에 필요한 것들을 모두 전수해 주신 원성애 해설가님께 감사드립니다.
2주만에 교구가 진화를 많이 했음을 알수 있습니다.
고민의 흔적이 보이는 교구들 만드시느라 회원님들 수고하셨습니다.
첫댓글 다시보니 열심으로 고민한 모습이 보이는군요~
세세한 정리 감사드리구요..
마술 기대합니다~...
일일이 설명까지 하시느라 정말 수고하셨습니다^^,감사~~
깔끔한 정리와 해설 감사드립니다
에궁!~ 고맙습니다... ^^
이렇게까지 잘해주셔서 감사합니다.(윤분옥샘)
아낌없이 갈쳐 주셔서 감사합니다.(원성애샘)
정말 다시금 복습할 기회를 주셔서 감사합니다. 역시 고수입니다. 함께 공부하게되서 영광입니다.
매번 감사한 마음......^^, 복 받으실 거예요~
역시 기대한대로군요 마치 교구개발도감?같군요~쌤 멋쟁이 ^-^
고생하셨습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