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차도남’이 예뻐지고 있다
글로벌 화장품 기업들이 중국의 ‘메트로섹슈얼(Metrosexual)’에 주목하고 있다. ‘메트로섹슈얼’이란 패션이나 헤어스타일에 관심이 많은 경제력을 갖춘 20∼40대 신세대 남성들이다.
KOTRA에 따르면 중국에서는 1990년대 중반부터 남성용 스킨케어 제품 수요가 증가하기 시작했다. 컨설팅 업체 프로스트앤설리번에 따르면 중국의 남성용 스킨케어 제품 시장은 10억 달러 이상으로 세계에서 가장 크다.
2014년 시장은 11억4000만 달러로, 2009년 이후 연평균 20%가 넘는 성장률을 보였다. 오는 2020년이면 18억 달러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현재 중국의 남성 화장품 시장은 기초 화장품과 클렌저 제품이 우위를 점하고 있다. 21개 도시의 6500여 명을 대상으로 닐슨과 왓슨스가 조사한 결과 가장 자주 사용하는 화장품으로는 폼클렌저가 78%로 가장 많았고 토너(39%), 수분크림(31%)이 뒤를 이었다.
작년 1분기 남성용 클렌저 시장은 2억5000만 달러로 2013년 같은 기간에 비해 17%나 늘었다. 같은 기간 중 남성용 수분크림은 2억2000만 달러로 18% 증가했다.
닐슨과 왓슨스 조사에 따르면 남성 응답자의 22%가 ‘화장을 할 줄 알고 평소에도 화장을 한다’고 답변했다. 43%는 ‘아직은 할 줄 모르지만 나중에 시도해보려고 한다’고 말했다.
남성 응답자의 65%가 화장에 관심을 보여 스킨케어뿐 아니라 메이크업 제품의 시장성이 예상되고 있다. 이들이 가장 자주 사용하는 제품은 BB크림(61%), 눈썹 칼(53%) 등으로 색조보다는 피부 표현 위주의 간편한 메이크업 제품이었다.
한편 중국 남성의 40%는 온라인으로 화장품을 구매했다. 중국의 인터넷 쇼핑몰 타오바오의 남성용 스킨케어 제품의 연간 성장률은 30%로 여성용 제품의 3배다. 지우링허우(1990년대 이후 출생), 링링허우(2000년 이후 출생) 남성들이 성장하면서 남성용 화장품 시장과 온라인 구매 모두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주간무역>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