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평군
가평은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해서는 가평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 | |
현황 | |
---|---|
면적 | 843.46 km² |
세대 | 26,068가구 (2011.8.31) |
총인구 | 60,497명 (2011.8.31) |
읍 | 1개 |
면 | 5개 |
군수 | 이진용 |
군청 | |
소재지 | 가평읍 석봉로 181 (읍내리 513) |
홈페이지 | http://www.gp.go.kr/ |
상징 | |
군목 | 잣나무 |
군화 | 개나리 |
군조 | 꿩 |
가평군(加平郡)은 경기도 동북부에 있는 군이다. 동쪽은 강원도 춘천시와 홍천군이, 서쪽은 남양주시와 포천시, 남쪽은 양평군, 북쪽은 강원도 화천군과 경계를 이룬다.
목차[숨기기] |
[편집] 역사
고구려시대에 근평군(斤平郡)이었으며, 신라 경덕왕이 가평(加平 또는 嘉平)으로 고쳤다. 1018년 고려 현종 9년에 춘천에 속하였다가, 1396년 조선 태조 5년 감무를 두었고 1413년 조선 태종 13년에 현감을 두어 강원도로부터 경기도에 예속하였다. 1707년 숙종 33년 군으로 복구하였고 그 후 1888년 다시 강원도에 예속되었다가 1895년 고종 32년 경기도로 이속되어 한성부에 속하였다가 복구, 오늘에 이르렀다.
- 1895년 음력 윤5월 1일 : 한성부 가평군 [1]
- 1896년 8월 4일 : 경기도 가평군 [2]
- 1914년 4월 1일 : 내서면을 군내면에, 상북면·하북면을 북면으로 합면하였다.[3] (6면)
- 1932년 : 군내면을 가평면으로 개칭하였다.
- 1942년 10월 1일 : 양평군 설악면을 편입하였다. [4]
- 1942년 : 남면 이화리·산유리·복장리·금대리를 가평면에, 고성리·호명리를 외서면으로 편입하여 남면을 폐지하였다.
- 1945년 9월 2일 : 미국과 소련이 38선을 경계로 한반도를 분할 점령함으로써 군역(郡域)의 거의 전 지역가 미군정 관할이 되었고, 38선 이북인 북면의 일부지역는 소련군정 관할 아래 들어갔다. (6면)
- 1946년 12월 : 소련군정 하의 가평군 전 지역이 강원도 화천군에 편입되어 38선 이북에선 가평군이 폐지되었다.
- 1954년 11월 17일 : 수복지구에 대한 행정권이 회복되었다.[5] (6면)
- 1963년 1월 1일 : 외서면 일부를 양주군 수동면에 편입하였다. [6]
- 1973년 7월 1일 : 가평면을 가평읍으로 승격하였다. [7] (1읍 5면)
- 2004년 12월 1일 : 외서면을 청평면으로 개칭하였다.
[편집] 지리
가평군은 경기도의 최동부에 있으며 토지가 거의 화강암과 편마암으로 되어 있다. 전체 면적의 81%가 산지이며 군내를 광주산맥이 달리고 있는데, 매우 삭박(削剝)되어 산맥으로 인정하기 어려울 정도로 되었지만 고도는 아직도 1,000m 이상을 유지하므로 지형이 전체적으로 높다. 광주산맥의 최고봉인 화악산이 진산이 되어 촛대봉, 매봉, 국망봉, 강씨봉, 명지산, 수덕산, 계관산을 거느리며, 해발 700~800m의 크고 작은 봉우리들을 끼고 웅장한 맥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산들의 계곡을 따라 흐르며 이어지는 가평천과 조종천의 수많은 지류들은 모두 북한강으로 유입되어 흐른다.
남쪽으로는 중미산, 화야한, 장락산이 산맥을 이루어 용문산으로 이어지고, 서쪽으로는 주금산, 축령산 등이 끝없는 산맥을 이어 나간다. 지역의 경계를 보더라도 동쪽으로는 강원도 춘천시와 홍천군이 맞닿아 있고, 서쪽으로는 포천시, 남쪽으로는 양평군과 남양주시와 경계를 이루어 중부 전선의 요충지이다. 면적 843.27㎢, 인구 5만 8,544명(2009.9)이다.
[편집] 인구
가평군의 인구는 2011년 현재 59,505명이며 인구밀도는71명/Km²이다. 0~14세 인구는 13.8%, 65세 이상 인구는 18.2%이다. 생산연령층인 15~64세 인구는 68.0%로 전국평균 72.8%보다 비율이 낮고, 유소년인구부양비는 20.3%로 전국 평균인 22.8%보다 낮고, 노년인구부양비는 26.7%로 전국평균인 14.5%보다 높다. 여자 인구 100명당 남자 인구를 나타내는 성비는 105.9로 남자가 다소 많다.[8]
[편집] 행정 구역
이 부분의 본문은 가평군의 행정 구역입니다.
가평군의 행정구역은 1읍, 5면으로, 가평군의 인구는 2011년 12월 31일을 기준으로 59,916명이며, 인구의 33.5%가 가평읍에 거주하고 있다. 또한 면적은 843.56 평방 km이다. [9] 1975년에는 75,444명의 인구를 기록하였으나,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인구 유출 지역이다.
읍면 | 세대 | 인구 | 면적 | 행정 지도 |
---|---|---|---|---|
가평읍 加平邑 |
8,396 | 20,071 | 145.04 | ![]() |
설악면 雪岳面 |
3,408 | 7,904 | 141.5 | |
청평면 淸平面 |
6,086 | 13,455 | 112.26 | |
상면 上面 |
2,357 | 5,009 | 100.74 | |
하면 下面 |
3,457 | 9,720 | 113.06 | |
북면 北面 |
1,852 | 3,757 | 230.96 | |
2010년 | 加平郡 | 25,556 | 59,916 | 843.56 |
[편집] 산업
경기도내의 4개 군 중에서 가장 농경지가 적은 군으로서 주민들은 농업의 불리한 조건 때문에 과반수가 자유업을 택하고 있다. 그리하여 행상을 비롯한 상업 방면에 종사하는 사람이 많다. 최근에는 양잠·축산이 성해 가고 있다. 산림은 한국전쟁으로 피폐해져서 용재·신탄의 산출이 많았으나 그 흔적도 찾아보기 어렵게 되었고 일부에 밤밭이 남아 있어 옛날의 특산물로 명맥을 잇고 있다. 광산물로는 흑연·구리·형석·남정석·홍주석 등이 있으며, 이 지방을 상징하는 청평 수력발전소가 있다. 소규모의 한지·도자기 공장이 있다. 전체 수입의 약 20% 정도가 관광수입이다.
[편집] 농업
총 면적의 대부분을 임야가 차지(84%)하고 있기 때문에 농경지는 협소하다(2.2%). 또 산간지역으로 농업에 불리한 지형조건 때문에 논농사보다는 밭농사 위주(총경지 면적의 62%)의 농업이 발달하였다. 주요 밭작물로는 콩·조·밀 등이 생산된다. 또한 이 지역에서는 잣·밤·호두·사과·포도·배대추·표고버섯·도토리 등의 특산물이 생산되고 있어 농가의 소득원이 되고 있는데, 잣은 전국 생산량의 2/3를 차지할 정도이다.
[편집] 축산업 및 양식업
주로 닭, 돼지, 사슴, 노루, 토끼 등이 사육되고 있다. 청평호를 중심으로 한 축산업이 많으며, 외서면의 호명리와 설악면의 사통리, 회곡리는 잉어가두리 양식업이 활발하다.
[편집] 관광
군내에는 청평댐과 강촌을 비롯하여 현등사·농추폭·조종암과 대보단 등이 있으며 서울에서 불과 50 km 떨어진 곳으로 교통이 편리하여 당일코스 관광지로 발전했다. 경인지방에서 관광객들이 많이 찾아온다.
[편집] 문화
[편집] 축제
경기도의 축제 목록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매년 10월경에는 가평읍 일대와 자라섬에서 열리는 자라섬 재즈 페스티벌, 5월에는 연인산 축제, 10월에는 북한강 축제가 열린다.
[편집] 종교 시설
- 불교 : 현등사(조계종. 하판리 산163)가 현등사 삼층석탑과 현등사 소장 봉선사종 등의 문화재로 유명하다.
- 통일교 : 청심국제병원을 비롯해 청심국제중고등학교, 천정궁박물관, 청아캠프 등 통일교의 많은 시설물들이 위치해 있는 거점지역이다.
[편집] 교통
경춘선(京春線)이 군의 동남부 한강 연안을 따라 통하였으며 경춘국도도 이에 병행하고, 청평에서 조종천을 따라 포천 일동면까지 국도가 건설되어 있다. 북한강의 수운은 강원 홍천까지 이어져 수륙교통은 편리한 편이다. 서울양양고속도로의 개통으로 특히 청평, 설악면의 서울, 춘천 접근이 수월해졌다.
[편집] 철도
[편집] 버스
- 가평, 청평, 현리, 설악의 4개 시외버스 터미널에서 수도권과 춘천을 잇는 시외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 농어촌버스는 진흥고속에서 독점하고 있으며, 남양주시와 가까운 청평면 대성리에 KD그룹의 시내버스 차고지가 자리잡고 있다.
[편집] 교육
|
|
|
|
|
|
|
|
|
|
|
[편집] 관련 드라마
- 웃어라 동해야 (2010~2011)
[편집] 자매 도시
[편집] 주석
- ↑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1895년 음력 5월 26일)
- ↑ 칙령 제36호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년 8월 4일)
- ↑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년 12월 29일)
- ↑ 조선총독부령 제242호 (1942년 9월 30일)
- ↑ 법률 제350호 수복지구임시행정조치법 (1954년 10월 21일)
- ↑ 법률 제1175호 시·군관할구역변경및면의폐치에관한법률 (1962년 11월 21일)
-
법률 제1175호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가평군 외서면 입석리, 외방리, 내방리 양주군 수동면 일부
-
- ↑ 대통령령 제6543호 읍설치에관한규정 (1973년 3월 12일)
- ↑ [가평군 통계연보]
- ↑ 가평군 통계정보, 2010년 12월 31일 기준
- ↑ 행정구역상 춘천시이나, 가평군을 통하여야만 들어갈 수 있으므로 표기한다.
[편집] 바깥고리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한국어/영어/일본어/중국어) 가평군청 (공식)
- 네이버 캐스트 : 여행 - 가평
[숨기기]
경기도의 행정 구역 | |
---|---|
도청 소재지: 수원시 팔달구 | |
![]() |
|